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20억짜리 집도 매월 연금 받게…주택연금 활성화 간담회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cap@mk.co.kr)
입력 : 2023.01.16 16:02:08
입력 : 2023.01.16 16:02:08
“주택연금 가입 주택가격 상한 폐지는 집값 상승과 고가주택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반영함과 동시에, 주택연금 가입 대상 제한에 따른 형평성 문제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오는 17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리는 ‘주택연금 적용 확대와 누구나 주택연금법의 실효성 검토를 위한 정책 간담회’를 알리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강 의원은 2021년 9월 주택연금 가입 기준을 완화 또는 폐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한국주택금융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이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주택연금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정책자료집을 발간하는 등 이 사안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다.
16일 금융위원회도 해당 법안에 대해 일부 수용 의견을 낸 상태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 사회 고령 인구의 노후 문제를 해소할 방안으로 주택연금 가입 확대를 제시한다.
전병목 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으며, 임병권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교수가 ‘가입대상 주택 가격 확대를 중심으로 한 주택연금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한다.
2020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가구의 주택자가 점유율은 70%, 주택자산 집중도는 75%를 초과한다. 이에 주택자산을 이용한 소득 창출은 고령 인구의 노후 개선 방안의 하나로 제시된다.
그러나 현행 주택연금제도에서는 공시가격 9억원(시가 12~13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은 가입 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 주택 소유주가 공시가격 9억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혹은 일정기간 동안 매월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자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국가가 보증하는 역모기지론이다. 현재 살고 있는 집에 그대로 살면서 평생 연금을 받는 구조이다.
강 의원은 “빈곤층에는 두터운 공적이전소득을 집중하고, 중산층 이상은 퇴직연금과 주택연금 등 자산을 활용한 소득흐름이 수월하도록 다양한 지원책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김경호 딜로이트 센터장 “미국이 비트코인 비축시, 전 세계 포모(FOMO) 부를 가능성”
-
2
엘케이켐 “코스닥 상장으로 종합 정밀화학 소재社 도약”
-
3
KB금융, 주가 끌어올린 ‘밸류업 날개’ 꺾이자 6% 하락
-
4
‘이재용 2심 무죄에’ 이복현 “국민께 사과…자본시장법 개정 필요성 더 확실”
-
5
유럽서 비호감 된 머스크… 판매량 반토막에 테슬라 주가 하락
-
6
KT&G, 보통주 3,300,000주, 종류주 0 소각 결정
-
7
D&O, 마곡 최대 공유오피스 ‘플래그원 마곡캠프’ 오픈
-
8
티에스아이, 24년 연결 영업이익 156.29억원
-
9
‘딥시크 쇼크’에 삼전·SK하이닉스 빚투한 개미…주가 회복에 2300억 탈출 기회 있었다
-
10
LG엔솔, 최대 1조6000억원 회사채 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