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킹 어디다 할래?”…하루만 맡겨도 이자주는 ‘이것’ 투자기간 따라 금리 갈려
김태성 기자(kts@mk.co.kr)
입력 : 2024.03.04 16:00:24 I 수정 : 2024.03.04 19:20:00
입력 : 2024.03.04 16:00:24 I 수정 : 2024.03.04 19:20:00
3개월물 수익률 1년물 앞서
美 금리 인하 시기는 변수
美 금리 인하 시기는 변수

시장에서는 같은 파킹형 ETF라도 투자 기간과 기대 수익률 등을 고려해 가장 잘 맞는 종목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국자산평가 등 5개 신용평가기관이 평가한 지난 2월말 기준 CD 3개월물(91일)의 평균 수익률은 3.69%로, 같은날 1년물의 3.64%보다 0.05%포인트 더 높다.
현재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등 CD금리를 추종하는 대다수 ETF는 91일물 금리를 따라간다.
지난달에는 국내 최초로 1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가 상장해 9영업일만에 개인순매수 1000억원을 달성하며 파킹형 ETF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일반적으로 CD금리(수익률)는 만기가 길 수록 더 높다. 실제 1년전인 지난해 2월말에는 3개월물이 3.59%, 1년물이 3.76%로 CD 1년물이 0.17%포인트 상회했다.
계속되는 고금리에 지난해 11월에는 4.28%까지 치솟았던 1년물 수익률은 당시 내년(2024년)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발 금리 인하 기대감이 퍼지며 같은해 12월부터 4%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장기채 등 금리가 긴 투자상품의 경우 금리변동 영향을 단기 상품 대비 더 크게 받기 때문이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 20일 처음으로 3개월물과 1년물 수익률이 3.83%으로 같아진데 이어 올해들어서는 1월4일 1년물(3.83%)이 3개월물(3.82%)을 넘었다가 다시 같은달 12일에는 3개월물(3.76%)이 1년물(3.71%)을 추월하는 등 엎치락뒤치락 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1주간은 3개월물 수익률이 1년물보다 높은 상황이 유지되는 중이다.
이례적인 장단기 CD금리 역전 현상 탓에 1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ETF보다 91일물 금리를 따르는 ETF 수익률이 더 높아진 셈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단행 예상 시기가 하반기로 미뤄진 만큼 지금의 역전 현상은 조만간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언제든 투자 가능한 초단기 상품으로 파킹형 ETF를 찾는다면 현재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91일물 추종 종목을, 은행 예금을 대체하는 중장기 자금보관용 상품을 찾는다면 1년물 추종 종목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피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2
코스콤, ‘장애 대응’ 체계 전면 점검…24시간 신속 대응 나선다
-
3
에코비트·어펄마·거캐피탈 등, 코엔텍 인수 숏리스트 선정
-
4
DL이앤씨, 5,498.01억원 규모 공급계약(제물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체결
-
5
코스피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6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에 김동철·조연주·오기원 선임
-
7
M&A 알아보는 플랫폼들, ‘충성 고객’이 향방 가른다
-
8
김경수 “5극3특에 미래 달려”…이한주 “균형성장에 명운 걸어야”
-
9
알파녹스,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
10
LS증권 ‘로보스토어 서비스’ 가입 고객에 로봇청소기 등 경품 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