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5.04.01 17:05:20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4/1 KOSDAQ 691.45(+2.76%) 尹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 속 정치적 불안 완화(+), 저가 매수세 유입(+), 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경계감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81.58(+8.73P, +1.30%)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반납하며 677.86(+5.01P, +0.7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빠르게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오전 장 후반 695.73(+22.88P, +3.4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서서히 상승폭을 축소하던 지수는 결국 691.45(+18.60P, +2.76%)로 장을 마감.
美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도 저가 매수세 유입 및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에 따른 정치적 불안 완화 등에 코스닥지수는 2.76% 급등, 나흘만에 반등. 기관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다만, 개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특히, 정치적 불안 완화 속 동신건설(+30.00%), 형지글로벌(+29.97%), 오리엔트정공(+29.92%), 디젠스(+29.88%), 형지엘리트(+29.86%), 에이텍(+29.84%), 형지I&C(+29.70%)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를 비롯해 정치 관련주들이 급등. 최근 낙폭이 과대했던 펩트론(+15.76%), 보로노이(+6.12%), 삼천당제약(+5.52%), HLB(+5.26%), 휴젤(+4.48%), 알테오젠(+4.35%), 리가켐바이오(+4.32%) 등 제약/바이오, 서진시스템(+6.08%), 테크윙(+5.89%), 이오테크닉스(+4.15%)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 제이준코스메틱(+15.47%), 실리콘투(+10.43%), 브이티(+8.05%) 등 화장품 테마도 큰 폭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이 1,767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688억, 51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펩트론(+15.76%), 보로노이(+6.12%), 삼천당제약(+5.52%), HLB(+5.26%), 휴젤(+4.48%), 알테오젠(+4.35%), 리가켐바이오(+4.32%), JYP Ent.(+3.21%), 셀트리온제약(+3.20%), 클래시스(+2.84%), 펄어비스(+2.50%), 리노공업(+2.13%), HPSP(+1.34%), 코오롱티슈진(+1.23%), 네이처셀(+0.70%)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2.32%), 에스엠(-1.12%), 에코프로비엠(-0.52%) 등은 하락.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건설(+6.67%), 기타제조(+4.50%), 제약(+4.14%), 일반서비스(+3.74%), 유통(+3.61%), 비금속(+3.45%), 운송장비/부품(+3.45%), IT 서비스(+2.88%), 제조(+2.69%), 의료/정밀기기(+2.58%), 운송/창고(+2.55%), 화학(+2.53%), 섬유/의류(+2.27%), 전기/전자(+2.06%), 금속(+2.03%)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1.50%), 금융(-0.08%)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91.45P(+18.60P/+2.76%)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경계감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81.58(+8.73P, +1.30%)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반납하며 677.86(+5.01P, +0.7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빠르게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오전 장 후반 695.73(+22.88P, +3.4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서서히 상승폭을 축소하던 지수는 결국 691.45(+18.60P, +2.76%)로 장을 마감.
美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도 저가 매수세 유입 및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에 따른 정치적 불안 완화 등에 코스닥지수는 2.76% 급등, 나흘만에 반등. 기관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다만, 개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특히, 정치적 불안 완화 속 동신건설(+30.00%), 형지글로벌(+29.97%), 오리엔트정공(+29.92%), 디젠스(+29.88%), 형지엘리트(+29.86%), 에이텍(+29.84%), 형지I&C(+29.70%)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를 비롯해 정치 관련주들이 급등. 최근 낙폭이 과대했던 펩트론(+15.76%), 보로노이(+6.12%), 삼천당제약(+5.52%), HLB(+5.26%), 휴젤(+4.48%), 알테오젠(+4.35%), 리가켐바이오(+4.32%) 등 제약/바이오, 서진시스템(+6.08%), 테크윙(+5.89%), 이오테크닉스(+4.15%)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 제이준코스메틱(+15.47%), 실리콘투(+10.43%), 브이티(+8.05%) 등 화장품 테마도 큰 폭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이 1,767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688억, 51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펩트론(+15.76%), 보로노이(+6.12%), 삼천당제약(+5.52%), HLB(+5.26%), 휴젤(+4.48%), 알테오젠(+4.35%), 리가켐바이오(+4.32%), JYP Ent.(+3.21%), 셀트리온제약(+3.20%), 클래시스(+2.84%), 펄어비스(+2.50%), 리노공업(+2.13%), HPSP(+1.34%), 코오롱티슈진(+1.23%), 네이처셀(+0.70%)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2.32%), 에스엠(-1.12%), 에코프로비엠(-0.52%) 등은 하락.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건설(+6.67%), 기타제조(+4.50%), 제약(+4.14%), 일반서비스(+3.74%), 유통(+3.61%), 비금속(+3.45%), 운송장비/부품(+3.45%), IT 서비스(+2.88%), 제조(+2.69%), 의료/정밀기기(+2.58%), 운송/창고(+2.55%), 화학(+2.53%), 섬유/의류(+2.27%), 전기/전자(+2.06%), 금속(+2.03%)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1.50%), 금융(-0.08%)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91.45P(+18.60P/+2.76%)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4 15:30
HLB | 57,600 | 600 | +1.05%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관세發 침체공포에 美국채 10년물 금리 6개월만에 4% 하회
-
2
중국계 비트코인 갑부 등 민간인 4명 나흘간 우주비행 후 귀환
-
3
[뉴욕유가] 中 보복관세에 글로벌 침체 공포…WTI 7.4% 폭락
-
4
창립 50주년 맞은 MS, 1986년 상장 후 시총 약 4천배 증가
-
5
글로벌 증시 패닉에 금값도 3% 급락…"금 매도해 마진콜 대응"
-
6
국제유가, 침체 공포에 4년 만에 최저…WTI 7% 급락
-
7
미국 증시 이틀째 폭락.. 애플 7% 테슬라 10% 하락
-
8
[속보] 나스닥, 이틀새 11% 폭락…약세장 진입
-
9
[1보] 뉴욕증시, 무역전쟁 격화에 이틀째 폭락…다우 5.5%↓
-
10
[뉴욕증시-1보] 美中무역전쟁 발화·'매파' 파월…또 팬데믹급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