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中 국영건설사와 이집트 재생에너지 시장 진출
이집트 정부와 MOU…수출용 그린 암모니아 프로젝트 공동 개발
권혜진
입력 : 2024.02.29 10:34:11
입력 : 2024.02.29 10:34:11

SK에코플랜트-CSCEC, 이집트 정부기관과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프로젝트 공동 개발 MOU [SK에코플랜트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SK에코플랜트가 중국 최대 국영건설사인 중국건축공정총공사(CSCEC)와 손잡고 이집트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생산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CSCEC와 공동으로 이 같은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지난 28일(현지시각) 이집트 카이로 정부청사 총리실에서 CSCEC와 이집트 신재생에너지청(NREA), 국영송전회사(EETC), 수에즈운하경제구역(SCZONE), 국부펀드(TSFE) 등 주요 정부기관과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SK에코플랜트와 CSCEC는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 선점을 위해 지난 1월 MOU를 체결했으며 이번 이집트 프로젝트는 양사가 거둔 첫 성과다.
양사는 이집트에 태양광 500메가와트(㎿), 육상풍력 278㎿ 등 총 778㎿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구축한 뒤 여기에서 만들어진 전력으로 블룸에너지 고체산화물 수전해기(SOEC)를 비롯한 250㎿ 규모의 수전해기를 통해 물에서 그린수소를 뽑아낼 예정이다.
그린수소는 저장과 운송이 용이한 그린암모니아로 변환해 수출된다.
연간 그린수소 생산량은 약 5만t, 그린암모니아 생산량은 약 25만t 규모로 예상된다.
상업운전 시작은 2029년 말이며, 총 사업비는 약 2조6천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이집트 정부로부터 부지를 지정받아 공동으로 타당성 조사에 착수하며, 조사 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프로젝트 규모, 일정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SK에코플랜트와 CSCEC는 각 사가 보유한 역량을 바탕으로 이번 공동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SK에코플랜트는 재생에너지 사업개발부터 핵심 기자재 생산, 그린수소 생산 및 그린암모니아 변환까지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캐나다-유럽 대륙간 그린수소 프로젝트, 아랍에미리트(UAE)·오만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프로젝트에도 참여 중이다.
CSCEC는 이집트에서 약 40년간의 업력을 쌓으면서 높은 사업적 영향력과 더불어 정부, 시장과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양사 간 협력으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배성준 SK에코플랜트 에너지사업단장은 "이집트를 비롯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과 대규모 부지를 갖고 있어 그린수소 생산 및 수출 잠재력이 높다"며 "CSCEC와 전략적 협력을 바탕으로 아프리카는 물론 글로벌 그린수소 프로젝트의 핵심 주체로 입지를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luc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스트레티지, 21억 달러 규모 주식 매각…비트코인 추가 매입 나선다
-
2
“돈 버는 맛이 쏠쏠”…사상 최고가 달성한 ‘형님’ 비트코인 따라가는 ‘동생’ 알트코인
-
3
KKR, 대규모 블록딜로 6200억 확보…HD현대마린솔루션 주가 6% ‘뚝’
-
4
“날 만나려면 돈을 써”…대통령 ‘접견권’ 논란에 빠진 트럼프 밈코인 [매일코인]
-
5
[MK시그널] GS건설, 건설업 회복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15.22% 기록
-
6
한국산업은행·신한자산운용 ‘원전산업성장펀드’ 출자사업 공고
-
7
크라켄, 전 세계서 토큰화된 미국 주식 거래 서비스 제공…바이낸스 실패 후 첫 사례
-
8
삼성운용,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 장∙단기 수익률 1위
-
9
NH-Amundi자산운용, 저소득층 청소년 가정에 쌀 180포대 기부
-
10
[MK 골든크로스 돌파종목 : 위더스제약(330350) & F&F(383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