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장 멈춰서자 원유 ETF 우수수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4.07.30 18:01:40 I 수정 : 2024.07.30 19:55:06
입력 : 2024.07.30 18:01:40 I 수정 : 2024.07.30 19:55:06
무역갈등에 수입 줄어든데다
美 증산 추진 전망 낙폭 키워
WTI원유선물 이달 7% 하락
이달 들어 원유 가격 급락에 이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7% 이상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원유 선물 ETF는 지난달만 해도 중동 위기로 공급 우려가 커지면서 6%대 반등을 했지만 한 달 만에 상승폭을 모두 반납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0일 'KODEX WTI원유선물(H)'은 전날보다 2.77% 떨어진 1만4930원에 마감했다. 이달 들어서만 6.95% 하락한 셈이다.
'TIGER 원유선물Enhanced(H)'도 이날 2.65% 떨어진 4410원에 마감하며 이달 하락폭을 7.06%로 키웠다. 이는 국제유가가 이달 들어 지속 하락세를 타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브렌트유는 전날 대비 1.7%(1.35달러) 떨어져 배럴당 79.78달러에 마감했다.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도 1.8%(1.35달러) 하락한 75.8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브렌트유 가격이 70달러대로 떨어진 것 역시 지난달 7일 이후 처음이다.
세계 원유 소비량의 6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원유 수입 규모가 줄어든 게 큰 원인이다. 지난달 기준 중국 원유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정제유 수입 규모도 32% 급감했다.
중국의 지속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와 경제 둔화가 원유 수요 감소의 원인이다. 주요 수송 및 산업용 연료인 석유에 대한 중국 내부 수요가 줄어들었고, 제품 생산으로 인한 수익이 줄어들면서 제조업체들은 공장 가동률을 낮췄다.
앞서 발표된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4.7%에 그쳐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미국 원유 생산량 증산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이달 초 배럴당 80달러대 초중반에 머물던 WTI 9월물 가격은 트럼프 전 대통령 총격 사건 이후 급락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유가가 70~80달러대 초반의 안정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며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잠재적 변수지만 주요국 경기 회복이 기대에 못 미치고 미국 경기도 점진적으로 둔해지고 있어 예상보다 줄어든 원유 수요가 유가 상승을 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도 기자]
美 증산 추진 전망 낙폭 키워
WTI원유선물 이달 7% 하락
이달 들어 원유 가격 급락에 이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7% 이상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원유 선물 ETF는 지난달만 해도 중동 위기로 공급 우려가 커지면서 6%대 반등을 했지만 한 달 만에 상승폭을 모두 반납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0일 'KODEX WTI원유선물(H)'은 전날보다 2.77% 떨어진 1만4930원에 마감했다. 이달 들어서만 6.95% 하락한 셈이다.
'TIGER 원유선물Enhanced(H)'도 이날 2.65% 떨어진 4410원에 마감하며 이달 하락폭을 7.06%로 키웠다. 이는 국제유가가 이달 들어 지속 하락세를 타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브렌트유는 전날 대비 1.7%(1.35달러) 떨어져 배럴당 79.78달러에 마감했다.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도 1.8%(1.35달러) 하락한 75.8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브렌트유 가격이 70달러대로 떨어진 것 역시 지난달 7일 이후 처음이다.
세계 원유 소비량의 6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원유 수입 규모가 줄어든 게 큰 원인이다. 지난달 기준 중국 원유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정제유 수입 규모도 32% 급감했다.
중국의 지속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와 경제 둔화가 원유 수요 감소의 원인이다. 주요 수송 및 산업용 연료인 석유에 대한 중국 내부 수요가 줄어들었고, 제품 생산으로 인한 수익이 줄어들면서 제조업체들은 공장 가동률을 낮췄다.
앞서 발표된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4.7%에 그쳐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미국 원유 생산량 증산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이달 초 배럴당 80달러대 초중반에 머물던 WTI 9월물 가격은 트럼프 전 대통령 총격 사건 이후 급락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유가가 70~80달러대 초반의 안정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며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잠재적 변수지만 주요국 경기 회복이 기대에 못 미치고 미국 경기도 점진적으로 둔해지고 있어 예상보다 줄어든 원유 수요가 유가 상승을 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2
이번엔 이더리움 랠리…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후 잠잠할 때 급등세
-
3
오전장★테마동향
-
4
SKT "전고객 유심 보호 가입 완료…찾아가는 서비스 내주초부터"(종합)
-
5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6
SDN(099220) 상승폭 확대 +18.76%, 3거래일 연속 상승
-
7
한국투자증권, 뱅키스 고객 대상 개인연금 이벤트
-
8
신한운용 ‘SOL ETF’ 홈페이지 리뉴얼···“배당정보 확인 편리해져”
-
9
LS(006260) 소폭 상승세 +4.77%, 6거래일 연속 상승
-
10
반도체 훈풍 탄 코스피 2,620대 안착…코스닥도 상승 전환
05.14 13:0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