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6.04 14:38:15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남-북-러 가스관사업,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인터넷 대표주, 비만치료제, 항공/저가 항공사(LCC), 윤활유, 치매, 출산장려정책, 모더나(MODERNA),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비만치료제, 2차전지(장비), 피팅(관이음쇠)/밸브, 강관 업체(Steel pipe),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리튬, AI 챗봇(챗GPT 등) 등...
약세 테마전선, 전력설비, 핵융합에너지, 원자력발전, 조선, 은행, 화장품, 수산,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국내 상장 중국기업, 정유,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무선충전기술, 해운, STO(토큰증권 발행), 뉴로모픽 반도체, 화학섬유, 셰일가스(Shale Gas), 자원개발, 콜드체인(저온 유통), 유리 기판, 종합상사, 전기차(충전소/충전기)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항공/저가 항공사(LCC)항공화물 운임 상승에 따른 수혜 전망 및 향후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컨테이너 운임 급등이 중국의 물량 밀어내 기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만큼, 항공화물 운임도 6월 크게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언급. 경상적으로 항공화물 운임은 컨테이너 운임과 동조화를 보였으며 아시아 내 주요 공항과 주요 항공사의 화물 통계도 매우 긍정적이라고 설명.

▷아울러 LS증권도 보고서를 통해 항공업종의 경우 3Q24 성수기를 기점으로 노선별 Mix 정상화 양상이 뚜렷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밝힘. 일본·미주노선의 수요 활황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유럽 노선의 판매비중이 서서히 상승하며 항공사들의 실적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

▷한편,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OPEC+ 감산유지에도 향후 축소 전망, 美 제조업 PMI 부진 등에 급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77달러(-3.60%) 하락한 74.22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에 한진칼, 진에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및 AI 산업 확대 낙수효과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4년1분기 국내 로보틱스 업체들의 실적은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며, 이는 유럽 협동로봇 수요 하락에 따른 영향이 컸다고 분석. 다만, 글로벌 협동 로봇 수요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미국의 수요는 견조하며, 하반기에는 그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 순으로 실적 개선 강도가 강할 것이라며, 개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거의 모든 업체의 탑라인 성장세가 높을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2017년 Transformer 이후 AI 개발 속도는 빨라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AI와 로보틱스 산업과의 결합하려는 시도가 관찰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ChatGPT는 웹 크롤링 데이터, 자율주행차량은 실제 주행 데이터를 Foundation Model을 이용해 학습시킨 결과물이라며, 이와 마찬가지로 로봇의 동작, 작업 데이터를 Foundation Model을 통해 학습시킨다면 이것이 곧 AI와 로보틱스의 결합이라고 밝힘. 엔비디아는 이에 수반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미래 로봇 시장의 판을 짜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는 AI시대에서 국내 로보틱스 업체들에게 향하는 낙수효과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싸이맥스, 뉴로메카, 레인보우로보틱스, 케이엔알시스템, 휴림네트웍스 등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글로벌 금리인하 기대감 확대 및 K-항암 신약 성과 도출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유럽중앙은행(ECB)의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미국의 4월 PCE 물가지표가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고, 현지시간 3일 美 제조업 지표 부진 등에 Fed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 美 공급관리협회(ISM)는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8.7로 전월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힘. 두 달 연속 위축세를 유지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인 49.6을 밑돌았음.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K-항암 신약 성과 도출이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의 FDA 허가는 8월 이전에도 가능성이 있으며, 에스티팜이 원료를 생산하는 제론의 이메텔스타트의 FDA 허가 일정도 6월16일에 예정되어 있다고 언급. 한미약품, 동아에스티, 펩트론의 임상 발표 등도 예정되어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스티팜, 알테오젠, 종근당, 한미약품, 일양약품, 동아에스티, 셀트리온제약 등 제약/바이오 테마가 상승.
화장품운임 상승 여파에 따른 비용 상승 우려 등에 하락
▷일부 언론에 따르면, 상승세를 이어가던 화장품 수출주가 운임 인상이라는 악재를 맞이한 것으로 전해짐. 홍해 사태 여파로 시작된 해상 화물 운임 상승세가 올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화장품 기업이 ‘가성비’를 무기로 미국 등 주요 시장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입점을 시작하는 시점에 물류비 상승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고 있음.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스킨케어 산업의 구조적 성장과 소비자의 Trading down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다만, 단기 주가 상승에 대한 부담과 최근의 컨테이너 운반비 상승 등은 실리콘투 뿐 아니라 화장품 섹터 전반의 주가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음.

▷이에 금일 에이블씨엔씨, 삐아, 스피어파워, 제이투케이바이오, 에이피알, 한국화장품제조 등 화장품 테마가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5 15:30
진에어 9,800 100 +1.03%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5 21:4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