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3분의2' 보전 위한 국제협정 첫 채택…"역사적 성취"
公海 해양생물 다양성 지키고 지속가능 이용 노력…60개국 서명하면 발효
강건택
입력 : 2023.06.20 03:20:26
입력 : 2023.06.20 03:20:26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아 생태계 보전 노력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국제 공해(公海)에서도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국제 조약이 처음으로 탄생했다.
19일(현지시간) 유엔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회의장에서 열린 정부간 회의에서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해양생물다양성'(BBNJ)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협정문을 채택했다.
이 협정은 바다 표면적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국제 공해의 환경과 해양생물 다양성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최초의 다자조약이다.
15년간의 노력 끝에 지난 3월 각국이 협정안을 도출한 데 이어 이날 구체적인 협정문에 합의할 수 있었다.
이번 협정은 전 세계 바다의 3분의 2를 대상으로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적 체계를 강화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유엔은 설명했다.

[뉴욕 EPA=연합뉴스]
협정에 따라 각국은 공해와 심해저에 해양보호구역(MPA) 등 보존·보호구역을 설치해 공해에 있는 생물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게 된다.
공해와 심해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동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하고, 기후변화와 해양 산성화의 누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최초의 국제법 체계를 구축한다.
또 공해와 심해저에서 모은 해양 유전자원과 이 유전자원에서 얻은 디지털 염기서열정보(DSI)에 대한 이용 내역을 공유하고, 상업적으로 이용할 때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체계도 수립한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역사적 성취"라고 평가하면서 "국경을 넘어서는 우리 지구에 대한 위협에 대응함으로써 이러한 위협에는 국제적 행동이 필요하고 각국이 공익을 위해 힘을 합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정은 오는 9월부터 60개국 이상이 서명하면 정식으로 발효된다.
한국은 일본, 유럽연합(EU), 인도, 멕시코, 칠레 등 50여개국과 함께 BBNJ를 위한 고위급 연합체에 참여하는 등 이 협정을 지지하고 있다.
firstcircl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우수AMS, 최대주주가 주식회사 퓨트로닉으로 변경
-
2
법원, 정육각·초록마을, 기업회생절차 개시…신청 당일 결정(종합)
-
3
[표] 주간 거래소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
-
4
'경영난' 닛산, 中생산 전기차로 활로 모색…동남아 수출 추진
-
5
美 관세인상 압박 거세지자 여한구, 일주일 만에 재방미
-
6
위약금 면제 전격 결정한 SKT…'3년간 7조원' 손실 위기
-
7
“수익률 역대급인데 성과급은 줄어드네”...국민연금 운용본부에 무슨 일이?
-
8
LS전선, 싱가포르 초고압 프로젝트 추가 수주…총 3천500억원
-
9
전동킥보드 타던 30대, 넘어진 후 머리 크게 다쳐 숨져
-
10
[영상] 일본 '7월 대지진설' 공포 확산…한국은 안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