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풍제약(019170) 소폭 상승세 +3.00%, 외국계 매수 유입
입력 : 2023.06.09 10:21:30
제목 : 신풍제약(019170) 소폭 상승세 +3.00%, 외국계 매수 유입
기업개요
원료 자체 개발 능력을 보유한 의약품 제조, 판매 업체. 주요 매출품목은 관절기능개선제(하이알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록스펜정), 고혈압복합제(칸데암로정), 항암제(브레트라정) 등. 코로나19 치료제로 항말라리아제 '피라맥스'에 대한 약물 재창출을 추진중. 최대주주는 송암사 외(24.43%), 주요주주는 장지이 외(7.19%) Update : 2023.03.15 |
▶마약주식신문! 둘러보기 신청하기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6-08 | 16,950 ( -0.59 % ) | 148,480 | +20,649 | -34,947 | +14,071 | +227 |
06-07 | 17,050 ( -1.10 % ) | 126,854 | +23,304 | -33,406 | +9,599 | +503 |
06-05 | 17,240 ( +0.12 % ) | 84,346 | -13,098 | +12,774 | +636 | -312 |
06-02 | 17,220 ( +0.53 % ) | 102,110 | -16,431 | +12,949 | +5,042 | -1,560 |
06-01 | 17,130 ( +1.42 % ) | 129,273 | -32,341 | +38,076 | -4,532 | -1,203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6-08 | 13,366 | 12,153 | 1,213 | - | 9.00% |
06-07 | 9,304 | 9,304 | 0 | - | 7.33% |
06-05 | 6,679 | 6,679 | 0 | 1,303,497 | 7.92% |
06-02 | 4,905 | 4,901 | 4 | 1,309,667 | 4.80% |
06-01 | 6,517 | 5,509 | 1,008 | 1,334,393 | 5.04%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04-14 급등 -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종목공시
☞ 2023-04-18 COSSNI MEDICAL(PTY)LTD와 103.6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95%) 규모 공급계약(의약품독점(메디커튼)) 체결(계약기간:2023-04-17~2027-04-16) |
이슈&테마 스케줄
2023-07-12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08-30 세계 제약ㆍ바이오ㆍ건강기능 산업 전시회 2023-09-14 국제 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 박람회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5 15:30
신풍제약 | 10,440 | 290 | +2.8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본전도 못 찾았다”…LG CNS 혹독한 신고식에 개미들 ‘울상’
-
2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3
[단독] 부동산 팔아 현금 확보하는 KT&G…서울 을지로 타워 매각 본격화
-
4
[2월 5일 공시] 신세계인터, 보통주 35.7만주 소각
-
5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6
“상장폐지 5곳 중 1곳은 결산 관련”…거래소, 유의사항 안내
-
7
신한운용, 1조원 규모 ‘과학기술혁신펀드’ 운용
-
8
KCGI·미래에셋운용, 글로벌 1위 권선업체 ‘에식스솔루션즈’ 2억弗 투자 마무리
-
9
산후조리원 286만원, 집에선 125만원…산모 희망정책 1순위는 산후조리원 비용 지원
-
10
전세계 ESG 채권 발행 늘었다는데…한국선 15%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