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뚝’, 54개월 만에 첫 감소
최예빈 기자(yb12@mk.co.kr)
입력 : 2025.07.14 15:41:27
입력 : 2025.07.14 15:41:27
6월 노동시장 동향
제조 내국인 가입자 2.1만명 줄어
건설·제조업 동반 부진, 고용 직격탄
美관세 등 불확실에 일자리 실종
구인배수 0.39...IMF 이후 최저치
제조 내국인 가입자 2.1만명 줄어
건설·제조업 동반 부진, 고용 직격탄
美관세 등 불확실에 일자리 실종
구인배수 0.39...IMF 이후 최저치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54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됐다. 제조업 고용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신호다.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여름철 폭염에도 고용시장에는 한기가 감돌고 있는 장면이다.
14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1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확산이 정점에 달했던 2020년 12월 이후 54개월 만이다. 제조업 내국인 가입자는 2023년 10월부터 21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외국인 근로자 가입자가 늘면서 전체 가입자 수는 그동안 증가세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내국인 감소폭이 커지면서 결국 감소세로 전환됐다. 올해 3월에는 1만7000명, 4월은 1만4000명, 5월은 1만6000명이 줄었는데, 지난달 들어 2만1000명이 감소했다. 고용허가제를 통한 외국인 근로자 증가폭은 지난 5월과 같은 2만명 수준을 유지했다.
천경기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제조업 수출이 하반기에 더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제조업 고용 상황이 어려운 여건에 있다”며 “미국 관세 정책 등 불확실한 부분들도 있어 구인이 많이 움츠러들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조업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금 가입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산업들도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고 감소하는 산업들은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만9000명 줄어든 75만2000명이다. 23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 5월 건설수주와 건설기성 모두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각각 5.5%, 20.8% 감소해 전망도 밝지 않다.
고용창출 효과가 큰 제조업과 건설업이 휘청이면서 지난달 구직자 1인당 일자리 개수를 뜻하는 구인배수가 0.39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6월 기준으로는 IMF 위기 직후인 1999년 6월 이후 최저 수치다. 고용24를 이용한 신규구인인원이 전년동월대비 1만9000명(-11.2%) 감소한 탓이다. 이 같은 감소세는 28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반면 신규구직인원은 4만1000명(11.9%) 증가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M&A 알아보는 플랫폼들, ‘충성 고객’이 향방 가른다
-
2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3
보험주, 정책 수혜 기대감에 강세…주주환원 강화 주목
-
4
NH투자증권 회사채 발행 수요예측에 1.8조원 몰려
-
5
"韓기업 홍콩 상장 환영…ETF 함께 내놓자"
-
6
‘모듈러 전문’ 플랜엠, 신한證과 IPO 대표주관 계약
-
7
[단독] 비싼 빵값, 알고보니 경쟁 막힌 탓...설탕·계란·우유 가격 왜곡
-
8
[포토] 코스피 3200 돌파한 날 '비트코인, 날다'
-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10
증시요약(10) -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