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7.17 14:50:17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4대강 복원, 모듈러주택, 건설 대표주, 태풍 및 장마,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조림사업, 우크라이나 재건,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농업,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반도체 장비, 건설 중소형, 클라우드 컴퓨팅, 시 멘트/레미콘, 카메라모듈/부품, 가상현실(VR), 페인트, 비료, 시스템반도체, AI 챗봇(챗GPT 등), NFT(대체불가토큰), 전기차(충전소/충전기), 리튬 등...
약세 테마항공기부품, 제대혈, 일자리(취업), 손해보험, 자동차 대표주, mRNA(메신저 리보핵산),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 치료제/분석, 셰일가스(Shale Gas), 그래핀, 카지노, 면역항암제, U-Healthcare(원격진료), 미용기기, 전선, 생명보험,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치매, 화학섬유, 항공/저가 항공사(LCC), 통신,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해운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메타버스(Metaverse)/ AI 관련주네이버,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사업 참여 소식 속 AI·디지털트윈 활용 기대감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네이버가 지난주 윤석열 대통령의 폴란드 방문 경제사절단에 참가해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네이버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사업에서 할 구체적인 역할은 디지털 트윈 인프라 구축, 생성형 AI 개발, 소버린 클라우드 제공 등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스마트시티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라고 알려짐. 또한, 우크라이나어 기반의 생성형 AI 개발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자정부 서비스 고도화를 한다는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정책 대표는 지난 14일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기업 간담회’에 대표로 참석해 “우크라이나는 단순히 전쟁 피해 복구를 넘어 국가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추진 중”이라며 “도시 인프라에 대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업 참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차세대 AR 헤드셋용 LEDoS 디스플레이 개발을 확정했다고 전해짐. 삼성전자는 자체 헤드셋을 개발하고 있으며, LEDoS 디스플레이를 차세대 AR 헤드셋에 적용할 계획으로 내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알려짐. 삼성전자가 개발하고 있는 헤드셋은 LEDoS 기술을 사용하여 인치당 5,000~7,000개의 픽셀 밀도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애플의 OLEDoS 기술을 사용하는 헤드셋보다 훨씬 높은 수치라고 전해 짐.

▷이 같은 소식 속 알체라, 웨이버스, 넵튠, 라온텍, 세코닉스 등 메타버스(Metaverse)/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테마가 상승. 또한, 오브젠, 엠로, 핀텔, 마음AI, 플리토, 이스트소프트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AI 챗봇(챗GPT 등) 테마도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스마트 제조 시장 2027년까지 연간 13.95% 성장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테크나비오(technavio)가 '2023년부터 2023년까지 스마트 제조 시장 예측 및 분석' 보고서를 통해 스마트 제조 시장 규모가 2023년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13.95% 성장률을 기록해, 2027년 전체 시장 규모가 약 203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스마트 제조에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IIoT, 로봇 공학, 예방적 유지 보수, 증강 및 가상현실, 자동화 패키징, 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이, 제조 공정의 단순화, 인터스트리 4.0 채택 증가, 공급망 복잡성 등의 요구 사항에 적용되면서 시장 확대를 이 끌 전망임.

▷또한,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에서 한·중·일 주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일본 로봇 업체인 화낙은 기반하중(로봇이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무게) 50㎏의 협동로봇 양산을 준비하고 있고 중국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우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두산로보틱스는 제품 라인업 확대와 함께 투자금 확보를 위한 기업공개(IPO)에도 주력하는 상황이라고 알려짐. 투자금을 확보하고자 IPO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 두산로보틱스는 연내 상장을 위해 6월 IPO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바 있으며, 업계에서는 두산로보틱스 기업 가치를 1조원 이상으로 보고 있음.

▷한편,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6,600억원에서 2026년 1조9,300억원 규모로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에스비비테크, 에스피시스템스, 에스피지, 알에스오토메이션, 뉴로메카, 로보스타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또한, 삼성에스디에스, 아진엑스텍, 티라유텍 등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도 상승.
전기차(충전소/충전기)SK시그넷, 美 프란시스 에너지와 대규모 충전기 공급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상승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제조 기업인 SK시그넷은 언론을 통해 미국 프란시스 에너지(Francis Energy)와 대규모 충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프란시스 에너지는 미국 내 4위 급속 충전기 운영사업자로 8개 주에 550기 이상의 충전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사업 지역을 25개 주로 확장할 계획인 가운데, SK시그넷은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프란시스 에너지에 최소 1,000기의 400킬로와트(kW)급 초급속 충전기를 공급할 예정임.

▷SK시그넷의 이번 공급 계약을 통해 미국 교통부의 '국가 전기차 인프라 프로그램'(NEVI)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을 처음으로 받게 되며, SK시그넷과 프란시스 에너지는 오하이오주의 NEVI 프로젝트 참여사로 선정됐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대유플러스, 동양이엔피, 휴맥스홀딩스, 모트렉스, 휴맥스 등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가 상승.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테슬라, 프라이빗 뷰 디스플레이 탑재 추진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가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을 가득 채우면서 운전자와 동승자가 서로 다른 화면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업계에서 일명 '프라이빗 뷰' 또는 '스위처블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switchable privacy display)'로 불리는 기술로, 테슬라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으로 이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삼성·LG 등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와 개발 협력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해당 디스플레이 개발 추진 사유로는 운전자와 동승자의 안전과 오락을 동시에 충족하려는 시도로 풀이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는 하나지만 운전자와 동승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을 분리해 운전자는 운전에 집중하고, 동승자는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게 하려는 의도로 알려졌음.

▷이에 금일 이엘피, 주성엔지니어링, 로보스타, 야스, 브이원텍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2차전지테슬라, 사이버트럭 생산 개시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 15일(현지시간) 테슬라는 트위터 공식 계정에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첫 사이버트럭이 만들어졌다"고 밝힘. 테슬라는 이와 함께 텍사스 공장 근로자들이 사이버트럭을 둘러싸고 찍은 기념사진도 공개했음.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을 생산한 것은 2019년 11월 시제품을 처음 공개한 이후 약 4년 만임. 전세계 사이버트럭 사전 예약은 약 150만 대 규모로, 미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EV등은 오는 9월쯤 차량 인도를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머스크는 지난 5월 주주총회에서 사이버트럭을 연내에 인도할 것이라고 장담하면서 “생산이 시작되면 연간 25만대에서 50만대를 인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업계에선 픽업 트럭이 기존 내연기관 기반 자동차 업계에서도 수익성이 높은 제품으로, 전기 픽업트럭은 기존 대형 완성차업체와 경쟁에서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큰 차량으로 여겨져왔음.

▷한편, 올해 초 LG이노텍이 ‘테슬라 사이버트럭’ 카메라모듈 수주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LG이노텍은 이에 대해 협의 중에 있으나,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애경케미칼, 금양, 엠케이전자, 디이엔티, 뉴인텍, 코스모신소재 등 일부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8 15:30
알체라 1,762 68 -3.72%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0 22:1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