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에게 듣는다] 실적 시즌 마주한 미국 증시
입력 : 2023.04.14 14:06:05
실적 시즌 마주한 미국 증시
Q. 美 1분기 실적 시즌…‘어닝 리세션’ 우려는?
A. 1분기 실적 시즌 가이던스 추가 하향 가능성
A. S&P500 기업 1분기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A. 6.3% 하향 조정…과거 10년 평균 3.3% 하향
A. 이번 분기 실적 눈높이, 이미 많이 낮아져 있어
A. 은행 리스크로 경제 성장률 눈높이 추가 하향
A. 가이던스 하향, 주가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
A. 아메리칸에어라인·델타항공·유나이티드항공 동반 하락
Q. 은행 리스크로 기업 전망 악화 심화되나?
A. 3월 SVB 사태 이후 美 은행 규제 강화 논의
A. 금융위기 이후 2010년 도드-프랭크 법 제정
A. 은행 건전성 규제 강화…총자산 500억 달러 이상
A. 2018년 경제성장률 저해 이유 규제 완화
A. 총자산 규모 2,500억 달러 이상인 은행 제외
A. SVB 총자산 2,000억달러인 점 고려
A. 중소형 은행 중심 은행 규제 강화
A. 기업들의 투자 위축 심화될 것
A. 기업 투자, 은행 대출 태도에 평균 2개 분기 후행
A. 중소기업 대출은 40% 이상 중소은행에서 나옴
A. 이미 중소은행 대출 줄고 있어
A. 이번 실적 시즌부터 반영될 가능성 경계
Q. 美 고용·제조업 지표 꺾여…경기 침체 현실화되나?
A. 고용지표 양호…핵심은 임금상승률 둔화
A. 인건비 상승이 서비스 물가로 전이되는 경로 우려
A. 저임금 노동자 중심으로 노동시장 회복
A. 구조적 노동시장 공급 부족
A. 반면 제조업 지표는 부진…美 ISM 제조업지수 46.3
A. 코로나 시기 제외하면 2009년 6월 이후 최저치
A. 제조업이 만드는 경기 사이클 둔화 국면 이어질 것
A. 경기 침체 시그널은 ISM 서비스업지수에서 확인
A. 기준선 50 하회할 때 모두 경기침체
A. ISM 서비스업지수 51.2로 기준선 상회
A. 침체 우려할 단계는 아니야
Q.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은?
A. 5월 25bp 인상…상단 5.25% 터치 예상
A. 동결 이어지다, 12월 25bp 1회 인하 가능성
A. 정책금리 인상, 실물경기에 후행적 영향력 발휘
A. 해당 시차 고려하기 위해 동결 기조 이어져
A. 美 하반기 경제성장률 3분기 전분기 대비 연율 ?0.6%
A. 한개분기 정도 마이너스 성장률 예측
A. 시장은 완만한 경기 둔화를 컨센서스로 보고 있어
A. 美 4Q 소비자물가 상승률 3% 초반까지 하락 예상
A. 통화정책 완화 기조로 돌아선 것 아니야
A. 중립금리, 경제 성장에 저항 주지 않는 수준 금리
A. 미국 중립금리 2.5%~3.0% 추정
A. 이 수준보다 높은 정책금리 수준 유지
A. 물가상승률 목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긴축 기조 유지
Q. 4월 미국증시 투자전략은?
A. 상방압력보다 하방압력이 우위
A. 수익 본 경우 일정 부분 차익 실현할 것
A. 추가 매수할 타이밍은 아니라고 판단
A. 통화정책 완화 기대는 3월 상당 부분 반영
A. 실물지표 둔화, 경기 침체 우려로 반영할 가능성
황수욱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 선진국전략 애널리스트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Q. 美 1분기 실적 시즌…‘어닝 리세션’ 우려는?
A. 1분기 실적 시즌 가이던스 추가 하향 가능성
A. S&P500 기업 1분기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A. 6.3% 하향 조정…과거 10년 평균 3.3% 하향
A. 이번 분기 실적 눈높이, 이미 많이 낮아져 있어
A. 은행 리스크로 경제 성장률 눈높이 추가 하향
A. 가이던스 하향, 주가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
A. 아메리칸에어라인·델타항공·유나이티드항공 동반 하락
Q. 은행 리스크로 기업 전망 악화 심화되나?
A. 3월 SVB 사태 이후 美 은행 규제 강화 논의
A. 금융위기 이후 2010년 도드-프랭크 법 제정
A. 은행 건전성 규제 강화…총자산 500억 달러 이상
A. 2018년 경제성장률 저해 이유 규제 완화
A. 총자산 규모 2,500억 달러 이상인 은행 제외
A. SVB 총자산 2,000억달러인 점 고려
A. 중소형 은행 중심 은행 규제 강화
A. 기업들의 투자 위축 심화될 것
A. 기업 투자, 은행 대출 태도에 평균 2개 분기 후행
A. 중소기업 대출은 40% 이상 중소은행에서 나옴
A. 이미 중소은행 대출 줄고 있어
A. 이번 실적 시즌부터 반영될 가능성 경계
Q. 美 고용·제조업 지표 꺾여…경기 침체 현실화되나?
A. 고용지표 양호…핵심은 임금상승률 둔화
A. 인건비 상승이 서비스 물가로 전이되는 경로 우려
A. 저임금 노동자 중심으로 노동시장 회복
A. 구조적 노동시장 공급 부족
A. 반면 제조업 지표는 부진…美 ISM 제조업지수 46.3
A. 코로나 시기 제외하면 2009년 6월 이후 최저치
A. 제조업이 만드는 경기 사이클 둔화 국면 이어질 것
A. 경기 침체 시그널은 ISM 서비스업지수에서 확인
A. 기준선 50 하회할 때 모두 경기침체
A. ISM 서비스업지수 51.2로 기준선 상회
A. 침체 우려할 단계는 아니야
Q.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은?
A. 5월 25bp 인상…상단 5.25% 터치 예상
A. 동결 이어지다, 12월 25bp 1회 인하 가능성
A. 정책금리 인상, 실물경기에 후행적 영향력 발휘
A. 해당 시차 고려하기 위해 동결 기조 이어져
A. 美 하반기 경제성장률 3분기 전분기 대비 연율 ?0.6%
A. 한개분기 정도 마이너스 성장률 예측
A. 시장은 완만한 경기 둔화를 컨센서스로 보고 있어
A. 美 4Q 소비자물가 상승률 3% 초반까지 하락 예상
A. 통화정책 완화 기조로 돌아선 것 아니야
A. 중립금리, 경제 성장에 저항 주지 않는 수준 금리
A. 미국 중립금리 2.5%~3.0% 추정
A. 이 수준보다 높은 정책금리 수준 유지
A. 물가상승률 목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긴축 기조 유지
Q. 4월 미국증시 투자전략은?
A. 상방압력보다 하방압력이 우위
A. 수익 본 경우 일정 부분 차익 실현할 것
A. 추가 매수할 타이밍은 아니라고 판단
A. 통화정책 완화 기대는 3월 상당 부분 반영
A. 실물지표 둔화, 경기 침체 우려로 반영할 가능성
황수욱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 선진국전략 애널리스트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연세유업, 국산콩 두유 인기 브랜드 ‘황성주 두유’ 품는다
-
2
한국거래소, 미래에셋운용 ‘TIGER 금속선물 ETF’ 내달 4일 상장폐지
-
3
폴란드 K2 전차 2차 계약 확정…사상 최대 8조8천억원 규모
-
4
거제 고현1초 복합시설, 행안부 투자심사 통과…"조속 추진"
-
5
새정부 첫 물가 성적표 나왔다…‘2%대 상승’ 5개월 만에 최고치
-
6
“엄마, 왜 이렇게 한숨 쉬어”…고등어·김치에 라면까지, 헉소리나는 밥상물가
-
7
트럼프 “잘못 길들었다” 일본에 말폭탄…‘굴복’ 노리는 듯
-
8
“여름이라고 가격 올리기만 해봐”…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단속한다
-
9
[부고] 최정선(프리즘커뮤니케이션 본부장)씨 부친상
-
10
광주·전남 엿새째 찜통더위…가축 폐사, 온열환자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