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조원 싸들고 한국 뜬 코인부자들, 왜?…“떼돈 벌 기회 없어”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3.09.22 19:49:46 I 수정 : 2023.09.22 20:25:29
입력 : 2023.09.22 19:49:46 I 수정 : 2023.09.22 20:25:29

올해 상반기 국내 코인투자자들이 해외로 송금한 가상자산규모는 약 2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하반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 거래소 신규 상장 코인 중에는 하루 거래량이 1억원도 안되는 사례가 수두룩한 것과 대조적이다. 업계에서는 하루 총 거래량이 1억원에 못미치면 원활한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본다. 총거래량이 1억이라고 해도 한 번에 사고파는 양은 그 보다 훨씬 적기 때문이다.
22일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거래소를 비롯한 해외 사업자로 보낸 가상자산 규모는 19조6947억원(1회 송금액 100만원 이상 대상)에 달했다. 해외 송금 규모가 가장 큰 거래소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량 점유율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업비트였다. 상반기 업비트에서만 15조5798억원 규모의 가상자산이 해외로 나갔다. 전체 5대 거래소 해외송금액의 79.1%를 차지하는 규모다. 업비트의 뒤를 이어 빗썸이 3조3989억원, 코인원은 6395억원, 코빗은 641억원, 고팍스는 123억원 순이었다.
올 상반기 해외송금 규모는 지난해 하반기와 거의 비슷하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의 ‘2022년 하반기 가상자산 사업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국내거래업자로부터 해외사업자로 나간 금액은 19조9000억원이었다.
특히 송금 건수가 올 상반기 급증한 것이 눈에 띈다. 작년 하반기는 88만건에 불과했지만 올해 상반기엔 25% 증가한 110만건을 기록했다. 건당 송금규모는 지난해 하반기(2261만원)대비 21.3% 줄어든 1780만원으로 나타났다. 거래소별 건당 송금규모는 코인원이 2570만원으로 가장 컸다. 업비트가 1848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코빗 1501만원, 빗썸 1469만원, 고팍스 443만원 순이다.

해외송금액이 크게 증가한 반면 국내 거래소는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매일경제가 국내 5대 거래소의 하반기 신규 상장 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76개 코인 중 하루 거래액이 원활한 거래로 보기 어려운 1억원 이하인 경우가 54개에 달했다. 신규 상장 코인 중 하루거래 1억원 미만의 숫자를 거래소 별로 보면 코인원이 33개 중 32개, 빗썸이 30개 중 14개, 업비트는 5개 중 1개, 코팍스는 5개 중 5개였다.
수수료를 계산하면 숫자는 더욱 처참하다. 빗썸이 일부 수수료 무료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5대 거래소가 하반기에 신규 상장한 코인으로 최근 24시간(21~22일) 동안 벌어들인 수수료 수익을 살펴보면 업비트 1억3391만원, 빗썸 8513만원, 코인원 131만원, 고팍스 28만7000원, 코빗 4만6000원에 불과하다. 일 거래량이 100만원 이하인 코인도 코인원 22개, 빗썸, 고팍스 2개, 코빗 1개로 나타났다.
가상자산업계에서는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거래소 영업 방식이 해외 거래소를 따라가기 힘들어지면서 투자자들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를 해외로 자금을 송금하기 위한 발판으로만 이용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한 국내 거래소 관계자는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는 개인투자자들이 흥미를 끄는 ‘상장빔’, ‘상폐빔’ 등 이상 급등락이 아니면 거래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면서 “가상자산 투자자들은 그마저도 아쉬워 국내 영업신고도 안한 해외 거래소에 뛰어들어 레버리지 거래를 하는 등 위험한 투자 형태에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실제 가상자산 시장 약세가 지속되면서 지난 3월부터 전 세계 가상자산 시장에서 선물 거래량이 현물 거래량을 앞서기 시작했다. 더블록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현물 총 거래량은 464조원인 반면 선물 거래량은 631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국내 거래소는 선물 서비스를 못 한다.
기관투자자의 진입이나 파생상품 거래를 허용하는 식으로 투자 지형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분석도 있다.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은 “전세계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반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금융당국의 규제로 인해 산업이 위축되고 있다” 며 “법인‧기관 투자자 투자 허용 등 규제개선을 통해 원화마켓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 금리 동결에도 비트코인은 2월후 첫 9.8만불 돌파…“스태그플레이션 오히려 좋아”
-
2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3
‘반도체 디자인’ 싸이닉솔루션, 코스닥 상장 위한 증권신고서 제출
-
4
한투운용, ACE 미국배당퀄리티 시리즈 3종 동시 상장
-
5
토큰화된 美 국채 67억弗...올들어 70% 급증[매일코인]
-
6
에이엠매니지먼트, 신한퓨처스랩 11기 ‘혁신기술 분야’ 선정
-
7
삼성자산운용, ‘KODEX 증여 가이드북’ 발간
-
8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9
SK증권, ‘2025 서울머니쇼’ KRX 금현물시장 부스 참여
-
10
나우로보틱스, 상장 첫 날 160%대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