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01.31 17:07:46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이슈요약
미래아이앤지
(007120)
523원
(
+29.78%)
종속회사 아티스트코스메틱, 휴마시스 지분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 등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사업협력 및 지분취득 목적으로 (주)아티스트코스메틱 주식 24,000,000주를 12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36.10%, 취득예정일:2023-01-30) 공시.
▷종속회사 아티스트코스메틱이 휴마시스 지분을 취득키로 결정했다는 소식에 전일 동사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한 바 있음. 지난 27일 장 마감 후 종속회사 주식회사 아티스트코스메틱이 지분취득을 통한 경영권 확보 목적으로 휴마시스(주) 지분 7.65%(2,593,814주)를 650.00억원에 신규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한 바 있음. 취득예정일은 오는 2월28일임.
▷한편, 전환사채의 전환청구권 행사로 아티스트코스메틱 지분을 신규 취득한 인콘, 골드퍼시픽도 시장에서 부각.
삼성중공업
(010140)
5,790원
(
+10.50%)
올해 흑자전환 기대감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94조원(전년대비 -10.22%), 영업손실 8,544.0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6,274.0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또한, 2023년 사업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 8.00조원, 영업이익 2,000억원 전망.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했지만, 올해는 지난 8년 연속 이어온 영업적자의 고리를 끊어내는 해가 될 것이라고 밝힘. 외부 변수없이 본래 체력으로 평가받는 시점이기 때문으로 인도하지 못하고 재고자산으로 보유하면서 대규모 평가손실을 반영해야만 했던 드릴십 5척은 순차적으로 새로운 주인을 찾아가고 있다고 밝힘. 사이펨에 매입 옵션을 붙여 용선했던 1척은 완전히 인도되었고, 2척은 매각 계약 체결 후 초기 계약금을 받은 상태라고 설명.
▷이어 급등한 가격을 반영해 건조예정원가를 큰 폭으로 조정해야만 했던 조선용 후판 또한 가격과 수급환경 면에서 안정화 구간이라며, 동사가 제시한 올해 영업이익 가이던스 2,000억원은 후판 가격 하락 전 기준의 건조예정원가로 계산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900원 -> 7,600원[상향]
진원생명과학
(011000)
8,490원
(
+10.40%)
71.11억원 규모 공급계약(Plasmid DNA) 체결에 급등
▷아시아 바이오업체와 71.1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8.38%) 규모 공급계약(Plasmid DNA) 체결(계약기간:2023-01-31~2024-01-30) 공시.
▷이와 관련 동사 박영근 대표이사는 "신규 공장에서 생산하게 되는 첫 공급계약을 체결하게 돼 기쁘다"라며, "지속해서 증가하는 고품질 플라스미드 DNA 의약품 수요를 선점하기 위해 꾸준히 영업활동을 펼쳐 실적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힘.
현대오토에버
(307950)
112,000원
(
+7.18%)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등에 강세
▷22년4분기 및 지난해 실적 발표.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342.40억원(전년동기대비 +29.21%), 영업이익 579.67억원(전년동기대비 +120.65%), 순이익 442.10억원(전년동기대비 +120.97%).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75조원(전년대비 +33.04%), 영업이익 1,423.62억원(전년대비 +48.12%), 순이익 1,161.70억원(전년대비 +62.77%).
▷아울러 2023년 사업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 2.88조원 전망 및 보통주 1주당 1,140원(시가배당율1.1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삼성엔지니어링
(028050)
25,850원
(
+6.60%)
10년래 최대 실적 달성 등에 강세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93조원(전년동기대비 +16.95%), 영업이익 2,145.46억원(전년동기대비 +101.00%), 순이익 1,798.16억원(전년동기대비 +210.82%).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10.05조원(전년대비 +34.29%), 영업이익 7,029.42억원(전년대비 +39.66%), 순이익 5,953.19억원(전년대비 +69.57%). 또한, 2023년 사업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 10.50조원, 영업이익 7,650억원 전망.
▷업계에 따르면, 동사는 2012년 이후 10년 만에 연간 수주, 매출, 영업이익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신규수주는 지난해 4분기 3조7,679억원으로 2022년 연간 기준 약 10조2,000억원을 기록해 10조원을 돌파했으며, 수주잔고는 약 17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매출 기준 1년 9개월치가 넘는 일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멕시코와 말레이시아, 중동 지역의 대형 프로젝트 매출이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되면서 외형 성장과 함께 수익성이 개선됐다"며, "전사적으로 추진 중인 모듈화, 자동화 등 혁신전략 성과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고 산업환경 부문도 안정적 수익구조를 이어갔다"고 밝힘.
현대일렉트릭
(267260)
40,050원
(
+4.43%)
970억원 규모 배전변압기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Hyundai Electric America Corporation과 97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37%) 규모 공급계약(2500kVA 배전변압기 등 3,500대) 체결(계약기간:2023-01-30~2024-10-31) 공시.
▷한편, 이번 계약은 동사의 미국 아틀란타 판매법인(Hyundai Electric America Corporation)이 美 American Electric Power로부터 수주받은 후 동사로 재 발주한 공급계약임.
현대홈쇼핑
(057050)
56,000원
(
+3.51%)
지난해 4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취급고는 1조3,024억원(전년동기대비 +0.2%), 영업이익은 313억원(전년동기대비 +13.8%)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이는 홈쇼핑 부문이 중소형 생활 상품 판매와 하이엔드급 수요 증가에 따른 성장세를 보였고, 주요 종속회사 이익 기여도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올해는 현대렌탈케어 매각에 따른 이익 감소에도 모멘텀 부각이 기대된다고 언급. 이는 현대렌탈케어가 지난해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했고(불확실성 해소), 현대L&C 원가 안정화에 따른 마진율 개선과, 라이브쇼핑을 기반으로 홈쇼핑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77,000원[신규]
대우건설
(047040)
4,785원
(
+3.01%)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 달성 등에 상승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 액 10.41조원(전년대비 +19.96%), 영업이익 7,600.06억원(전년대비 +2.93%), 순이익 5,080.10억원(전년대비 +4.76%). 22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20억원(전년동기대비 +31.6%), 영업이익 2,468억원(전년동기대비 +20.8%), 순이익 1,116억원(전년동기대비 +2.8%). 아울러 2023년 사업연도 연결기준 매출액 10.90조원 전망 공시.
▷특히, 지난해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고치를 달성하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가파른 금리 인상, 원자재 및 외주비 상승 등 국내·외 어려운 대외 경영 환경에도 주택건축사업부문이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했다"며, "토목사업부문의 이라크 알 포프로젝트, 플랜트사업부문의 나이지리아 LNG 트레인7 프로젝트도 본격화돼 매출이 증가했다"고 언급.
대웅제약
(069620)
152,300원
(
+2.77%)
中 업체와 섬유증질환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中 CS Pharmaceuticals社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섬유증질환 치료제 베르시포로신(Bersiporocin, DWN12088)의 중국 내 임상개발 및 상업화 권리에 관한 기술수출 계약) 공시. 총 기술수출금액은 4,128.43억원(선급금(73.72억원), 개발 마일스톤(860.09억원), 상업화 마일스톤(3,194.62억원))이며, 순매출액에 비례하는 경상기술료(Royalty)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베르시포로신은 미국 FDA에서 지난해 임상 2상 승인 및 패스트 트랙 개발 품목으로 지정 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임상 2상 승인 및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고 밝힘.
포스코 그룹주
포스코케미칼, 삼성SDI와 40.02조원 규모 전기차용 하이니켈계 NCA 양극소재 중장기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삼성SDI와 40.02조원(최근 매출액대비 2,011.8%) 규모 공급계약(전기차용 하이니켈계 NCA 양극소재 중장기) 체결(계약기간:2023-01-30~2032-12-31) 공시.
▷업계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글로벌 양극재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공급 계약으로, 포스코케미칼이 삼성SDI에 양극재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북미산 배터리 광물·부품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계기로 포스코케미칼이 최대 수혜주로 떠올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포스코엠텍, 포스코케미칼, 포스코 ICT 등 일부 포스코 그룹주가 상승.
▷반면, 삼성SDI의 2차전지 협력사인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등은 하락.
[종목]: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엠텍, 포스코 ICT
SGC에너지
(005090)
32,350원
(
+2.37%)
SMP 상한제 관련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SMP 상한제 영향을 눈으로 확인했으며, 불확실성이 서서히 해소될 것으로 전망. 특히, SMP 상한제가 12월부터 시행되었으나 발전 부문이 실적 호조를 기록했다는 점은 의미가 크며, 이는 주가 부진의 주요 요인이었던 상한제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점을 눈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SMP 상한제 영향은 빠르면 2Q23, 늦어도 3Q23부터 소멸될 예정이며, 2023년 판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C 감소, Q 증가 효과로 인해 감익 우려는 제한적이라고 설명.
▷한편, 4Q22 연결 영업이익은 664억원을 기록하면서 컨센서스(759억원)를 하회했으나, 건설 부문의 적전을 제외하면 발전 부문은 원가 개선으로 기대 이상의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2,000원[유지]
코스모화학
(005420)
23,000원
(
+2.22%)
총 499.22억원 규모 2차전지 양극재 원료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과 71.3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9%)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양극재 원료(황산코발트)) 체결(계약기간:2023-01-30~2023-12-31) 공시.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과 427.9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35%)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양극재 원료(황산코발트)) 체결(계약기간:2023-01-30~2023-12-31) 공시.
코오롱글로벌
(003070)
16,960원
(
-5.41%)
분할 변경상장 속 하락
▷회사분할로 지난 28일부터 거래정지됐던 동사가 금일 변경상장. 동사는 지난 7월 수입 자동차 판매, 정비 및 수입 오디오 판매 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주식회사를 설립키로 결정한 바 있음.
▷한편, 금일 분할 재상장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상한가를 기록.
카카오페이
(377300)
61,000원
(
-5.43%)
고평가에 따른 외국계 증권사 매도 의견 속 하락
▷언론에 따르면, 외국계 증권사가 동사에 '매도'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짐. JP모건은 지난 30일 동사의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도(underweight)'로 하향하면서, 목표주가 3만8,000원을 제시했음.
▷스탠리 양 JP모건 애널리스트는 "카카오페이의 올해 수익 전망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올해 예상 매출액을 기존보다 17%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이어 "지난해 11월 이후 코스피 지수가 7% 오르는 동안 카카오페이는 82% 올랐다"며, "카카오페이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비싼 핀테크 주식"이라고 지적했음. 아울러 "침체된 시장 점유율 증가로 인한 결제 수익 성장 둔화, 실망스러운 MTS 서비스 견인력, 제3자 금융 상품에 대한 가시성 저하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
현대글로비스
(086280)
165,900원
(
-6.11%)
올해 수익성 악화 전망 등에 약세
▷전일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81조원(전년동기대비 +16.56%), 영업이익 4,456.58억원(전년동기대비 +37.08%), 순이익 3,595.76억원(전년동기대비 +40.35%).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6.98조원(전년대비 +23.88%), 영업이익 1.79조원(전년대비 +59.69%), 순이익 1.19조원(전년대비 +52.30%). 한편, 보통주 1주당 5,700원(시가배당율3.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주주환원을 위한 중장기 배당정책(전년도 DPS 대비 최소 5%~ 최대 50% 상향 등) 발표.
▷이와 관련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4,669억원)를 하회했다고 밝힘. 이어 올해에는 다소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며, PCTC의 경우 견조한 운임이 지속되고 있지만 컨테이너 지수는 빠르게 하향 안정화되고 있는 가운데, 컨테이너선 운임 하락으로 해외 물류 부문의 수익성은 22년 대비 악화가 불가피하다고 설명. CKD 역시 절대적인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원화강세로 23년 상반기에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따라 동사의 23년 실적은 매출액 27조8,155억원(+3%YoY), 영업이익 1조 5,694억원(-13%YoY)으로 컨센서스(1조 7,589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환율가정 및 해외물류부문 단가 가정 변화를 반영해 23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대비 각각 4%, 2% 하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0원 -> 250,000원[하향]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8 15:30
미래아이앤지 1,033 79 +8.28%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9 12:0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