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미국 냉난방공조 시장 공략 박차

조문경

입력 : 2024.05.29 17:15:53



【 앵커멘트 】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화하면서, 막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산업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T 장비 냉각 기술 수요도 계속해서 늘면서, 국내 기업들도 냉난방공조 설비(HVAC)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는 모습인데요.

조문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냉난방공조 설비(HVAC)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관련 수요가 많은 북미시장 선점에 힘쓰고 있는 상황.



비스리아에 따르면 북미 공조 시장은 2023년 약 40조 원(320억 달러)에서 2034년 약 66조 원(488억 달러)까지 증가할 전망입니다.




먼저 삼성전자는 북미지역의 개별 공조 시장 수요 확보에 나섰습니다.




미국 냉난방공조 기업 '레녹스'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판매 경로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합작법인은 삼성전자 50.1%, 레녹스 49.9% 지분으로 올 하반기 미국 텍사스주 로아노크(Roanoke)에서 출범할 예정입니다.




LG전자는 B2B 냉난방공조 설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미국 내 대형 데이터센터에 냉각시스템을 처음 공급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LG전자가 이번에 공급하는 초대형 냉방기 '칠러'의 용량은 최대 5만 냉동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스타필드의 3.5개 규모에 냉방을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으로 추산됩니다.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로 냉난방공조 설비 시장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시장 선점 경쟁도 더 치열해지고 있는 겁니다.




▶ 인터뷰(☎) : 최준원 / 신영증권 연구원

- "향후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는 만큼, (냉난방공조 기술) 침투율이 그만큼 늘거라고 보고 있거든요. 특히 북미시장 쪽에서 수요가 많이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고 (국내 기업들이) 미국 쪽에서 데이터 관련 업체들과 계속 협업해서 B2B 쪽 공조 시스템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요."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삼성과 LG전자의 기술 고도화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4.10 15:30
신영증권 76,300 2,900 +3.95%
삼성전자 56,400 3,400 +6.42%
LG전자 68,700 4,000 +6.18%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1 03:1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