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07.12 17:10:15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디아이씨 (092200) 6,580원 (+12.86%) | 올해 매출 성장세 지속 전망 및 美 현지법인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2021년부터 꾸준한 실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 1분기 매출액은 1,79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3% 성장했고 2023~2024년 주요매출처인 현대차그룹의 자동차 판매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특히, 미국 현지법인(대일USA, 100% 지분보유)이 향후 성장의 열쇠라며, IRA로 인한 현대차그룹의 친환경차 부품 제조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켄터키주 산업단지 내 5만평을 무상으로 취득하고 현재 설비투자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2024년부터 기존 주력제품 변속기 및 감속기 부품의 생산을 본격화할 예정으로, 향후 매출품목(EV구동모터 등) 확대와 더불어 글로벌 자동차 기업으로의 진출도 기대된다고 밝힘. | |
콤텍시스템 (031820) 923원 (+6.34%) | AI 스토리지 ‘라이트비츠’ 국내 독점 사업권 확보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산호세에 본사를 둔 스토리지 솔루션 기업 ‘라이트비츠(Lightbits Labs)’와 국내 및 아시아 독점 사업권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대형 고객사 두 곳에 라이트비츠 솔루션을 공급한다고 밝힘. 라이트비츠의 NVMe/TCP 프로토콜은 DAS(Direct-Attached NVMe), FC(Fibre Channel) 스토리지 어레이 및 iSCSI에 비해 성능과 효율성이 높으면서 총소유비용(TCO)은 낮출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인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엔비디아가 투자한 AI 전용 스토리지 기업 바스트 데이터(VAST Data)의 독점 공급 계약에 이어 라이트비츠의 독점 사업권을 확보함으로써 한층 강력한 AI 스토리지 솔루션 라인업을 구축하게 됐으며, 이와 관련 권창완 동사 대표는 "바스트 데이터와 라이트비츠 스토리지 솔루션을 앞세워 AI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언급. | |
포스코 그룹주 |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사업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POSCO홀딩스는 전 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2차전지 소재사업 성장 비전을 발표하는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사업 밸류데이’를 열고 사업 추진 계확과 성장 목표를 밝힘. 포스코그룹은 2030년 2차전지 소재 사업에서 매출 62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음. 이는 지난해 발표한 목표(41조원)보다 21조원(51%) 상향한 수치임. 2030년 리튬(42만3,000t), 니켈(24만t), 양극재(100만t), 음극재(37만t) 등 세부 생산 목표도 공개했음. ▷이와 관련,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전략기획총괄은 “3년간 그룹 전체 투자비의 46%를 2차전지 소재 사업에 집중 투자해 2026년이후에는 본격적인 이익을 창출할 것”이라며, “2차전지 소재 대표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POSCO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DX, 포스코엠텍, 포스코스틸리온 등 포스코 그룹주가 상승. [종목]: POSCO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DX, 포스코엠텍, 포스코스틸리온 | |
셀트리온 그룹주 | 셀트리온 그룹, 합병 절차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셀트리온 그룹이 합병 절차에 본격 돌입할 것으로 전해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시행한 자사주 매입을 최근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로 마친 만큼 업계에선 이르면 연내 합병도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관련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그룹은 3사 합병을 위해 미레에셋증권을 선정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앞서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경영복귀 기자간담회에서 3사 합병 의사를 적극 피력하고 경영 일선에 전격 복귀하는 등 관련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셀트리온 관계자는 "합병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상세 일정이 정해지면 공시 등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설명. [종목]: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 |
한솔케미칼 (014680) 219,500원 (+3.78%) | 분기 매출 이익 증가 구간 진입 전망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분기 매출이 이익 증가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의 가동률을 고려한 2분기 DRAM/NAND wafer input CAPA는 각각 -21.2% QoQ, -15.4% QoQ로 추정하며, 2분기를 저점으로 3분기 +4.3% QoQ, +0.9% QoQ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파운드리 가동률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과산화수소, 프리커서 매출액은 3분기부터 분기 단위 증가세에 진입할 것이고, 3분기, 4분기 반도체 소재 매출은 +6% QoQ, +8% QoQ로 추정. 특히, 향후 증설할 메모리/비메모리 라인들은 고순도의 과산화수소를 필요로 하는 선단공정이어서 경쟁사에 과산화수소 점유율을 빼앗길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따라서 가동률 회복에 따른 소재 수요 회복과 함께 하반기, 내년 증설로 인한 소재 TAM 증가 수혜를 예상. ▷한편, 2023년, 2024년 EPS 추정치를 8.3%, 7.8% 낮춤에 따라 목표주가를 320,000원(12MF EPS에 target PER 25.2배 적용)으로 하향하지만, 최근의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85,000원 -> 320,000원[하향] | |
코오롱인더 (120110) 53,400원 (+3.69%) | 아라미드 증설 가시화에 따른 내년 수익성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고수익 제품인 아라미드는 현재 증설을 진행하고 있으며 11월 완공후 12월 시운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선주문이 현재 60%를 넘어서는 상황으로 내년부터 수익성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한편, 2분기 매출액은 1.3조원(YoY +7%, QoQ +7%), 영업이익은 575억원(YoY +4%, QoQ +10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산업자재부문에서 에어백 판가 인상이 이루어졌고, 필름/전자재료부문은 1분기에 이어 적자규모를 이어졌지만, 패션부문에서 성수기를 맞이하여 전체 영업이익 개선세를 이끌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5,000원 -> 64,000원[상향] | |
대웅제약 (069620) 96,000원 (+3.45%)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결 기준 2Q23 매출액 3,379억원(+4.9YoY, +4.8%QoQ), 영업이익 349억원(+16.2%YoY, +42.7%QoQ, OPM 10.3%)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매출액 3,471억원, 영업이익 371억원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신제품 효과가 본격화되며, 전문의약품 부분의 매출액은 2,236억원(+8.7%YoY)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 ▷아울러 23년 매출액은 1조 3,629억원(+6.5YoY), 영업이익은 1,266억원(+32.1%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올해 실적을 견인하는 품목은 P-CAB 소화성 궤양용제 펙수클루이며, 펙수클루의 23년 매출액은 664억원(+297.5%YoY)으로 추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 |
유한양행 (000100) 59,300원 (+2.95%) | 실적 및 R&D 성장 견조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979억원(+3.1% YoY), 영업이익은 216억원(+27.5% YoY)으로 각각 컨센서스 4,988억원, 206억원과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전반적으로 견조한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상반기에 수주가 집중되는 해외사업부(636억원, +12.0% YoY)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며, 계절성의 영향으로 생활유통사업부(578억원, +2.2% YoY)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는 지난 6월 30일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국내 상품명 렉라자)의 국내 1차 치료제로 확장 승인을 공시한 가운데, 1차 처방에 대한 보험급여 등재는 빠르면 연말이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5,000원 -> 79,000원[상향] ▷한편,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김열홍 연구개발(R&D) 총괄 사장은 금일 코엑스에서 열린 종합 바이오 컨벤션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2023)'의 기조 세션에서 "동사는 앞으로 가능한 전략적(SI) 투자는 배제하고 유망한 후보물질이라면 직접 라이선스 인하거나 투자 파트너링 기업의 최대 주주로 오르는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힘. | |
한화오션 (042660) 46,000원 (+2.45%) | 잠수함 핵심 음향장비 국산화 성공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잠수함의 작전 성능과 생존성을 높이는 음향측심기, 음탐기 비콘(beacon), 발사형 수중환경측정기 등 핵심 음향장비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밝힘. 기존에는 해외 독점 업체로부터 이들 장비를 수입해 왔으나, 국산화를 통해 50% 가량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 아울러 수입 장비는 문제가 발생하면 잠수함을 육상으로 끌어올려 수리해야 하지만, 국산 제품은 수중 작업도 가능해 효율적이라고 설명. ▷이들 장비는 이미 건조된 잠수함뿐 아니라 앞으로 개발될 국내 잠수함 및 수출형 잠수함에도 탑재할 수 있어 경제적 효과도 높을 것이라며, 이번 국산화로 장보고-Ⅲ급 배치(Batch)-Ⅱ 잠수함은 국산화율 80%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조선업 호황 속 조선주들이 상승세를 이어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 |
서연이화 (200880) 23,950원 (+1.91%) |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8,660억원(+25.9% yoy), 영업이익 620억원(+100.9% yoy), 지배이익 460억원(+768.9% yoy)을 기록해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공장 가동률 상승, 그랜저, 코나, 아이오닉6 등 주요 신차 판매의 호조, 물류비 절감에 따른 영업 비용 축소 등을 호실적의 원인으로 언급. ▷아울러 4분기 중국 자회사 손상 차손 반영 가능성을 감안하더라도 2023년 연간 지배이익 1,540억원을 전망한다며, 하반기 신형 싼타페 출시, 고객사의 인도 Capa 확대, 북미/국내 전기차 신공장 물량 수주 가능성 등이 향후 주가 상승의 트리거가 될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6,000원 -> 34,000원[상향] | |
LS ELECTRIC (010120) 91,700원 (+1.66%) | 2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1조35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동기대비 14.2% 증가할 것으로 전망. 전력인프라와 자회사 외형 성장이 전사 매출 증가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영업이익은 93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4.7% 개선될 것으로 추정. 전력기기 부문은 우호적인 환율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마진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며 자동화도 견조한 전방 수요로 두 자리 수 이익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인프라 부문은 증가한 잔고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매출 성장 및 마진 상승이 기대된다고 밝힘. ▷또한,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양산 중심의 전력기기, 자동화의 수요 감소가 리스크 요인이었지만 아직 해당 추세는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라고 밝힘. 이어 과거 높았던 분기 실적 변동성과 달리 최근 국내외 수요 증가가 안정적인 성장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견조한 수익성이 지속된다면 연간 이익에 대한 눈높이도 추가 상향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4,000원 -> 115,000원[상향] | |
LG전자 (066570) 120,200원 (+1.43%) | 2030년 매출 100조원 목표 등 미래비전 발표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장래사업ㆍ경영 계획(공정공시) 공시를 통해 미래비전을 발표. 목적은 빠르게 변모하는 미래 시장 변화에 대비하고 당사의 지속 성장을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 Transformation 추진이며, 예상투자금액은 50조원으로 기대효과는 미래 시장 변곡점에서도 지속 성장하며 사업 포트폴리오의 Transform을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라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조주완 사장은 금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미래 비전과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으며, "앞으로 LG전자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최고 가전 브랜드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도약하는 담대한 도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재무적으로는 2030년 '트리플 7'(연평균 성장률과 영업이익률 7% 이상, 기업가치 7배 이상) 달성 을 목표로 제시했으며, 지난해 65조원 수준(LG이노텍 제외)이었던 매출 규모를 2030년 100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힘. | |
효성중공업 (298040) 134,000원 (-0.45%) | 저가 수주 프로젝트 일단락 속 수익성 개선 기대감 등에 약보합 |
▷전일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저가수주 프로젝트가 일단락된 가운데, 2Q23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수익성이 높은 단 납기 물량이 매출액에 반영되면서 2Q23 영업이익을 기존 추정치 360억원에서 470억원으로 상향하며, 이는 컨센서스 영업이익 447억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미국에서 변압기가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아니라 리드타임이 중요해졌다며, 동사는 생산에 여유가 있는 중국, 인도공장에서 북미 변압기 프로젝트에 대응하면서 수익성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아울러 공급망 재편으로 미국내 공장 증설, IIJA 법안이후 노후 전력망 교체수요, 신재생에너지 증가로 신규 전력기기 수요증가 등으로 전력기기 업체들의 실적개선이 산업 전체로 확산될 것이라는 인식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수요 상승요인이 단기간이 끝날 가능성은 낮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92,000원 -> 160,000원[상향] | |
LG에너지솔루션 (373220) 534,000원 (-2.91%) | 최대주주 LG화학, 총 2.59조원 규모 해외교환사채 발행 결정 속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LG화학은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1.29조원 규모의 해외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687,500원, 교환청구일:2023-08-28 ~ 2028-07-11) 및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1.29조원 규모의 해외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715,000원, 교환청구일:2023-08-28 ~ 2030-07-11) 공시. 교환대상은 동사 기명식 보통주식이라고 밝힘. | |
백광산업 (001340) 7,810원 (-8.12%) | 200억 횡령 의혹 檢 압수수색 기사 관련 해명 재공시 속 약세 |
▷6월13일 보도된 "트래펑 만드는 백광산업, 200억 횡령의혹 檢 압수수색" 관련 해명 재공시를 통해 상기 건과 관련하여 2022년7월14일에 공시된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따른 검찰고발 등 조치에 따라, 2023년6월13일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되었으며, 7월11일 검찰이 김** 전 대표이사를 소환 조사하였다고 밝힘. ▷한편, 당사는 관련 기관의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으며, 향후 상기 건과 관련하여 확정사실 등이 발생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 예정이라고 밝힘.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1 12:58
디아이씨 | 4,525 | 265 | +6.22%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전산업(130660) 소폭 상승세 +4.88%
-
2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3
인기검색 20종목
-
4
니케이지수(일본) : ▼1,247.77엔(-3.61%), 33,361.23엔 [오후장출발]
-
5
신성델타테크(065350) 소폭 상승세 +3.13%
-
6
니케이지수(일본) : ▼1,460.55엔(-4.22%), 33,148.45엔 [전장마감]
-
7
와이랩(432430) 상승폭 확대 +11.40%
-
8
뷰노(338220) 소폭 상승세 +3.61%
-
9
한화비전(489790) 소폭 상승세 +3.09%
-
10
동화기업(025900) 소폭 상승세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