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업자 1분기 역대 최대폭 감소…취업·창업 모두 어렵다

2017년 통계집계 이후 첫 감소세…코로나19도 버텼지만 줄폐업
민경락

입력 : 2025.07.14 06:01:11 I 수정 : 2025.07.14 09:26:05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기자 = 내수 부진과 고금리 기조에 막혀 문을 닫거나 창업을 포기하는 청년 사업자들이 늘고 있다.

이제 막 사회 첫발을 뗀 청년들이 양질 일자리가 부족한 가운데 창업도 어려운 상황에 내몰리는 것으로 우려된다.

14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업체를 운영 중인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35만4천672명(월평균)으로 1년 전보다 2만6천247명 감소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7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통상 가동 사업자는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늘어난다.

실제로 청년 가동사업자는 통계가 집계된 뒤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와중에도 늘어난 것이다.

[그래픽] 소매업·음식점업 청년 사업자 수 증감 추이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14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업체를 운영 중인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35만4천672명(월평균)으로 1년 전보다 2만6천247명 감소했다.청년 사업자 감소는 소매업에서 두드러진다.올해 1분기 소매업에 종사하는 청년 사업자는 12만7천89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천185명 줄었다.음식업 청년 사업자(4만6천269명)도 1분기 5천507명 줄었다.yoon2@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코로나19 때인 2020∼2022년에도 매 분기 늘었다.

엔데믹 이후 고금리 여파로 폐업자가 급증한 2023년에도 2분기(2천211명)와 4분기(6천779명)에도 증가 폭이 1만명 밑으로 축소되기는 했지만 증가세는 유지됐다.

하지만 작년 3분기 1만9천400명 줄며 처음 감소했고, 이어 4분기(-2만1천527명)와 올해 1분기에는 감소 폭이 더 커졌다.

가동 사업자가 줄었다는 것은 창업보다 휴·폐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전체 폐업자는 2023년부터 늘고 있으며 작년에는 100만명을 처음 넘어섰다.

폐업자 상당수가 경영 노하우와 자본력이 취약한 청년 사업자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청년 사업자 감소는 소매업에서 두드러진다.

올해 1분기 소매업에 종사하는 청년 사업자는 12만7천89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천185명 줄었다.

소매업은 청년 사업자 약 3분의 1이 몰려 있는데 1분기 청년 사업자 감소의 62%가 소매업에서 나타났다.

소매업 청년 사업자는 작년 3분기 처음 감소(-8천806명)했고 반년 만에 감소 폭이 두배로 커졌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4만6천269명)도 1분기 5천507명 줄었다.

역시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작년 3분기부터 분기마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가 약 5천명씩 사라지고 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부분 청년 창업자는 음식점·카페 같은 기술 기반이 없는 자영업을 한다"라며 "이런 업종이 대부분 포화 상태거나 수요가 많지 않다"라고 말했다.

건설경기 부진으로 건설업 청년 사업자(1만4천472명)도 1분기 역대 최대폭(247명) 감소했다.

작년 3분기 처음 감소세로 돌아선 뒤 3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청년 사업자 감소는 최근 청년 고용 부진과 맞물려 우려를 키운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작년 5월부터 13개월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청년층 실업률도 올해 초 상승세를 보이면서 7% 내외를 맴돌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청년 고용시장이 녹록지 않다 보니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청년 창업은 중장년층과 비교하면 부채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폐업으로 내몰리기 쉽다"라고 말했다.

[표] 30세 미만 가동 사업자 추이
전체증감소매업증감음식점업증감
2017년4분기245,00175,85140,669
2018년1분기212,20466,21235,107
2분기230,47771,15437,923
3분기249,50876,81740,729
4분기268,07523,07482,0596,20843,3532,683
2019년1분기233,39121,18773,4827,27037,3042,197
2분기255,62725,15080,1939,03940,9453,022
3분기271,69922,19184,9788,16143,2082,479
4분기292,08024,00591,8469,78746,0572,704
2020년1분기252,23018,83881,0337,55139,7092,405
2분기275,60819,98289,7159,52242,6091,665
3분기304,02732,328100,93415,95646,2673,059
4분기329,83037,749111,82819,98249,7083,651
2021년1분기286,69234,462101,68720,65442,8383,128
2분기314,42238,814111,44321,72847,1284,519
3분기341,61237,585120,85319,91950,9674,699
4분기366,16436,334129,25817,43054,3844,676
2022년1분기308,48821,796110,3128,62545,6232,786
2분기335,28420,862119,9978,55449,4062,278
3분기360,12518,513130,4089,55552,2781,312
4분기381,56315,399139,2019,94354,655271
2023년1분기316,8528,364117,8537,54045,030-593
2분기337,4952,211126,1366,13847,774-1,631
3분기392,73932,614146,87016,46154,7862,508
4분기388,3426,779147,1307,92953,205-1,450
2024년1분기380,91964,067143,27425,42151,7766,746
2분기377,22439,729140,75714,62250,8803,105
3분기373,339-19,400 138,064-8,806 49,754-5,032
4분기366,814-21,527 134,551-12,579 48,228-4,977
2025년1분기354,672-26,247 127,089-16,185 46,269-5,507
※ 출처 :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roc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4 14:2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