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3.01.12 17:06:00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이슈요약
바디텍메드
(206640)
13,250원
(
+22.12%)
흡입형 치료기 'SyncNeb' 국내 사용 승인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흡입형 치료기 ‘SyncNeb(씽크넵)’이 국내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SyncNeb은 스스로 호흡이 불가능한 중환자에게 사용되는 인공호흡기에 약물투여 조절 장비와 소모품으로 사용되며, 승인 받은 SyncNeb은 국내 의료기관 중환자실과 병의원 호흡기 치료 용도로 공급할 계획임. 아울러 일반 병의원 환자의 호흡기 치료 용도로도 마케팅, 영업을 확장할 계획이며, 올해 말 글로벌 수출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준비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의 대표이사는 “기술 장벽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진입하지 못했던 중환자용 흡입기 분야에서 기술 장벽을 허물고 국산화에 성공했다”며, “인구고령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 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중환자실 인공호흡기와 병원 일반환자 호흡기 치료용을 타깃으로 마케팅을 펼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힘.
강스템바이오텍
(217730)
3,180원
(
+7.61%)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서 동사 물질 기술 관련 글로벌 빅파마와 파트너링 미팅 진행 소식에 강세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 중인 ‘2023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공식 초청을 받아 현지에서 동사 후보물질의 기술수출과 관련해 글로벌 제약사(빅파마)와 파트너링 미팅을 활발하게 진행 중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이번 컨퍼런스 중 별도로 진행되는 비즈니스 파트너링 미팅인 ‘바이오 파트너링(BIO Partnering at JPM)’을 통해 글로벌 기업들과 일대일로 논의를 진행하는 중이며, 일례로 글로벌 피부 제약 기업 A사가 동사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후보물질 ‘퓨어스템-에이디주’ 관련 세포동결 기술 및 셀뱅킹 기반 생산 기술(최대 생산량 300만 바이알 확보) 등에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짐. 이밖에도 동사의 골관절염 치료제 후보물질 ‘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를 공동 개발해 온 유럽 메디컬 전문기업 H사와 이번 미팅을 통해 임상 1/2a상 투약 일정 및 미국 유럽 등 의약 당국의 최신 동향 등의 정보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짐.
YTN
(040300)
6,200원
(
+6.16%)
최대주주 한전KDN, 동사 지분 매각 절차 본격 착수 소식에 강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최대주주인 한전KDN은 보유하고 있는 동사 지분 전량(21.43%·보통주 900만주)에 대한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기 위해 주요 증권사와 회계법인 등에 입찰제안서(RFP)를 발송한 것으로 전해짐. 한전KDN 측은 다음달 6일부터 16일까지 입찰 서류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으며, 매각주관사 참여 자격은 최근 3년 이내에 인수·합병(M&A) 경쟁입찰 또는 블록세일 등으로 주식을 매각한 주관사로서 실적이 있는 회사로 한정된 것으로 알려짐.
▷한편, 국민일보와 국민일보를 100% 소유한 국민문화재단도 동사 지분 인수전에 참여한다는 소식도 전해짐. 국민일보는 최근 동사 지분 인수 계획을 사내 공지한 뒤 전일 첫 사장 주재 회의를 열었으며, 이와 관련, 국민일보의 관계자는 “지분 매입 주체는 컨소시엄 형식이 될 것”이며, 국민일보 직원들이 전담 실무를 맡는 TF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힘.
에스티팜
(237690)
85,700원
(
+5.54%)
RNA치료제 시장 확대에 따른 올리고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연결 매출액 839억원(+62.1% yoy), 영업이익 94억원(흑전 yoy, OPM 11.2%)을 기록해 컨센서스 매출액 751억원 및 영업이익 73억원을 각각 12%, 28%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4분기 인센티브 관련 충당금 및 연구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반월공장 3, 4층에 신규 생산라인 가동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하며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 이에 22년 연간 영업이익은 180억원(+222.7%, OPM 7.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지난 12/23 공시에 따라 고지혈증 치료제(상업화용) 22년 선적 계획분 일부 23년으로 조정되었으나 공급단가가 높은 임상용 물량 비중 증가로 인해 양호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또한, RNA치료제의 치료 범위 확대는 지속적인 CMO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리파인
(377450)
10,200원
(
+4.51%)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역할 부각 분석 등에 상승
▷전일 KB증권은 금리상승, 전세사기 피해 등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될수록 동사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있다고 분석. 이는 임대차보증금 대출, 담보대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며, 전월세대출 계약 갱신이 이어지고 있는 점 및 신규 사업의 2023년 매출 가시화는 실적에 긍정적이라고 설명.
▷특히,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최근 이슈가 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의 경우 신규발급 가입 세대수가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의 세입자 보호 기조 정책 또한 동사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
엠에스씨
(009780)
7,000원
(
+4.48%)
143.44억원 규모 유형자산 취득 결정에 상승
▷143.44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7.76%)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기계기구 및 공작물 포함))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3-09-20) 공시.
코나아이
(052400)
17,600원
(
+4.45%)
현대차 디올뉴그랜저에 '하이패스 eSE 칩' 공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대자동차 플래그십 세단 풀체인지 모델 '디 올 뉴 그랜저'에 탑재된 '카페이 e 하이패스(hi-pass)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이패스 'eSE' 칩을 국내 최초로 공급한다고 밝힘. 매립형 하이패스 'eSE' 칩은 동사가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제품으로, 기존의 하이패스 카드 기능을 차량 내에 매립해 실물 카드 없이 'e 하이패스 서비스'로 유료 도로 통행료 결제가 가능한 것이 특징임.
▷조정일 대표는 "현대자동차 'e hi-pass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이패스 eSE 칩 개발을 진행하며 현대자동차 및 관계사와 약 1년8개월간의 연구 개발과 테스트를 거쳐 한국도로공사 품질 인증도 획득했다"며, "동사의 원천기술을 적극 활용해 향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결제 수단에 '하이패스 eSE 칩'을 적용할 수 있도록 더욱 기술 개발에 힘쓰고 현대자동차 'e 하이패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힘.
디어유
(376300)
36,450원
(
+4.44%)
유니버스 흡수로 시장 내 입지 확대 전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일 유니버스 사업의 IP 계약권 일체를 인수하는 자산양수도 계약 체결을 발표했다며, 유니버스에서 서비스 중이던 스타쉽엔터 등의 K-POP 아티스트가 디어유 버블로 서비스가 이전될 전망으로 23년 확실한 양적 성장과 팬플랫폼 시장 내 입지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
▷특히, SM엔터, JYP엔터 아티스트를 필두로 하는 디어유 버블, 하이브, 와이지엔터 아티스트가 중심이 되는 위버스, 엔씨소프트의 유니버스 3강 체제에서 이번 자산양수도로 시장은 2강 체제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7,000원 -> 45,000원[상향]
지어소프트
(051160)
9,470원
(
+3.72%)
구주 매출을 위한 자회사 오아시스 주식 일부 양도 결정 속 상승
▷투자재원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 등 목적으로 주식회사 오아시스 주식 1,571,000주를 479.15억원에 양도하기로 결정(양도후지분율:43.85%, 양도예정일:2023-02-17) 공시.
▷한편, 본 건은 동사의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오아시스의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구주 공모매출에 관한 사항이라며, 공시일 현재 동사가 보유한 15,486,086주 중 1,571,000주를 일반공모 방식에 의해 매출할 예정이라고 밝힘.
셀루메드
(049180)
5,380원
(
+3.26%)
BYD 전기이륜차 네르바 모델에 대한 정부 승인 기대감 등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전기이륜차용 교환형 배터리팩 관련 산업표준을 2주 전 신규 고시함에 따라, 최근 한국에 들여온 BYD(비야디)의 전기이륜차 네르바(NERVA EXE) 모델에 대한 정부 승인 준비에 속도를 내고있다고 밝힘. 한편, 동사는 지난해 말 BYD로부터 전기이륜차 네르바를 반입해 자체 개발 중인 한국형 모델 '케이맥스(K-MAX)'와 함께 세부적인 성능 검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체 검증이 끝나는 대로 국가표준원이 신규 제정한 KS표준에 따라 인증 획득 및 정부 승인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개발을 준비하면서 세계 1위 전기차기업 BYD의 선진 전기이륜차 기술을 접목했으며, 기다리던 국가표준이 고시됨에 따라 불확실성이 제거돼 올해 안에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이륜차를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8,080원
(
+2.67%)
높이조절 척추 유합 케이지 특허 취득에 소폭 상승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관련 특허 취득 공시. 본 발명을 통하여, 한 개의 케이지로 일정한 범위 내의 높이를 대응할 수 있어서 재고부담 및 생산부담을 줄일 수 있고, 수술시 반복작업이 줄어서 의사의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수술시간이 감소되는 장점을 가짐으로, 해당분야에서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시노펙스
(025320)
2,770원
(
+2.40%)
전기차 배터리용 FPCB 시장 진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기차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베트남 동토 사업장에 50억원의 설비투자를 결정, 전기차배터리용 FPCB(연성인쇄회로기판)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미 일본 T사에 전기차 배터리 FPCB를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 전기차 배터리 FPCB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
▷최상언 부사장은 "지난해 1월부터 품질이 까다로운 일본 전기차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며 전기차 배터리 FPCB 시장에 진입 했다"며, "최근에 독일의 W사, 영국의 J사, 미국의 S사 등 유명브랜드 회사로부터 제품공급에 대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시노펙스 베트남 FPCB 사업장은 각 공정 및 유틸리티에 대해 24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했다"며, "분리막과 각종 필터 여과기술 적용에 따른 품질 향상과 지난 1년간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전기차 배터리 FPCB 분야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힘.
액션스퀘어
(205500)
3,450원
(
+2.07%)
킹덤 IP 활용 게임, 스팀 페이지 공개 속 글로벌 출시 기대감 부각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넷플릭스 오리지널 킹덤 IP를 활용한 기대작 킹덤: 왕가의 피의 스팀 페이지를 공개했다고 밝힘. 킹덤: 왕가의 피는 액션 본연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수동 컨트롤 기반의 액션 RPG 게임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한국 전통 검술이 구현 가능한 모션캡쳐 기술을 활용해 완성도 높은 K-액션 스타일의 게임으로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이번 스팀페이지 공개로 개발 상황 및 최신 정보가 업데이트 될 예정임.
HK이노엔
(195940)
38,900원
(
+1.30%)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 싱가포르 품목허가 획득 소식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케이캡정(테고프라잔) 싱가포르 품목허가 승인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몽골,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이어 싱가포르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며, 해외 진출국 총 34곳 중 5개국에서 허가를 획득했고, 동남아 시장에서는 세 번째 결실을 맺었다고 설명.
▷싱가포르 현지에서 허가 승인된 적응증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위궤양의 치료, 소화성 궤양 또는 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에서의 헬리코 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등 총 4가지임.
메디콕스
(054180)
2,555원
(
-22.69%)
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철회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주금 납입 미납으로 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철회 공시.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9 13:2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