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북한 '정찰위성' 추정 물체 인양…위성 기술 수준 드러나나

박수윤

입력 : 2023.06.26 11:30:19 I 수정 : 2023.06.26 15:43:45


북한 '우주발사체' 2단부 어젯밤 서해서 인양
(서울=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낙하한 지 15일 만에 인양됐다.사진은 합참이 공개한 발사체 잔해.2023.6.16 [합동참모본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말 우주발사체에 탑재해 쏘아올리려다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추정 물체를 최근 인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주 서해 공해상에서 북한이 지난달 31일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에 탑재됐던 위성 '만리경 1호'로 보이는 물체를 건져냈다.

군 소식통은 "현장에서 여러 가지 잔해를 수거한 것으로 안다"며 "인양 작전 및 관련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은 위성 추정 물체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ADD)로 옮겨 분석에 착수했다.

이 물체가 위성이 맞고 상태가 비교적 온전하다면 북한의 정찰위성 기술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발사한 우주발사체는 1단과 2단이 분리된 이후 서해에 추락했으며, 이 과정에서 180여 개의 잔해물이 이지스 구축함과 공군 레이더에 포착됐다.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잔해
[연합뉴스 촬영.재판매 및 DB 금지]

군 당국은 지난 15일 밤 2단 동체를 인양했지만, 탑재된 위성은 찾지 못했다.

한미 군 당국은 2단 동체 및 정찰위성 추정 물체 등에 대해 공동으로 분석 중이다.

한국 측에서는 국방부와 합참, 해군, ADD 등 소속 전문가들이, 미국 측에서는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등 다양한 기관의 요원 등이 분석에 참여하고 있다.

[그래픽] 북한 '우주발사체' 잔해 인양 상황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bjb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clap@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2 18:4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