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뱅크(105760) 소폭 상승세 +3.33%, 5거래일만에 반등
입력 : 2024.03.11 09:57:52
제목 : 포스뱅크(105760) 소폭 상승세 +3.33%, 5거래일만에 반등
기업개요
포스(POS) 및 키오스크(KIOSK) 전문 제조업체. PC에 카드 리더(MSR), 바코드 리더, 영수증 프린터 등을 장착하고 POS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PC 기반의 POS 및 터치 스크린이 탑재된 안내기 혹은 무인 주문기 형태의 인터렉티브 KIOSK를 개발, 제조, 판매. 전 세계 80여개국 200여개의 총판 및 법인을 통해 미국, 한국, 이탈리아, 일본, 이스라엘 등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영업망을 확보. 최대주주는 은동욱 외(28.84%) Update : 2024.01.29 |
▶주식 투자의 모든 것.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3-08 | 14,400 ( -0.69 % ) | 180,427 | +16,881 | -19,068 | 0 | +2,187 |
03-07 | 14,500 ( -3.65 % ) | 306,635 | +29,665 | -27,445 | +2,500 | -4,720 |
03-06 | 15,050 ( -4.20 % ) | 346,425 | +64,427 | -68,297 | 0 | +3,870 |
03-05 | 15,710 ( -1.94 % ) | 482,788 | +127,504 | -89,941 | -40,500 | +2,937 |
03-04 | 16,020 ( +0.13 % ) | 1,009,213 | +13,650 | +390,105 | -406,857 | +3,102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3-08 | 0 | 0 | 0 | - | 0.00% |
03-07 | 0 | 0 | 0 | - | 0.00% |
03-06 | 0 | 0 | 0 | 0 | 0.00% |
03-05 | 0 | 0 | 0 | 0 | 0.00% |
03-04 | 0 | 0 | 0 | 0 | 0.00%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4-02-29 지난해 영업이익 부진 속 하락 ☞ 2024-01-30 급등 - 신규 상장 이틀째 급등 ☞ 2024-01-29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2024-01-29 급등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 종목공시
☞ 2024-02-28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792.87억원(전년대비 -13.34%), 영업이익 84.37억원(전년대비 -29.64%), 순이익 75.11억원(전년대비 +7.8%) |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3 15:30
포스뱅크 | 6,370 | 220 | +3.5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상무, 관세 인하 가능성에 "美 제품 더 수입하느냐가 관건"
-
2
美 2주 이상 실업수당 청구 3년 4개월 만에 최대…고용냉각 우려
-
3
美 관세 발표 앞뒀던 2월 수입액 사상 최대 수준…적자폭은 감소
-
4
트럼프, '관세폭탄' 다음날 "수술 끝났고, 환자는 더 강해질 것"
-
5
유엔 "AI, 일자리 40%에 영향…지식산업에 더 큰 파급"
-
6
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급락 출발…나스닥 개장 초 4%↓
-
7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에 급락 출발…나스닥 개장 초 4%대↓(종합)
-
8
美, 상호관세로 글로벌 통상전쟁 전면전…한국에 26% '관세폭탄'(종합4보)
-
9
[美관세폭풍] 유럽 "경제에 재앙"…각국 대응책 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