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생명(085620) 소폭 상승세 +3.98%, 외국계 매수 유입
입력 : 2023.11.28 13:38:08
제목 : 미래에셋생명(085620) 소폭 상승세 +3.98%, 외국계 매수 유입
기업개요
미래에셋금융그룹 계열의 업계 상위 생명보험사. 개인보험(보장성보험, 생사혼합 보험, 생존(연금) 보험, 변액 보험 등)과 단체보험(퇴직연금/보험, 단체보장성보험/저축성 보험 등) 상품을 판매. 특히, 노후준비 및 은퇴설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역량 및 최적화된 포지셔닝을 보유. 18년3월 PCA생명 흡수합병. 최대주주는 미래에셋증권 외(52.05%) Update : 2023.09.13 |
▶주식 투자의 바이블, 국내 유일의 모바일 주식신문 → 구독하기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11-27 | 5,270 ( +1.15 % ) | 249,467 | -105,147 | -18,709 | +123,914 | -58 |
11-24 | 5,210 ( -2.98 % ) | 161,696 | -1,427 | +16,249 | -14,822 | 0 |
11-23 | 5,370 ( +2.48 % ) | 196,760 | -43,172 | +15,391 | +27,431 | +350 |
11-22 | 5,240 ( +0.77 % ) | 215,665 | -10,533 | -17,767 | +28,351 | -51 |
11-21 | 5,200 ( +3.17 % ) | 250,266 | -33,898 | -36,534 | +70,572 | -140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11-27 | 0 | 0 | 0 | - | 0.00% |
11-24 | 0 | 0 | 0 | - | 0.00% |
11-23 | 19 | 0 | 19 | 35,383 | 0.01% |
11-22 | 91 | 0 | 91 | 35,383 | 0.04% |
11-21 | 524 | 0 | 524 | 35,383 | 0.21%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11-15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2023-11-07 공개매수 후 완전자회사 편입 가능성 제기 속 상승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권사 투자의견
평균목표가 : 3,833
일자 | 증권사 | 투자의견 | 목표주가 | 이전 투자의견 | 이전 목표주가 |
2023-11-20 | 유안타 | Hold | 3,000 | Hold | 4,000 |
2023-10-11 | 신한투자증권 | Trading BUY | 4,200 | 매수 | 4,200 |
2023-09-19 | NH투자 | Hold | 4,300 | Hold | 3,400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5 15:30
미래에셋생명 | 4,710 | 120 | -2.4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2
‘데이터센터 매출 부진’ ··· AMD 투매에 주가 급락
-
3
이도, 당진 염해농지 태양광 50㎿ 개발 인허가 획득
-
4
LG CNS도 못 녹인 공모주 한파 … 공모가 밑돌아
-
5
퍼시픽·과기공, 엔씨타워 품는다
-
6
금리 떨어지자 A급 채권 인기…발행 규모 두배로
-
7
디와이디, 바이오 전문가로 경영진 전면 교체…바이오헬스사업 본격화
-
8
[유가증권시장 공시] 두산로보틱스 / 신세계인터내셔날
-
9
혹독한 '공모주 한파' LG CNS도 못피했다
-
10
"韓서 팔아 한몫 챙기자"… 놀이터 전락한 K코인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