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버 성장세에…SK하이닉스, HBM 시장 점유율 50% 넘길듯"
트렌드포스 분석…"AI 서버 수요 증가로 메모리 수요도 증가"
김기훈
입력 : 2023.04.18 16:57:58
입력 : 2023.04.18 16:57:58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인공지능(AI) 서버 수요의 급성장에 힘입어 올해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점유율이 50%를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SK하이닉스 HBM3
[SK하이닉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18일 보고서에서 "AI 서버 출하량의 강력한 성장이 HBM 수요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이다.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3개사의 글로벌 HBM 시장점유율을 각각 50%, 40%, 10%로 추정했다.
이어 "올해 하반기 주요 공급업체 3곳 모두 HBM3 제품의 대량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SK하이닉스가 HBM3 제품을 양산하는 유일한 공급자"라고 설명했다.
HBM3는 1세대(HBM), 2세대(HBM2), 3세대(HBM2E)에 이은 4세대 제품으로, SK하이닉스는 지난해 6월부터 HBM3 양산을 시작했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 SK하이닉스의 HBM 시장점유율은 53%로 전년보다 3%포인트 상승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HBM 시장 점유율은 각각 38%, 9%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트렌드포스는 또 올해 AI 서버 출하량이 전년보다 15.4%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kihun@yna.co.kr(끝)

[SK하이닉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18일 보고서에서 "AI 서버 출하량의 강력한 성장이 HBM 수요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이다.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3개사의 글로벌 HBM 시장점유율을 각각 50%, 40%, 10%로 추정했다.
이어 "올해 하반기 주요 공급업체 3곳 모두 HBM3 제품의 대량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SK하이닉스가 HBM3 제품을 양산하는 유일한 공급자"라고 설명했다.
HBM3는 1세대(HBM), 2세대(HBM2), 3세대(HBM2E)에 이은 4세대 제품으로, SK하이닉스는 지난해 6월부터 HBM3 양산을 시작했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 SK하이닉스의 HBM 시장점유율은 53%로 전년보다 3%포인트 상승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HBM 시장 점유율은 각각 38%, 9%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트렌드포스는 또 올해 AI 서버 출하량이 전년보다 15.4%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kih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PS일렉트로닉스, 보통주 976,562주, 소각 결정
-
2
한앤코, 남양유업 임직원에 자사주 100만원 지급…“흑자전환 성과 공유”
-
3
“AI의 쌀, 데이터 책임진다”…크라우드웍스, 한국형 K-AI ‘데이터 주권’ 지원
-
4
회전율 상위 20종목(코스피)
-
5
한화리츠,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6
CJ제일제당,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7
회전율 상위 20종목(코스닥)
-
8
에이치브이엠, 83.35억원 규모 공급계약(슈퍼 알로이(Super Alloy)) 체결
-
9
삼성·한화 금융복합기업 지정...“경영 위험 정기평가해야”
-
10
태웅로직스, 기타주 126,862주(6.18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