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3) - 특징 테마

입력 : 2025.04.01 17:05:32
제목 : 증시요약(3) - 특징 테마
특징테마이 슈 요 약
테마시황▷3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유리 기판, PCB(FPCB 등) 등 테마도 상승.

▷美 제재로 中 선박 건조 취소 소식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헌법재판소, 오는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정치/인맥(이재명, 김문수, 한동훈, 안철수, 오세훈 등), 미디어(방송/신문) 및 일자리(취업),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건설 중소형 등 정책 관련 테마 상승.

▷한국 화장품 수출, 미국 시장 1위 소식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여행, 카지노, 면세점,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게임/모바일게임, 항공/저가항공사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트럼프 美 대통령 북한과 소통 관련 발언 등에 남북경협, 철도 테마 상승.

▷中 드론 택시 세계 최초 상업 운항 허가 소식 등에 드론(Drone)/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美, 러시아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 속 국제유가 급등 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 상승.

▷이 외에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기일 지정 속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조짐 및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인터넷 대표주, 창투사, 영화, 조림사업,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마스크,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그래핀, 마이크로바이옴, 쿠팡, 패션/의류,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모더나, NFT(대체불가토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NI(네트워크통합), STO(토큰증권 발행), 메타버스, 보안주(물리)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편의점, 통신, 2차전지(생산), 백화점, 육계, 비료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반도체 관련주

3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상승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월 수출이 582억8,000만달러로 2022년 3월(637억9,000만달러)에 이어 3월 기준 역대 2위를 기록했다고 밝힘. 지난 1월 수출은 전년보다 10% 감소했지만, 2월 플러스로 전환한 데 이어 3월까지 두 달 연속 증가.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전년대비 5.5% 증가한 26억5,000만달러로 나타났음. IT 품목들은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만에 모두 동시 흑자를 기록한 가운데,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호조세에 따라 11.9% 증가하면서 플러스 전환했음.

▷이날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낸드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고, D램 가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음. 메모리카드·USB용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대비 9.61% 오 른 2.51달러를 기록. 낸드 가격은 지난해 9월부터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인 뒤 올해 1월 반등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3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과 같은 1.35달러로 집계. D램 가격은 지난해 8월 하락 전환한 뒤 9월(-17.07%), 11월(-20.59%)에는 두 자릿수가 급락했고, 12월부터 변동이 없는 상태가 지속.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바이든 행정부 때 미국에 투자한 반도체 기업에 지급하기로 약속한 보조금의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했음. 트럼프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에 대한 투자자를 지원하는 ‘미국 투자 액셀러레이터’ 사무소를 상무부 내에 만들라고 상무부 장관에게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이 사무소에 상무부의 반도체법 프로그램 사무소(CPO)도 책임지라고 지시했음.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CPO에 대해 "전임 행정부보다 훨씬 나은 합의를 협상해 흥정(bargain)에 따른 이득을 납세자에 가져다주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테크윙, 어보브반도체, 리노공업,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美 제재로 中 선박 건조 취소 소식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美 에너지 메이저 기업 엑슨모빌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예정이었던 액화천연가스벙커린선(LNGBV) 신조 계약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엑슨모빌은 지난달 2만 큐빅미터(cbm·부피의 단위)급 LNGBV 2척을 건조할 슬롯을 중국 조선소를 통해 확보했으며 조만간 공식 입찰을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슬롯을 확보하는 이 옵션을 끝내 행사하지 않았음. 지난 30일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엑손모빌이 중국 조선소 슬롯 옵션을 행사하지 않은 것은 미국 정부의 대중국 항만 수수료 부과 계획이 실제 선박 발주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USTR 중국 제재안의 첫 수혜로 확인됐다고 언급.

▷美 의회조사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세계 선박 인도량은 중국이 51%로 가장 많았고 한국(28.3%), 일본(15.4%) 순이었다며, 중국 선사 및 선박에 수수료 부과 가능성이 커지면서 비(非)중국산 선박에 대한 프리미엄도 붙는 상황이라고 알려짐. 이에 조선업계 관계자는 "엑손모빌이 수주를 취소한 대형 LNGBV는 중국과 한국 조선소에서만 만들 수 있어 한국으로 물량이 올 수 있다. 현재 한국 조선소는 수년 치 일감이 쌓여 있어 슬롯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언급.

▷금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3월 수출액은 582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1%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음. 특히, 3월 선박 수출은 32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51.6% 급증, 2023년 12월 이후 15개월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태웅, 동성화인텍, 인화정공, HD현대마린솔루션, SK오션플랜트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정치/인맥(이재명& 김문수& 한동훈 등) 등

헌법재판소, 오는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상승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선고할 예정. 탄핵소추안이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재적 300명 중 204명이 찬성하며 가결된 이후 111일만에 인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탄핵심판 선고일은 마지막 변론 기일 기준으로는 38일만임. 헌법재판관들은 연일 평의를 열어 치열한 법리 판단을 이어나간 것으로 전해졌으며,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재판관 내 이견이 상당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형지글로벌, 형지I&C, 오리엔트정공, 동신건설, 에이텍, 오리엔트바이오, 디젠스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를 비롯해 대상홀딩스, 오파스넷 등 정치/인맥(한동훈), 진양화학 등 정치/인맥(오세훈), 경남스틸 등 정치/인맥(홍준표), 안랩 등 정치/인맥(안철수), 평화홀딩스 등 정치/인맥(김문수), SG글로벌 등 정치/인맥(김동연),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등 정치/인맥(우원식), 넥스트아이 등 정치/인맥(이준석), NE능률, 덕성 등 정치/인맥(윤석열) 등 테마가 상승. 또한, 정책주로 부각되는 대성창투, 원티드랩, 오픈놀 등 일자리(취업), 꿈비, 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 등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KD, 이화공영, 일성건설 등 건설 중소형 및 탄핵 수혜주로 꼽히는 iMBC, YTN, SBS 등 미디어(방송/신문) 테마가 상승. 아울러 유라테크/프럼파스트/대주산업 등 세종시 관련주도 상승.

화장품

한국 화장품 수출, 미국 시장 1위 소식 등에 상승
▷전세계적으로 K뷰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이 분야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한국산 화장품이 프랑스를 제치고 수출 국가 1위를 차지했음.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국제무역위원회 자료를 인용해 한국의 작년 대미 화장품 수출액이 17억100만 달러(약 2조5,073억원)를 기록했음. 서구권에서 인지도가 높은 명품 브랜드 화장품을 주로 판매하는 프랑스(12억6,300만 달러?약 1조8,617억원)를 넘어선 수치임. 블룸버그는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에스티로더, 일본 제조업체 시세이도가 올해 1분기 순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어려움을 겪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한국 화장품의 약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

▷K뷰티의 선전은 한류의 확산때문으로 K팝과 K드라마가 전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기업들은 제품 협찬을 활용해 스틱 밤부터 LED 페이스 마스크까지 다양한 제품을 미국 시장에 판매했음. 이를 반영하듯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작년 한국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약 15조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음.

▷中 한한령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전일 중국의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이달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두 달 째 확장 국면을 지속된 가운데, 중국이 한국 콘텐츠를 언급하면서 한한령이 해제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음. 코스맥스는 내년 완공을 목표로 중국 상하이에 사옥을 건설하고 있으며, 코스메카코리아는 중국 시장을 총괄하는 코스메카차이나 총경리로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 프로야(PROYA)에서 영업직을 지낸 김형렬을 선임한 바 있음. 애경산업은 중국 MCN(다중채널네트워크) 기업인 신쉔그룹과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사업을 효율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글로본, 삐아, 제이준코스메틱, 실리콘투, 애경산업, 잉글우드랩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등

트럼프 美 대통령 북한과 소통 관련 발언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질문에 대해 "나는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라는 발언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연락(reach out)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Well, I do)"고 답했으며, 2017년 집권 1기 초기에 김 위원장을 '리틀 로켓맨'(little rocket man)으로 언급했던 상황 등을 거론하면서 "어느 날 그들이 만나고 싶어 한다는 전화를 받았다. 우리는 만났고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라고 언급했음. 이어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we have, there is communication)"라면서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다시피 그는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이고 매우 스마트한 사람"이라고 평가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일신석재, 제이에스티나, 좋은사람들, 인디에프, 현대엘리베이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또한, 부산산업, 대아티아이, 옵티시스 등 철도 테마도 상승.

드론(Drone)/ UAM(도심항공모빌리티)

中 드론 택시 세계 최초 상업 운항 허가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드론 택시가 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중국민용항공총국이 광둥성 이항홀딩스와 안후이성 허페이 허이항공 2곳에 자율 여객 드론에 대한 운항인증서(OC)를 발급했다고 보도했음. 이 인증서는 민간 무인항공기에 대한 최초의 인증서로,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인증서를 받은 기업은 승인된 공역에서 상업적 운항을 수행하고 유료 여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항 관계자는 “차량 공유 서비스 예약처럼 ‘저고도’ 항공편을 예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상업 운영 지역을 계속 넓혀 광저우 여러 지역에 저고도 운송 허브를 구축하고 관광·상업용 여객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허이항공 관계자는 “지역 내 공원과 같은 장소에서 상업 여객 서비스를 본격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베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기산텔레콤, 디티앤씨, 에이럭스 등 드론(Drone)/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가 상승.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등

美, 러시아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 속 국제유가 급등 영향 등에 상 승
▷지난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 러시아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 등에 급등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12달러(+3.06%) 상승한 71.48달러에 거래 마감. 트럼프는 지난 주말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휴전 협상 결렬이) 러시아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면 난 러시아에서 나오는 모든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그것은 당신이 러시아에서 원유를 구매한다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며 "모든 원유에 25~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지난밤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상승하는 등 뉴욕증시에서 위험 선호 심리가 살아난 점도 국제유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흥구석유, 한국가스공사, SH에너지화학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3 15:30
삼성전자 57,600 1,200 -2.04%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04 03:4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