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메카코리아, 식물 및 식물 세포 조직 증가 기술 'CIMB 저널'에 게재

[팜뉴스=김태일 기자]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는 특정 발광 다이오드(LED) 처리로 식물 및 식물 세포 조직(EVs, Extracellular Vesicles)을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 및 이에 관한 연구논문이 CIMB(Current Issues in Molecular Biology) 저널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CIMB 저널은 스위스소재의 학회지로 분자 생물학 및 분자 미생물학의 모든 영역에 대한 리뷰를 게시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이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식물 및 식물 세포 조직 증가 기술' 연구논문이 SCI(과학기술 논문 인용색인)급 학술지에 게재되며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코스메카코리아 기술연구원은 특정 영역의 파장이 식물 생장에 도움을 되는 것에 착안하여 정제된 빛(LED광원)을 통해 에델바이스 세포외소포체의 생산 및 피부 개선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에델바이스는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뛰어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고 글리코플라보노이드(Glycoflavonoids), 레온포토딕산(Leontopodic acid)이 함유되어 피부 진정 및 보호효과로 안티에이징 성분으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까지 LED 광원에 노출된 식물의 세포외소포체(EVs)의 증가된 사례는 보고된 적이 없으며, 정제된 광원에 노출된 식물의 세포외소포체 증가를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코스메카코리아 기술연구원은 특정 파장에 처리된 에델바이스캘러스는 ▲세포외소포체 생산 향상 ▲효과적인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 ▲세포외 멜라닌 분석을 통한 멜라닌 생산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조현대 코스메카코리아 기술연구원장은 "병풀 및 인삼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며, 다양한 종의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비건 화장품 개발을 위한 식물 유래 소재관련 연구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라 말했다.
기사 관련 종목
코스메카코리아 | 53,500 | 3,950 | +7.9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 'EU 관세 50%' 트럼프 위협…동반 하락 마감
-
2
애플, '아이폰 25% 관세' 우려에 주가 3%↓…200달러선 하회(종합)
-
3
[샷!] "택배노동자도 투표하고 싶다"
-
4
대서양 무역전쟁 먹구름…트럼프, 내달부터 EU에 50% 관세 위협(종합2보)
-
5
USTR, 외국의 약값 억제 사례 조사 착수…韓도 대상 포함 가능성
-
6
트럼프 "신규 원전 18개월내 허가…2050년까지 발전 용량 4배로"
-
7
주유소 기름값 2주째 소폭 하락…"다음주도 내림세 지속"
-
8
"트럼프,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승인…140억불 투자해 파트너십"(종합)
-
9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서 1개 단지 분양…대선 앞 '숨 고르기'
-
10
[사이테크+] "달 일부 지역 암석의 강한 자기장은 소행성 충돌 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