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지갑 닫았나 … 명품株 ETF '부진'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4.07.22 17:44:06
입력 : 2024.07.22 17:44:06
유럽명품기업 부진한 실적에
ETF 수익률 넉달새 10% 하락

고금리·고물가가 장기화되면서 '비싼'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명품주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던 올해 초만 해도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 주가가 고공 행진했다. 하지만 고물가에 소비 여력이 줄고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정부의 물가 상승을 비난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들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ODEX 유럽명품TOP10 STOXX'는 올해 고점을 기록했던 지난 3월 15일 이후 4개월간 9.72% 하락했다.
이 상품은 에르메스 20.09%,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19.87%, 리치몬트 19.35% 등으로 구성된 명품기업 위주의 상장지수펀드(ETF)다. 같은 기간 'HANARO 글로벌럭셔리S&P(합성)' 또한 6.63% 하락했다. 실적 악화가 주된 원인이다. 명품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부진한 실적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특히 지난 1분기 중국 소비 둔화로 매출이 부진하게 나타난 이후 주가가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대표적인 명품주 LVMH의 주가는 3월 14일 872.80유로에서 지난 19일 679.80유로로 22.11% 하락했다. 영국의 고급 의류 브랜드 버버리 또한 같은 기간 44.11%나 급락했다. 올해 상반기 손실을 전망하고 배당금 지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최근도 기자]
ETF 수익률 넉달새 10% 하락

고금리·고물가가 장기화되면서 '비싼'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명품주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던 올해 초만 해도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 주가가 고공 행진했다. 하지만 고물가에 소비 여력이 줄고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정부의 물가 상승을 비난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들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ODEX 유럽명품TOP10 STOXX'는 올해 고점을 기록했던 지난 3월 15일 이후 4개월간 9.72% 하락했다.
이 상품은 에르메스 20.09%,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19.87%, 리치몬트 19.35% 등으로 구성된 명품기업 위주의 상장지수펀드(ETF)다. 같은 기간 'HANARO 글로벌럭셔리S&P(합성)' 또한 6.63% 하락했다. 실적 악화가 주된 원인이다. 명품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부진한 실적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특히 지난 1분기 중국 소비 둔화로 매출이 부진하게 나타난 이후 주가가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대표적인 명품주 LVMH의 주가는 3월 14일 872.80유로에서 지난 19일 679.80유로로 22.11% 하락했다. 영국의 고급 의류 브랜드 버버리 또한 같은 기간 44.11%나 급락했다. 올해 상반기 손실을 전망하고 배당금 지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최근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닥) 금액기준
-
2
서울 서대문역 인근 우량 오피스 ‘웨스트게이트타워’ 매물로
-
3
‘갤럭시 폴드 납품’ 도우인시스 “상장으로 글로벌 고객 확대”
-
4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수량기준
-
5
코스피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6
‘L자형’ ‘우하향’ 성장 우려에...경제 전문가들, 이재명 정부에 이렇게 제안했다
-
7
오늘의 인기검색 20종목
-
8
[속보]국내 증시 시총 사상 첫 3000조원 돌파…“4개월째 상승 랠리 지속”
-
9
동국제약,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10
코스피 프로그램 순매도 상위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