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주한멕시코대사관에 '중견기업 애로 해소 건의서' 전달
김동규
입력 : 2023.11.13 10:00:25
입력 : 2023.11.13 10:00:25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는 13일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중견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를 요청하는 건의서를 주한멕시코대사관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중견련은 지난 8월 '주한멕시코대사 초청 중견기업 간담회'에서 나온 현지 진출 기업들의 건의와 이후 서면으로 접수한 추가 건의를 모아 총 12건의 개선 과제를 건의서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건의서에는 부가세 환급 지연, 복잡한 육로 수출 통관 등과 관련해 행정 절차 개선이 필요하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중견련 관계자는 "멕시코의 부가세 환급 규모는 16%로 높은 편이지만 소요 기간이 평균 2년에 달해 중견기업의 자금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은 멕시코의 주요 투자국 중 7위를 기록했으며, 1999∼2022년 누적 투자액은 87억3천400만달러에 달한다.
멕시코는 한국의 수출 중견기업 2천36개 중 124개(6.1%)가 진출해 있는 중남미 최대 교역국으로, 2021년 결산 기준 한국의 중견기업 신규 진출 3위 국가다.
그러나 멕시코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법인세율이 30%로 두 번째로 높고, 2023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이 20%에 달하며 페소화 강세 등으로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지난 8월 간담회에서 카를로스 페냐피엘 소토 주한멕시코대사는 "멕시코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해외 중견·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정착 지원"이라며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중견기업의 애로 해소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미국이 자국에 인접한 국가로의 생산기지 이전을 추진하는 니어쇼어링 정책을 가속화하면서 자동차, 기계·장비 제조 중견기업의 멕시코 진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중견기업의 안정적 현지 정착과 원활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對中관세 125%로 올리며 韓 비롯 70여개국은 90일 유예(종합)
-
2
트럼프, 관세전쟁 일단 中 집중…韓, 맞춤형협상 준비시간 확보
-
3
[속보] 상호관세 90일 유예에 나스닥 12% 폭등…애플 15%·테슬라 22%↑
-
4
[속보] 트럼프 '대중국 125% 관세'에 "보복하면 두배로…그래서 한 것"
-
5
美연준위원들 "美정부 정책 순효과 불확실…신중한 접근 적절"
-
6
美재무 "상호관세 2일 발표 세율이 상한, 기본관세 10%가 하한"(종합)
-
7
[1보] 국제유가, 90일 관세 유예에 급반등…WTI 4.6%↑
-
8
'관세 전 재고 확보'…1분기 PC 시장 출하량 4년 만에 최대폭 ↑
-
9
국제유가, 美 상호관세 90일간 유예에 4%대 반등(종합)
-
10
美무역대표 "몇주, 몇달내 상호관세 협상 가능…中은 다른 선택"(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