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주식은 다 오르는데” 우울한 CJ제일제당 롯데칠성
안갑성 기자(ksahn@mk.co.kr)
입력 : 2023.01.26 16:12:48
입력 : 2023.01.26 16:12:48
음식료업종 이달 -3.4%
물가 급등에 실적 악화
올들어 주가 8~9% 하락
물가 급등에 실적 악화
올들어 주가 8~9% 하락
전통적으로 불황 때 방어주 역할을 대표한 음식료 업종이 올해 들어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다. 물가 인상으로 실질소득이 줄면서 필수소비재인 식료품 지출마저 감소하고, 급등한 원재료 가격 상승분에 비해 제품 가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부터 26일까지 코스피 업종지수 가운데 음식료품 지수는 3847.06포인트에서 3710.73포인트로 -3.54% 내리면서 1월 코스피 업종지수 중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코스피 지수가 10%대 상승률을 달성한 것과 대비된다. 1월 한달간 코스피 음식료 업종지수 구성 종목 가운데 CJ제일제당(-9.86%), 오리온(-3.67%), 농심(-4.2%), 오뚜기(-2.1%), 롯데칠성(-8.81%) 등 주요 대형주들의 주가도 내렸다.
증권가에선 1월 증시 반등 국면에서 음식료주가 소외된 배경으로 현재도 계속되는 원재료 비용 부담과 실질 소득 감소로 인한 소비 부진을 지적하고 있다. 거시경제 지표를 살펴보면 작년 2~3분기 경제를 견인했던 민간소비가 4분기 들어 감소로 전환했고 10~11월 국내 실질소매판매도 전월대비 줄었다. 장지혜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고물가·고금리 시대 작년 식료품 가격은 5.9%로 3년 연속 올랐지만 소비여력은 줄면서 무지출 챌린지 등 생필품에서까지 지출을 최소화하려는 방향으로 소비자들이 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원재료 비용 부담은 지난해 제품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주요 음식료 회사들의 실적 기대치를 낮추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원화 환산 밀 가격은 전년 대비 26.9% 상승했지만, 라면·제빵 등 곡물 가공품 판매가는 같은 기간 23.1% 상승에 그치면서 음식료 기업들의 이익 스프레드가 악화됐다. 팜유·대두유 등 가격도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인 2020년 대비 60%가 넘게 상승했지만, 식용유·콩기름 제품가격은 최대 10%대 상승에 그쳤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주요 음식료 업체들의 작년 4분기 실적은 시장 전망치를 하회할 전망”이라며 “원화 강세 효과와 원재료 투입단가 안정화는 올해 2~3분기부터 나타나며 음식료 업체들의 이익 스프레드도 개선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기사 관련 종목
02.05 12:28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1억원 이상 매도체결 상위 20 종목(코스닥)
-
2
화승엔터프라이즈(241590) 소폭 상승세 +3.07%
-
3
니케이지수(일본) : ▼71.18엔(-0.18%), 38,727.19엔 [전장마감]
-
4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5
한투운용,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정기 리밸런싱 진행
-
6
1억원 이상 매수체결 상위 20 종목(코스닥)
-
7
코스피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8
현대위아(011210) 소폭 상승세 +3.03%
-
9
1억원 이상 매수체결 상위 20 종목(코스피)
-
10
유일로보틱스(388720) 소폭 상승세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