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5분 만에 코로나 진단 가능한 PCR 기법 개발"
연구팀 "의원·약국 등서 신속 진단 활용 기대"
문다영
입력 : 2023.01.05 12:00:09
입력 : 2023.01.05 12:00:09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5/AKR20230105048800017_02_i_P4.jpg)
[KIS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5분 내외로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이하 'PCR') 기법을 개발했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5일 밝혔다.
KIST에 따르면 이 기관 안전증강융합연구단 김상경 단장과 정승원 박사 연구팀은 광열 나노소재를 활용해 기존 검사 방식과 같은 진단 성능을 보이는 초고속 PCR 기술을 개발했다.
PCR 기술은 표적 유전물질에 대해 60∼95도에서 온도를 올렸다가 냉각하길 반복하며 증폭시키는 '온도 순환 방식'의 분자 진단 기술로,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 진단에 주요하게 활용됐다.
PCR 검사는 면역진단 키트보다 위음성(양성이지만 음성으로 진단) 가능성이 작아 감염 환자를 비교적 잘 찾아내지만, 온도 순환 방식에 최소 1∼2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빠른 진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5/AKR20230105048800017_01_i_P4.jpg)
[KIS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KIST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온도 순환방식이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기존 열판을 사용하는 대신 빛을 조사하는 즉시 높은 열을 빠르게 내는 '광열 나노소재'를 적용했다.
또 나노소재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고분자 복합체를 함께 제작했다.
개발한 소재를 적용해 실험해보니 PCR에 걸리는 시간이 5분 이내까지 줄어들었으며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구분할 수도 있었다.
김 단장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이번에 개발한 초고속 PCR 기술을 올해 내 소형화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활용 가능한 장치로 개발할 계획"이라며 "편의성, 현장성, 신속성을 높여 동네 의원이나 약국, 더 나아가 집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밀 진단 기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실용화형 융합연구단 사업으로 수행됐다.
연구성과는 나노 소재 분야 학술지인 'ACS Nano' 온라인 최신 호에 실렸다.
zero@yna.co.kr (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가 용납할까”...계엄에 묶였던 ‘이 법’ 패스트트랙 검토한다는데
-
2
KT, 3~5년 주기로 협력사 재구성…"투명한 거래 강화"
-
3
창원 농수특산물 통합브랜드 '창에그린' 유통망 확대한다
-
4
수돗물 혜택 못보는 광주 자연마을 11곳 한파에 지하수도 얼어
-
5
화성시, 동탄역 인근에 복합 컨벤션센터 건립 추진
-
6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 한화운용 ‘PLUS 고배당주’는 ‘과세 무풍지대’
-
7
제22서경호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
8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 300만명…부산시, 활성화 지원
-
9
IT 방산 스타트업 안두릴 기업가치 40조로 치솟아
-
10
딥시크 훈풍에 ··· 여기 투자했더니 1주일 수익률 15%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