[백전무패]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
입력 : 2023.01.16 15:23:27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
Q.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눈에 띈 점은?
A. 코로나 19이후 3년만에 대면 행사
A. 국내 초청 기업 18개사 외 개별 기업들 참가
A. 삼성바이오로직스 3대 성장축 제시
A. ADC, 유전자 치료제 시장 진출 및 글로벌 거점 확대
A. 롯데바이오로직스 미국 진출
A. 에스디바이오센서 M&A 통한 글로벌 직판 체계 구축
A. LG화학, 한미약품, 에이비엘 등 국내 15개사 초청
Q.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은?
A.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
A. 빅파마 중심으로 기업 M&A나 투자 가속화
Q. 대형 기술수출 이번에도 기대해도 될까?
A. 과거 한미약품, 유한양행 대규모 기술수출의 발단
A. 향후에 관련 빅딜 단초 마련 가능할 것
Q. 지난해 기술수출 규모 절반 감소, 이유는?
A. 매년 기술 수출의 편차가 발생
A. 작년 미국 FDA 허가도 6년만에 최저
Q.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A. 결국 민간 중심의 생태계 마련 필요
A. 글로벌 기업들과 활발한 교류·협력 필요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원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4.18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극과 극 헬스케어 주가…유나이티드헬스 22% 폭락, 일라이릴리 14% 올라
-
2
日 SBI홀딩스, 캐나다교직원연금 지분 매입해 교보생명 2대주주 된다
-
3
금감원, 스맥·이브이첨단소재 유상증자에도 제동
-
4
크레버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5
코스피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6
‘아메리카 디스카운트’ 시작했나…美증시서 본토보다 수익률 떨어진 中기업들
-
7
쎄크 일반청약서 증거금 2조원 이상 몰려
-
8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30조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9
美 핵심 희토류 업체, 中 수출 중단에 4.5% 하락
-
10
젠스타메이트, MSCI와 한국 상업용 부동산 지수 개발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