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s Pick] CBI, 3.6조 가치 텅스텐 광업권 확보
입력 : 2023.11.02 09:54:25
제목 : [TOP's Pick] CBI, 3.6조 가치 텅스텐 광업권 확보
지분 46.88% 쥔 광물자원개발기업 '구보' 통해 확보
국내 2위 텅스텐 광산…매장량 최대 2500만t[톱데일리] 코스닥 상장기업 CBI가 매장량 200만톤(t)에 이르는 국내 2위 텅스텐 광산의 광업권을 확보했다. 최근 100억원을 투자해 지분 46.88%를 확보한 광물 자원개발 기업 구보를 통해서다.
2일 CBI에 따르면 구보는 외국계 자원개발 기업으로부터 울진군 쌍전광산의 채굴권과 개발권을 인수, 산업통상자원부 광업등록사무소에 광업권 이전 등록을 완료했다.
국내 2대 텅스텐 광산으로 알려진 경상북도 울진군의 쌍전광산 권리는 독일과 싱가포 르 등 두 곳의 외국계 자원개발 기업이 나눠 갖고 있었다. 구보는 독일 기업 크로니메트(CRONIMET)와 싱가포르계 크리트민(Critmin)으로부터 쌍전광산의 광업권과 채굴권 일체를 되찾아왔다.

쌍전광산을 소유하게 된 구보는 "요즘과 같이 텅스텐의 부가가치가 높은 상황에서 국부 자원을 다시 찾아온 것"이라며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텅스텐 주권 확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텅스텐은 모든 무기에 필수적인 소재다. CBI는 텅스텐 광산 기업의 최대주주로서 방산 소재 관련 수혜 기업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게 됐다.
쌍전광산은 1983년 중석 가격 폭락으로 휴광됐다. 말소된 광업권을 2018년 동보자원이 재등록하고, 2020년 크로니메트, 크리트민이 조광권과 채굴권을 각각 확보했다.
쌍전광산의 매장량 조사는 과거 광업진흥공사 시절인 1973년부터 1990년도에 걸쳐 4차례 실시됐다. 당시 주 채광 지역 부근만 조사된 내용에 따르면 기준 W03(산화 텅스텐) 매장량은 129만7560톤이며 품위(광물 내 유용한 성분의 함량)는 0.41~0.54%에 이른다.
호주계 텅스텐 전문기업인 ITS에 따르면 2019년 보고서의 추가 조사된 매장량을 포함하면 쌍전광산의 확인된 매장량은 200만톤 규모에 달한다. ITS 보고서는 동서 연장부 및 하부에 대한 굴진 및 시추탐사를 진행할 경우 최대 매장량은 259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국내 최대 텅스텐 광산인 상동광산에 필적할만한 규모다.
구보 측은 쌍전광산을 다시 개발해 세계 최고의 텅스텐을 채광·생산하는 회사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구보 관계자는 "텅스텐 정광 1톤당 국제 시세는 약 3400만원으로 쌍전광산의 최대 텅스텐 매장량 2590만톤의 가치는 평균품위 0.41%를 적용해 단순 계산할 경우 3조6000억원의 가치에 이른다"며 "여기에 희토류와 함께 공급위험도가 가장 높은 핵심전략자원으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더한다면 그 가치는 수배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쌍전광산 확인 매장량의 평균 텅스텐 품위 0.46%는 중국 평균치 0.19%의 약 2.4배로 단연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며 "1970년대부터 시작된 중국의 텅스텐 가격 덤핑으로 얼마 캐보지도 못하고 휴광을 한 것이 전화위복이 된 셈"이라고 덧붙였다.

톱데일리
권준상 기자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8 15:30
CBI | 1,500 | 170 | +12.7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