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경제차관 내주 초 방한 조율…이통사·IT업계 방문할듯
中 5G 제품 기술 대안 '오픈랜' 국내 개발 현장 살필 예정
오수진
입력 : 2023.01.05 19:00:48
입력 : 2023.01.05 19:00:48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5/PYH2022092105090050400_P4.jpg)
(워싱턴=연합뉴스) 이도훈 외교부 2차관이 지난해 미국 뉴욕에서 호세 페르난데스 미 국무부 경제차관과 만나 회담하고 있다.2022.9.21 [외교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호세 페르난데스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이 내주 초 한국을 방문해 이도훈 외교부 2차관과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5일 외교가 등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페르난데스 차관의 다음주 방한을 최종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페르난데스 차관은 지난해 11월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경제연구소(KEI) 포럼 연설을 통해 "내년 1월 초에는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페르난데스 차관은 이번 방한 기간 이 차관과 공급망 회복력 강화, 과학기술 협력 심화 등 양국 경제 안보 현안 등을 논의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내 한국산 전기차 차별 조항 완화 작업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내 이동통신사와 IT 업계 등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오픈랜(Open-RAN)' 생태계 조성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활동도 살펴볼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5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을 통해 "통신 보안과 사업자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양 정상은 또한 국내외에서 오픈랜 접근법을 사용하여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안전한 5G 및 6G 네트워크 장비와 구조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개방형 무선접속망을 뜻하는 오픈랜은 기지국을 비롯한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장비를 연동하는 표준기술이다.
미국이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의 5G 제품에 대한 대안으로 육성하는 기술 중 하나로 평가된다.
kiki@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박형준 부산시장 "가용자원 총동원해 서경호 수색 지원"
-
2
서울시 '건설공사 50% 직접시공' 규제 폐지…신기술 도입 신속화
-
3
서울시, 경력단절여성 2천600여명에 구직지원금 등 3종 지원
-
4
'디플레 우려' 中 1월 소비자물가 0.5%↑…"춘제 영향"(종합)
-
5
어선 안전대책 세우고도 작년만 119명 사망·실종…52% 급증
-
6
롯데웰푸드가 투자 늘리는 인도…'해외 성장' 이끈다
-
7
中 1월 소비자물가 설 영향에 0.5%↑…생산자물가 28개월 연속↓
-
8
개식용종식법 반년만에 사육농장 10곳 중 4곳 폐업
-
9
무협 "미, 보편관세 부과 시 한국 총수출 132억달러 감소"
-
10
서울시, 청년 어깨 짐 덜어준다…학자금 이자·신용회복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