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매도 동시 급감…초강수 대출 규제에 숨죽인 강남권

안갯속 시장 전망에 거래 사실상 '스톱'…거래 급감 전망역대급 규제에도 새정부 집값 상승 기대감 등 변수…구매희망자 '불안'
권혜진

입력 : 2025.06.30 10:39:02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 한도로 제한하는 고강도 대출 규제가 본격화하면서 '집값 상승'의 진앙이자 대출 규제의 핵심 대상인 서울 강남권 부동산 시장이 숨을 죽이고 있다.

예상을 뛰어넘는 새 정부의 초강수 대책으로 향후 시장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매물이 주는 '매물잠김' 현상과 함께 자금 동원이 어려운 매수자들의 매수 문의도 뚝 끊긴 상태다.

업계는 한동안 시장의 혼란스러운 상황이 정리되고 방향성이 분명해질 때까지 급매물 위주로만 간간이 거래가 성사되며 전체 거래도 크게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 시내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매물 정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A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30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출 규제가 발표 다음 날부터 바로 시행되다 보니 계약을 앞당겨 27일에 한꺼번에 몰아서 하느라 혼잡했다"면서 "그러나 바로 다음 날부터 조용해졌다"고 시장 분위기를 전했다.

성동구의 B중개업소 측은 "최근 계약한 분들이 대출 문제는 없을지 걱정하며 재차 확인하는 전화만 일부 있었다"고 말했다.

서초구 방배동의 C중개사무소 대표와 송파구 잠실동의 D중개사무소 대표도 발표 당일에 계약을 서둘러 마무리하는 등의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고 전했다.

이들은 공통으로 당분간 시장에 관망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강남권의 아파트 가격이 고공행진하며 소위 국민평형도 20억~30억원대가 즐비한 상황에서 최근 매수자들은 많게는 10억~20억원 규모 주택담보대출도 감행하는 추세였다는 점에서다.

A중개사무소 대표는 "요즘 6억원 이상 대출은 많이들 내기 때문에 6억원으로 묶이면 시장에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C중개업소 대표는 "반포 쪽은 워낙 집값도 비싸고, 매수희망자들은 능력 있는 전문직들이어서 10억~20억원 대출도 많이 낸다고 하더라"라면서 "대출 규제로 당분간 구매 심리가 위축될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매물 정보
[연합뉴스 자료사진]

다만 이들은 대출 규제에도 매매 시장이 빠른 속도로 하락 전환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일부 급매물이 나오며 거래가 성사될 수 있지만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 팽팽한 눈치싸움이 벌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

A중개업소 대표는 "강남권 아파트는 전세가율이 35~45% 수준이어서 갭투자 용도도 아니고, 진보 정권 하에선 결국 오른다는 생각들을 많이 하기 때문에 집주인들이 버티기에 들어갈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C중개업소 대표는 "급히 매도할 이유가 있지 않다면 지켜보지 않겠느냐"며 매도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매물 잠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D중개업소 대표도 "상황이 이래서 기존 실거래가보다 2억~3억원은 내려야 거래가 될 텐데 이미 호가가 실거래가보다도 수억원씩 높은 상황이어서 아주 급하지 않고는 그렇게 내려 거래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매수 수요 감소에 따른 시장 관망세가 일부 '현금 부자'들에게는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수요자들도 혼란스러운 모습이다.

온라인커뮤니티 등에선 실수요자들이 갑작스러운 대출 규제에 당혹스러움을 표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경기도 동탄에서 서울로 이주를 계획 중이던 40대 직장인 김모씨는 "원래는 무리해서라도 선호 지역으로 가보려고 했는데 상황이 이러니 매수 시기를 늦춰야 할지 아니면 대출 한도 내에서 가능한 다른 지역을 찾아봐야 할지 생각 중"이라며 "강남권 외 지역은 더 오를 수 있다는 얘기도 있어서 고민이 더 크다"고 말했다.

이번 고강도 규제에도 새 정부 출범과 맞물린 시장의 집값 상승 기대감이 현실화할지에 대한 불안도 감지된다.

부동산 관련 온라인커뮤니티에선 문재인 정부에서 각종 규제에도 집값이 결국 급등한 점을 지적하며 공급 확대와 함께 보유세 인상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글이 잇따랐다.

luc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2 21:2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