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연휴 앞둔 증시 숨고르기 가능성
김제관 기자(reteq@mk.co.kr), 원호섭 기자(wonc@mk.co.kr)
입력 : 2023.01.15 17:02:12
입력 : 2023.01.15 17:02:12
붐&쇼크지수 韓27 美19

이번주 국내 주식시장은 미국 물가 상승 둔화에 대한 안도감과 올해 첫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경계심이 뒤섞이며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월 대비 둔화됐지만, 서비스 물가 상승세는 여전히 강해 1월 31일~2월 1일(현지시간) 개최되는 FOMC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에서 발표되는 주요 경제지표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7일에는 중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발표된다. 18일에는 미국 12월 산업생산·소매판매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한편 매일경제와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한 AI 기반의 주식 위험 관리 지표 '붐&쇼크지수'는 미국판과 국내판 모두 위험도를 하향 조정했다. 서학개미용 미국판은 전주 49에서 19로, 동학개미용 국내판은 32에서 27로 모두 크게 떨어졌다. 붐&쇼크지수가 0~10이면 '현금 비중 축소', 11~50이면 '중립', 51~100이면 '현금 비중 확대'를 뜻한다. 이번주 미국 증시 위험도가 크게 떨어진 데는 원자재가격 진정세, 채권금리 하락 등이 영향을 미쳤다.
[김제관 기자 / 원호섭 기자]

이번주 국내 주식시장은 미국 물가 상승 둔화에 대한 안도감과 올해 첫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경계심이 뒤섞이며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월 대비 둔화됐지만, 서비스 물가 상승세는 여전히 강해 1월 31일~2월 1일(현지시간) 개최되는 FOMC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에서 발표되는 주요 경제지표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7일에는 중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발표된다. 18일에는 미국 12월 산업생산·소매판매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한편 매일경제와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한 AI 기반의 주식 위험 관리 지표 '붐&쇼크지수'는 미국판과 국내판 모두 위험도를 하향 조정했다. 서학개미용 미국판은 전주 49에서 19로, 동학개미용 국내판은 32에서 27로 모두 크게 떨어졌다. 붐&쇼크지수가 0~10이면 '현금 비중 축소', 11~50이면 '중립', 51~100이면 '현금 비중 확대'를 뜻한다. 이번주 미국 증시 위험도가 크게 떨어진 데는 원자재가격 진정세, 채권금리 하락 등이 영향을 미쳤다.
[김제관 기자 / 원호섭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당분간 지키는 투자, 현금·金 비중 높여라”…고수들의 5대 재테크 전략은
-
2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5월 12일)
-
3
"트럼프, 카타르서 항공기 선물받아 대통령전용기로 활용하기로"
-
4
4월 수출 이끈 반도체 훈풍…반짝 반등일까 지속 성장일까
-
5
영종·청라에 영상문화클러스터…'K-콘 랜드' 밑그림 그린다
-
6
고물가 속 '가성비 아웃도어' 급성장…SPA 매출 '쑥'
-
7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울산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 총력전
-
8
"호텔서 숙박만?"…레스토랑 즐기는 '다이닝 멤버십' 눈길
-
9
한미글로벌,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건축·토목 분야 등
-
10
'뉴욕 관문' 美뉴어크 공항, 또 대규모 운항취소·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