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5.02.24 17:07:35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이슈요약
위너스
(479960)
34,000원
(
+300.00%)
신규 상장 첫날 상한가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8,500원을 상회한 23,45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한가를 기록. 증시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4배로 오르는 속칭 '따따블'을 올해 처음이자 반년 만에 기록했음.
▷한편, 동사는 배선기구 전문업체로 스위치, 콘센트로 대표되는 배선기구, 빌트인콘센트를 포함한 멀티콘센트 및 기타 통신기기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 아울러 아파트를 포함한 주거용건물에 탑재된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스마트 배선기구 및 스마트 분전함을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차충전기 시장에 진출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중임.
포니링크
(064800)
1,532원
(
+29.94%)
포니AI(Pony.ai), 광저우 내 유료 로보택시 운영자 승인 소식 속 전략적 협력 관계 부각에 상한가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와 한국 시장 내 자율주행 사업에 한창인 포니AI(Pony.ai)가 중국 최초이자 유일한 광저우 내 유료 로보택시 운영자로 승인 받은 것으로 전해짐. 운영 구간은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부터 광저우 남부 기차역까지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포니AI는 지난 주말 미국 시장에서 32.05% 급등했음.
싸이버원
(356890)
4,410원
(
+29.9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한가
▷지난 21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78.55억원(전년대비 +93.93%), 영업이익 113.31억원(전년대비 +787.99%), 순이익 122.03억원(전년대비 +401.41%).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종속회사 솔루션 매출 발생에 따라 매출 외형 및 이익이 증가했다"고 밝힘.
성우
(458650)
22,600원
(
+28.12%)
LG에너지솔루션을 통한 테슬라 4680 배터리 모델 부품 공급 기대감 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LG에너지솔루션을 통해 테슬라 전기차 및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의 4680 배터리 밸류체인에 합류할 것으로 알려짐. 동사는 2170 배터리 탑캡 어셈블리(Top Cap Assembly) 부품을 LG에너지솔루션에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이번 4680 배터리 부품 확장으로 원통형 배터리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회사와 업계에 따르면, 동사는 2024년 21억원 투자를 거쳐 작년말 4680 관련 부품 생산을 시작했으며, 올해 램프업(325억원 투자)을 통해 대량 생산체제에 들어갈 것으로 전해짐. 4680 배터리 체제는 양극·음극 집전판, 탑 인슐레이터 등으로 포트폴리오가 확대될 예정. 또한, 동사는 리비안 전기차에 들어가는 4695용 배터리 탑캡 어셈블리도 개발 중이며, 내년 상반기 중으로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비아이매트릭스
(413640)
10,500원
(
+20.69%)
AI 솔루션을 통한 올해 고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AI 제품 출시 등에 힘입어 지난해 흑자 전환했다며, 올해 실적은 매출액 446억원(YoY +45%), 영업이익 72억원(YoY +2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25년 AI 솔루션 매출은 약 90억원(YoY +129%)을 추정하였으나, 동사의 솔루션이 글로벌 BI 산업 트렌드에 부합하며 주요 레퍼런스를 확보를 통해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점에 있어서 더 높은 성장세도 가능하다고 언급.
▷또한, 미국 파트너사를 통한 해외 진출이 본격화된다는 점도 주목한다고 밝힘. AI 서비스를 통한 성장 전략을 갖춘 동사와 비슷한 규모의 국내 업체들이 대부분 2,000억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받고 있다는 점을 감안 시, AI 솔루션을 통한 실적 성장을 보이는 동사의 기업가치도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밝힘.
뱅크웨어글로벌
(199480)
5,900원
(
+14.56%)
中 알리바바, 3년간 클라우드·AI 분야에 약 75조원 규모 투자 소식 속 알바바리클라우드 한국 총판사로 부각되며 급등
▷언론에 따르면, 중국 AI(인공지능) 공습의 선봉 격인 마윈의 알리바바가 향후 3년간 클라우드 및 AI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에 총 3,800억위안(약 75조원)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전해짐.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앞으로 3년간 알리바바는 클라우드와 AI 인프라에 3,800억위안(약 75조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으며, 이는 알리바바의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대한 지난 10년간의 총 투자액을 뛰어넘는 금액인 동시에 중국 민영기업 가운데 AI 분야에 대한 역대 최대 규모로 알려졌음.
▷이 같은 소식에 알바바리클라우드의 한국 총판사인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실리콘투
(257720)
35,950원
(
+6.36%)
1,440억원 규모 투자 유치로 해외 확장 가속화 기대감 등에 강세
▷지난 21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유한회사 실크투자목적회사 대상 우선주 4,404,344주(1,44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2,695원) 공시.
▷이와 관련,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1,440억원 규모 투자 유치로 해외 확장 가속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번 투자 유치는 동사의 유럽, 중동, 중남미 및 동남아 등 신규 시장 진출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이미 동사의 3Q24 유럽 주요국 매출은 전년 대비 491%, 중동(UAE) 매출은 전년 대비 714% 성장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에, 자금 투입을 통해 더욱 공격적인 성장이 가능해질 것으로 추정.
▷특히, 밸류에이션 역시 12개월 선행 P/E 10.3배 수준으로 매력적인 동사를 화장품 섹터 최선호주(top pick)로 유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7,000원[유지]
노을
(376930)
3,325원
(
+5.89%)
63.44억원 규모 마이랩(miLab)플랫폼 및 말라리아 진단 카트리지(MAL) 베냉 공급 및 독점 판매권 부여 계약 체결에 상승
▷Abenes SARL과 4,423,800달러(약 63.44억원) 규모 마이랩 (miLab)플랫폼, 말라리아 카트리지(Cartridge MAL)의 베냉 공화국 내 공급 및 독점 판매권 부여 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2-24~2028-02-23) 공시.
▷이와 관련, 임찬양 동사 대표는 "이번 독점 공급 체결은 동사의 말라리아 솔루션을 평가하고 구매해 온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miLab™ MAL의 대체불가능한 최고의 성능과 편의성을 입증해 온 것이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동사의 AI 기반 혈액 진단 플랫폼 마이랩은 미국 최대 진단랩인 랩콥과의 성능 평가에서 표준 현미경 대비 우월한 성능을 입증하는 등 중저소득국 및 선진국 시장 모두에서 최고의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힘.
아스테라시스
(450950)
9,030원
(
+5.74%)
신제품 쿨페이즈 본격 성장 및 미국 진출 기대감 등에 상승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매출액 498억원(+71.1% YoY)과 영업이익 192억원(+171.5% YoY, OPM 38.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신규 장비 쿨페이즈의 본격적인 성장과 미국 진출 기대감으로 실적과 주가는 모두 레벨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쿨페이즈 포함 RF 장비의 올해 예상 매출액은 230억원(+217.4% YoY)으로 전망.
▷또한, 올해 2월 국내 식약처 승인을 받은 신규 HIFU 장비 쿨소닉의 연내 미 FDA 승인이 계획대로 이뤄질 경우 2026년 또 한번의 실적 레벨업이 기대된다고 언급. 현재 미국 10위권 내 대형 유통사들과의 컨택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연내 승인 시 2026년 시장에 빠르게 침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12,000원[신규]
디티앤씨알오
(383930)
8,040원
(
+5.37%)
약동학·약력학(PK·PD) 센터 개소 예정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3월6일 약동학·약력학(PK·PD) 센터 개소식과 함께 ADME 세미나를 개최하며, 제약·바이오 분야 시험 및 연구 서비스 확장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힘. 신규 PK·PD 센터는 기존 안전성센터, 효능평가센터, 분석센터와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PK·PD 및 ADME 시험과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제약 및 바이오텍 기업들의 다양한 연구 및 실험 요구를 충족할 것으로 전해짐.
▷PK·PD 센터에서는 ADME/DMPK 시험 분석 서비스, PK/PD 컨설팅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험실 및 동물실 대여 서비스도 지원하며, 주요 업무로는 in vitro, in vivo ADME 시험 분석, PK-PD 모델링을 통한 신약 개발 전략 컨설팅, 그리고 설치류 및 비글 사육 시설과 실험실 대여가 포함될 예정.
소룩스
(290690)
2,980원
(
+5.30%)
합병 추진 기업 아리바이오, 美 투자 콘퍼런스 참가해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 프로젝트 구두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합병을 진행중인 아리바이오가 25일부터 27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글로벌 생명과학 파트너십 및 투자 콘퍼런스(Global Life Science Partnering & Investor Conference 2025)에 참가한다고 밝힘. 아리바이오는 기술력과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 프로젝트에 대해 구두로 발표할 예정이며, 빅파마들과 활발히 기술이전 협상을 나누고 다양한 파트너 및 투자자들을 만날 계획으로 전해짐.
▷한편, 동사는 지난 24년8월9일 ㈜아리바이오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 대 1.8547163, 합병기일:미정, 신주상장예정:미정)한 바 있음.
동성화인텍
(033500)
21,900원
(
+4.04%)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 매출액 1,647억원(YoY +18.5%), 영업이익 156억원(YoY +20.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보냉재 원가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MDI 가격이 과거 대비 하향 안정화되고 있다고 분석.
▷이에 금일 신규추천 종목으로 편입.
원텍
(336570)
6,540원
(
+3.97%)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E 매출액 321억원(YoY +6%, QoQ +19%), 영업이익 113억원(YoY +7%, QoQ +53%)으로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실적 견인하는 지역은 태국과 미국이며, 미국 수출은 2.9백만달러로 YoY +545% 증가하며 라비앙 미국 출시에 따른 선적 개시 추정. 4Q24 태국 수출은 4.4백만달러로 YoY +10% 성장하며 직판 효과를 확인중이라고 밝힘.
▷아울러 2025E 매출액 1,397억원(YoY +26%), 영업이익 474억원(YoY +4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올리지오 브라질 출시(141억원, YoY +13%)와 함께 개원의 증가에 따른 내수 장비 판매 확대 및 의료 관광객 증가에 따른 내수 올리지오팁 매출 증가가 기대(내수 476억원, YoY +19%)된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000원 -> 10,000원[상향]
엘앤씨바이오
(290650)
23,700 원
(
+2.82%)
올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는 중국 매출 개시 및 미국 진출, 스킨부스터 국내 시장 진입에 따라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2025E 매출액 1,169억원(YoY +66%), 영업이익 138억원(YoY +338%)을 전망한다고 언급. 특히, 2026E EPS 20배 적용 시 적정 시가총액은 7,500억원 수준이라고 언급.
빛샘전자
(072950)
4,035원
(
+2.41%)
지난해 호실적에 소폭 상승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51.20억원(전년대비 +14.86%), 영업이익 50.73억원(전년대비 +38.33%), 순이익 50.91억원(전년대비 +23.84%).
시그네틱스
(033170)
897원
(
-2.07%)
지난해 적자폭 확대에 소폭 하락
▷지난 21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81.50억원(전년대비 -36.30%), 영업손실 258.33억원(전년대비 적자폭확대), 순손실 509.19억원(전년대비 적자폭확대).
아모그린텍
(125210)
6,790원
(
-2.86%)
지난해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지난 21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85.65억원(전년대비 -12.89%), 영업이익 44.70억원(전년대비 -63.61%), 순이익 22.43억원(전년대비 -82.76%).
잉글우드랩
(950140)
8,550원
(
-3.82%)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21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22.20억원(전년대비 -11.87%), 영업이익 187.95억원(전년대비 -34.86%), 순이익 196.27억원(전년대비 -5.37%). 24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21.98억원(전년동기대비 -26.25%), 영업이익 37.06억원(전년동기대비 -53.43%), 순이익 78.54억원(전년동기대비 +160.15%).
KS인더스트리
(101000)
2,345원
(
-3.89%)
10억원 규모 CB 발행 및 4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납입일 연기 속 하락
▷지난 21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하승진 등 대상 1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146원, 전환청구일:2026-02-27 ~ 2030-01-26) 공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이엘엠시스템(주) 대상 2,624,671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905원, 상장예정:2025-03-14 -> 2025-03-24) 정정공시. 이와 관련, 이엘엠시스템으로부터 100% 청약 증거금을 확보했으나, 실무 처리 과정에서의 착오로 인해 거래소 공시 규정에 따라 납입 일정이 조정됐다고 설명.
뉴트리
(270870)
6,000원
(
-4.0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21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23.79억원(전년대비 -19.15%), 영업이익 55.99억원(전년대비 -46.78%), 순이익 35.77억원(전년대비 -23.33%).
클리오
(237880)
18,020원
(
-8.06%)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등에 약세
▷지난 21일 장 마감 후 24년4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82.50억원(전년동기대비 -12.75%), 영업이익 1.10억원(전년동기대비 -99.05%), 순이익 22.68억원(전년동기대비 -65.10%).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추정치(매출 938억원, 영업이익 94억원)를 크게 하회했다고 밝힘. 수익성 급감의 주요인은 매출 하락에 있으며, 일회성 비용은 없었다고 언급. 이어 국내의 경우 다양한 색조 브랜드의 진입 및 동사 브랜드의 뉴니스 부족으로 국내 주요 성장 채널(온라인, H&B)에서 점유율이 하락했으며, 해외 역시 경쟁 심화와 북미 MoCRA 대응 지연 등으로 해외 매출이 감소했다고 분석.
▷다만, 동사의 올해 실적은 연결 매출 3.6천억원(YoY+2%), 영업이익 346억원(YoY+40%, 영업이익률 10%)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 -> 26,000원[하향]
코스메카코리아
(241710)
42,650원
(
-9.83%)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분석 및 1분기 실적 역성장 전망 등에 급락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283억원(+5% YoY), 영업이익 133억원(-11% YoY)으로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190억원을 30% 하회하였다고 밝힘. 이는 잉글우드랩 미국 및 중국 법인의 적자, 제품 믹스 변화로 인한 원가율 상승, 판관비 증가에 기인한다고 분석. 이어 뉴저지 법인은 매출 감소와 인건비 부담으로 적자를 기록했고, 중국 법인은 저단가 제품 생산으로 원가 부담 이 커졌다고 언급. 또한, 쿠션 제품 비중 확대와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률이 둔화되었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는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외화 환산 이익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단기적으로 잉글우드랩의 매출 감소와 인건비 부담으로 2025년 1분기 실적 역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원 -> 65,000원[하향]
아이엠
(101390)
1,022원
(
-12.50%)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우려에 급락
▷지난 21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우려 공시. 이와 관련,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사실을 공시했으며, 이후 2024년 감사보고서에서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밝힘.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24 15:30
위너스 34,000 25,500 +300.0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24 21:1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