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사료의 여왕' 알팔파 국내 생산 시대 열려…자급기반 구축

김진방

입력 : 2023.07.12 09:49:59


농진청에서 개발한 알팔파
[농진청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농촌진흥청은 '종횡무진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풀 사료인 '알팔파' 품종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국내 자급 기반을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알팔파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작물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우수해 '풀 사료의 여왕'이라 불린다.

국내에서 재배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외 상황에 따라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가격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알팔파 가격은 2021년 1t당 388.1달러에서 지난해 12월 기준 550.8달러까지 가격이 급등했다.

국내에서는 여러 차례 재배 시도가 있었지만, 약산성의 토양과 낮은 비옥도, 물 빠짐 불량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농진청은 2015년부터 국내외 유전자원 44품종을 수집하고, 인공교배와 우수형질 선발로 올해 '알파원'과 '알파킹' 두 품종을 개발했다.

알파원은 국내 환경 적응성이 우수해 1회 수확 시 생산성이 알팔파 대표품종인 '버널'보다 5% 높았다.

알파킹도 초기 자람 속도가 빠르고 재생력이 우수해 연 4회 수확 시 생산성이 버널보다 1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알파원과 알파킹의 품종보호출원을 완료했으며, 종자 생산 전문업체에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박범영 국립축산과학원장은 "2024년부터는 국내 농가에 종자가 보급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신품종이 국내 농가에 널리 보급돼 생산비 절감과 축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china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6 08:1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