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혁신단지 4곳서 11곳 더 추가 … 청년농부 키우겠다
입력 : 2023.01.24 15:51:02
'농사=힘든일' 인식 사라져야
청년층 참여 늘고 농촌 발전
첨단기술 식품에 접목시켜
대체 푸드 시장도 육성할 것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농업을 빠른 속도로 스마트화하는 것이다. 농업이 힘들고 고된 일이라는 인식이 사라지면 농업에 뛰어드는 청년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농업이 발전하는 선순환이 이뤄진다는 것이 정 장관의 생각이다.
정 장관이 그런 생각을 갖게 된 핵심적인 배경은 농업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는 "농업이 시대에 뒤처진다고들 생각하지만 농업은 사실 미래 산업"이라며 "지금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전부 농업에 접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장관은 "농업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첨단 기술을 적용해 농산물을 기르는 스마트팜 단지를 계속 늘려갈 계획이다. 현재 김제·고흥·상주·밀양 등 4곳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이어 이보다 규모가 다소 작은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를 임기 내 추가로 11곳 더 늘리는 것이 정 장관의 목표다. 그는 "보통 노지에서 재배할 때는 온습도, 햇빛이 모두 변해 농산물 형태가 다양하지만 스마트팜에서 나오는 농산물은 거의 유사한 모습"이라며 "품질이 좋은 만큼 가격도 비싸게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대형 스마트팜은 청년농 육성 사업 중 핵심으로 꼽힌다. 정 장관은 "올해 임대형 스마트팜 3곳을 만들 것"이라며 "균형발전 차원에서 기왕이면 서울에서 먼 곳에 지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이 스마트팜 사업에 힘을 쏟는 이유는 지방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그는 "스마트팜이 가동되고 있는 김제는 지난해 인구가 500명 정도 늘었다"며 "스마트팜이 있는 곳에는 젊은 사람들이 오게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독일 등 선진국도 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한 농업의 스마트화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푸드테크도 스마트농업의 일환이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식품에 접목하는 개념인데, 정 장관은 그중에서도 '대체식품'에 주목하고 있다. 그는 "콩을 원료로 만든 대체육을 먹어봤는데 프라이드 치킨 같은 맛이 났다"며 "앞으로는 대체육 산업이 전통적인 축산업과 병존하는 세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최근 양돈업계 관계자들에게 대체식품 시장이 다가오는 만큼 대비하라고 주문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푸드테크 관련 인력 교육도 강화할 방침이다. 정 장관은 "푸드테크 학과를 현 4개에서 올해 8개로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년층 참여 늘고 농촌 발전
첨단기술 식품에 접목시켜
대체 푸드 시장도 육성할 것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농업을 빠른 속도로 스마트화하는 것이다. 농업이 힘들고 고된 일이라는 인식이 사라지면 농업에 뛰어드는 청년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농업이 발전하는 선순환이 이뤄진다는 것이 정 장관의 생각이다.
정 장관이 그런 생각을 갖게 된 핵심적인 배경은 농업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는 "농업이 시대에 뒤처진다고들 생각하지만 농업은 사실 미래 산업"이라며 "지금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전부 농업에 접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장관은 "농업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첨단 기술을 적용해 농산물을 기르는 스마트팜 단지를 계속 늘려갈 계획이다. 현재 김제·고흥·상주·밀양 등 4곳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이어 이보다 규모가 다소 작은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를 임기 내 추가로 11곳 더 늘리는 것이 정 장관의 목표다. 그는 "보통 노지에서 재배할 때는 온습도, 햇빛이 모두 변해 농산물 형태가 다양하지만 스마트팜에서 나오는 농산물은 거의 유사한 모습"이라며 "품질이 좋은 만큼 가격도 비싸게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대형 스마트팜은 청년농 육성 사업 중 핵심으로 꼽힌다. 정 장관은 "올해 임대형 스마트팜 3곳을 만들 것"이라며 "균형발전 차원에서 기왕이면 서울에서 먼 곳에 지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이 스마트팜 사업에 힘을 쏟는 이유는 지방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그는 "스마트팜이 가동되고 있는 김제는 지난해 인구가 500명 정도 늘었다"며 "스마트팜이 있는 곳에는 젊은 사람들이 오게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독일 등 선진국도 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한 농업의 스마트화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푸드테크도 스마트농업의 일환이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식품에 접목하는 개념인데, 정 장관은 그중에서도 '대체식품'에 주목하고 있다. 그는 "콩을 원료로 만든 대체육을 먹어봤는데 프라이드 치킨 같은 맛이 났다"며 "앞으로는 대체육 산업이 전통적인 축산업과 병존하는 세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최근 양돈업계 관계자들에게 대체식품 시장이 다가오는 만큼 대비하라고 주문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푸드테크 관련 인력 교육도 강화할 방침이다. 정 장관은 "푸드테크 학과를 현 4개에서 올해 8개로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사상 최대 실적 냈지만…KB금융, 주주환원 실망감에 5%대 하락
-
2
코스피 프로그램 순매도 상위종목
-
3
변동성완화장치(VI) 발동 종목, 발동시간 기준
-
4
코스닥지수 : ▲6.49P(+0.89%), 737.47P
-
5
코스닥 프로그램 순매수 상위종목
-
6
맥스트(377030) 상승폭 확대 +8.28%
-
7
“서학개미 잡아라”…한국투자증권, MTS 해외주식 신규 기능 추가
-
8
SK바이오팜,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406.54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9
HD현대건설기계,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353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
-
10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