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 막전막후] ② 동반 관계 깨지고 정쟁 비화…네 탓 공방 난무

GJC·강원도 '소통 부재' 드러나…정치권은 책임 떠넘기기 급급결국 회생 방침 철회…시장 혼란 주범 오명에 해결 과제 산적
박영서

입력 : 2022.12.28 08:01:05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강원중도개발공사(GJC)에 대한 기업회생 신청 계획을 발표한 이후 사태가 심각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뒤늦게 감지한 강원도는 보증채무 상환 시기를 12월 15일로 앞당겼으나 이는 미봉책에 불과했다.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면서 책임 소재를 두고 당사자인 도와 GJC 간 불협화음이 드러나고, 정치권에서는 김진태 지사의 기업회생 신청 결정에 정치적 목적이 있음을 지적하고 나서면서 '진실 공방'이 벌어졌다.

결국 도는 보증채무 2천50억원을 상환한 뒤 기업회생 신청 방침을 철회했으나 섣부른 결정으로 금융시장에 큰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하게 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진태발 금융위기사태 진상조사단' 활동 결과 발표
[연합뉴스 자료사진]

◇ GJC "새 도정서 소통 전무" vs 도 "자료 제출 비협조" 송상익 당시 GJC 대표가 지난 11월 1일 연합뉴스와 만나 도의 결정과 관련해 "한 번도 사전에 협의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소통 부재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송 대표는 "김 지사 취임 이후 소통 자체가 거의 없었고, 언론보도를 보고서야 회생 신청 소식을 알았다"며 도의 일방적인 결정이었다고 주장했다.

대출 약정 만기일인 2023년 11월까지 412억원이 모자란다는 메시지를 도에 전했으나 도가 이를 떠안는 게 정치적으로 상당히 부담스럽다는 이유로 회생 신청을 결정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도는 "GJC에 사전 보고요청을 여러 차례 했음에도 이행되지 않아 7월 말 경제부지사 지시로 업무보고 협조 요청 공문을 보낸 뒤에야 응했다"며 맞받아쳤다.

채무상환 부족액 412억원을 두고도 "최소금액이라고 생각했고, 이를 오롯이 도가 부담해야 한다는 보고를 받았기 때문에 회생 신청을 결정했다"고 반박했다.

11월 9일 강원도의회의 GJC에 대상 행정사무 감사는 도와 GJC 간 견해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 순간이었다.

행정사무감사에서 만난 송상익 당시 GJC 대표(앞줄 왼쪽)과 윤인재 강원도 산업국장(앞줄 오른쪽)
[강원도의회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 민주당 "김진태 탓" vs 국민의힘 "최문순 잘못" 정치권에서는 저마다 전·현 도정의 책임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김진태발 금융위기사태 진상조사단'까지 꾸린 더불어민주당은 "김 지사의 회생 신청 선언은 불가피한 선택이 아닌 정치적 의도에 의한 고의부도"라고 공세를 퍼부었다.

반면 국민의힘은 사태의 근원이 2014년 도의회 보고와 의결 없이 채무보증 규모를 210억원에서 2천50억원으로 늘린 전임 도정의 무단보증에 있음을 지적하며 김 지사를 감쌌다.

국민의힘 박기영(춘천3) 도의원이 최 전 지사를 업무상 배임, 직권남용, 직무유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면서 양당 간 갈등은 극에 달했다.

의회 밖에서는 "치졸한 정치 보복"이라는 민주당의 지적에 국민의힘이 "수사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맞붙을 놓으며 논평전을 벌였다.

2천50억원이 담긴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해야 할 의회 안에서는 "양간지풍급 칼바람 속 성냥불을 던져 대형산불을 초래했다"는 비판에 "도민을 위해 횃불을 들었으나 불운한 타이밍이었다"는 옹호가 팽팽히 맞섰다.

박기영 강원도의원, 최문순 전 지사 고발
[박기영 강원도의원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 "상황이 바뀌어서"…회생 방침 철회→경영 정상화 선회 보증채무 상환으로 사태가 진정세로 돌아서면서 도는 회생 신청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2천50억원을 상환한 마당에 회생을 신청하는 게 실익이 크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도는 15일 "회생 신청 계획을 발표한 이후 여러 상황과 여건이 바뀌었다"며 회생 신청 방침을 철회했다.

앞서 영국 멀린엔터테인먼트사의 존 야콥슨 레고랜드리조트그룹 총괄사장과 김 지사가 만나 GJC에 대한 전반적인 경영 혁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이룬 점도 근거로 작용했다.

사임한 송상익 전 대표이사 후임으로는 김준우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경영 정상화 방안 마련 등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회생 신청 방침을 발표하며 시작된 '레고랜드발 사태'는 일단락되는 모양새지만, 최근 유동성 부족 등으로 경영이 악화한 국내 기업에 미친 여파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강원평화경제연구소는 "회생 발표 이전으로 되돌아간 것뿐"이라며 "레고랜드 테마파크 조성과 하중도 개발사업 정상화는 아직 개문발차(開門發車)도 못 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연구소는 "레고랜드 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불공정협약과 토지 계약 매매 의혹, 공사대금 미납과 유적 공원 조성 등 1천500억원이 넘게 예상되는 현안 사업비 마련 등 본격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겹겹이 쌓여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태 강원지사 찾은 레고랜드 총괄 사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conany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07:0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