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높다” 아우성에 응답했다…0.5%P 내린 이 대출
서정원 기자(jungwon.seo@mk.co.kr), 이호준 기자(lee.hojoon@mk.co.kr)
입력 : 2023.01.27 00:41:36
입력 : 2023.01.27 00:41:36
소득 제한 없이 최대 5억원까지 대출해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이 출시를 앞두고 금리를 0.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연 4%대 초중반이고, 모든 우대조건을 받을 경우 최저 연 3.25%~3.55%로 대출받을 수도 있다.
26일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는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일반형 연 4.25~4.55%, 우대형 연 4.15~4.45%로 낮췄다고 밝혔다. 최준우 주금공 사장은 “출시계획 발표 이후 국고채 금리 하락 등에 따른 주택저당증권 조달비용 인하분을 반영해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내리기로 결정했다”면서 “금리 상승기에 더 많은 서민·실수요자분들이 주거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는 30일 오전 9시부터 주금공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앞서 이날 오전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특례보금자리 금리가 시중 금리보다 낮긴 하지만, 정책 모기지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금리를 낮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인하해줄 것을 당국에 요청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금리상승기 서민·실수요자의 금리변동 위험을 줄이는 취지에서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고정금리 정책상품이다. 일반형은 주택가격 9억원 이하 6억원 초과가 대상인데, 소득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우대형은 주택가격 6억원 이하, 부부합산 소득 1억원 이하가 대상이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약정방식(아낌e)으로 신청하면 추가로 0.1%포인트 금리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우대형 상품의 경우 저소득청년(0.1%포인트), 신혼가구(0.2%포인트), 사회적배려층(0.4%포인트)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도 우대금리가 있다. 이를 모두 받을 경우 최저금리가 연 3.25~3.55%가 된다.
예컨대 주택가격 6억원 이하, 부부합산 소득이 7000만원 이하인 가구의 경우 미성년자녀가 3명 이상이라면 다자녀(0.4%포인트)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면 전자약정 우대금리 0.1%포인트를 받아 3%대 후반대(연 3.65~3.95%)로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달 초 특례보금자리론 공개 당시 일반형 금리는 연 4.75~5.05%, 우대형은 연 4.65~4.95%였다. 일반 주담대와 달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금리가 아쉽다는 얘기가 많았다. 12월 이후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가 4% 초반으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주금공은 오는 3월부터는 매달 시장금리, 재원 상황 등을 감안해 기본금리를 조정할 계획으로,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특례보금자리론 금리가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
기존대출을 특례보금자리론으로 갈아타고자 하는 차주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존대출에 대한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된다.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하다가 중도에 상환하는 경우에도 중도상환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26일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는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일반형 연 4.25~4.55%, 우대형 연 4.15~4.45%로 낮췄다고 밝혔다. 최준우 주금공 사장은 “출시계획 발표 이후 국고채 금리 하락 등에 따른 주택저당증권 조달비용 인하분을 반영해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내리기로 결정했다”면서 “금리 상승기에 더 많은 서민·실수요자분들이 주거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는 30일 오전 9시부터 주금공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앞서 이날 오전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특례보금자리 금리가 시중 금리보다 낮긴 하지만, 정책 모기지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금리를 낮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인하해줄 것을 당국에 요청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금리상승기 서민·실수요자의 금리변동 위험을 줄이는 취지에서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고정금리 정책상품이다. 일반형은 주택가격 9억원 이하 6억원 초과가 대상인데, 소득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우대형은 주택가격 6억원 이하, 부부합산 소득 1억원 이하가 대상이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약정방식(아낌e)으로 신청하면 추가로 0.1%포인트 금리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우대형 상품의 경우 저소득청년(0.1%포인트), 신혼가구(0.2%포인트), 사회적배려층(0.4%포인트)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도 우대금리가 있다. 이를 모두 받을 경우 최저금리가 연 3.25~3.55%가 된다.
예컨대 주택가격 6억원 이하, 부부합산 소득이 7000만원 이하인 가구의 경우 미성년자녀가 3명 이상이라면 다자녀(0.4%포인트)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면 전자약정 우대금리 0.1%포인트를 받아 3%대 후반대(연 3.65~3.95%)로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달 초 특례보금자리론 공개 당시 일반형 금리는 연 4.75~5.05%, 우대형은 연 4.65~4.95%였다. 일반 주담대와 달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금리가 아쉽다는 얘기가 많았다. 12월 이후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가 4% 초반으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주금공은 오는 3월부터는 매달 시장금리, 재원 상황 등을 감안해 기본금리를 조정할 계획으로,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특례보금자리론 금리가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
기존대출을 특례보금자리론으로 갈아타고자 하는 차주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존대출에 대한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된다.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하다가 중도에 상환하는 경우에도 중도상환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