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 한은 총재 "올해 통화정책, 물가 안정에 중점"
"공급망 재편과 고금리, 중국 의존도 낮추고 가계부채 줄일 기회"
신호경
입력 : 2023.01.01 12:00:02
입력 : 2023.01.01 12:00:02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일 "국민 생활에 가장 중요한 물가가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올해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정책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신년사에서 올해 통화정책 방향을 이렇게 제시했다.
아울러 올해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해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기조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락할 수도 있다"며 "국내에서도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위축돼 관련 금융시장 불안이 재연될 수 있고, 금리 인상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 물가·경기·금융간 상충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동시에 이 총재는 이런 '복합 위기'의 긍정적 측면도 언급했다.
그는 "작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까지 급등했지만, 정부·기업·금융기관의 위험관리 시스템이 개선된 결과 환율이 점차 안정됐다"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확인하는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무역수지 적자에 대해서도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우리 수출은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며 "반도체 수출이 단가 하락으로 부진했지만, 여타 주력 품목은 증가세를 이어간 만큼 대외 여건이 회복되면 무역수지도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낮춰야 하고, 고금리 환경도 높은 가계부채 수준을 낮추고 부채 구조를 개선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1/PYH2022112410930001300_P4.jpg)
이창용 한은 총재
[사진공동취재단]
shk999@yna.co.kr(끝)
이 총재는 이날 신년사에서 올해 통화정책 방향을 이렇게 제시했다.
아울러 올해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해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기조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락할 수도 있다"며 "국내에서도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위축돼 관련 금융시장 불안이 재연될 수 있고, 금리 인상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 물가·경기·금융간 상충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동시에 이 총재는 이런 '복합 위기'의 긍정적 측면도 언급했다.
그는 "작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까지 급등했지만, 정부·기업·금융기관의 위험관리 시스템이 개선된 결과 환율이 점차 안정됐다"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확인하는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무역수지 적자에 대해서도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우리 수출은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며 "반도체 수출이 단가 하락으로 부진했지만, 여타 주력 품목은 증가세를 이어간 만큼 대외 여건이 회복되면 무역수지도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낮춰야 하고, 고금리 환경도 높은 가계부채 수준을 낮추고 부채 구조를 개선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1/PYH2022112410930001300_P4.jpg)
[사진공동취재단]
shk999@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이시바, 美日정상회담 시작…한미일협력·북핵 논의 주목
-
2
[속보] 트럼프, 일본 총리에 "무역균형 원한다"
-
3
트럼프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발표"…韓도 포함되나
-
4
달러-원, '트럼프 상호 관세' 보도에 막판 급등…1,454.00원 마감
-
5
테슬라, 지난달 中 판매량 11.5% 감소…주가 사흘째 약세
-
6
트럼프 "내주 젤렌스키 만날 것…가자지구 구상 서두르지 않아"
-
7
[속보] 트럼프 "자동차 관세도 검토 대상…매우 큰 문제"
-
8
"日 소프트뱅크, 오픈AI에 400억달러 투자…논의 마무리 단계"
-
9
트럼프, 중국발 소액 수입상품 면세 일단 유지하도록 행정명령
-
10
트럼프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발표"…韓도 포함되나(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