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얼음판 걷는 SM 주가…법원 판단 따라 급락 가능성도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오대석 기자(ods1@mk.co.kr)
입력 : 2023.02.15 16:03:33 I 수정 : 2023.02.15 20:14:50
입력 : 2023.02.15 16:03:33 I 수정 : 2023.02.15 20:14:50
![](https://wimg.mk.co.kr/news/cms/202302/15/news-p.v1.20230215.b16151ef6a074435b7bdb6c7a4997945_P1.jpg)
15일 SM주가는 장중 한때 12만 6500원까지 올랐다가 전 거래일 대비 5800원(4.7%) 상승한 12만2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가 12만원 이상에서 유지되면 소액주주들 입장에선 공개매수에 참여할 동기가 사라진다. 지난 10일 이 전 총괄의 SM 지분 14.8%를 사들인 하이브는 내달 1일까지 최대 595만1826주까지를 주당 12만원에 공개매수에 나섰다.
증권가에선 SM 주가가 12만원을 넘어섰다는 것만으로 공개매수의 성패를 판단하기엔 이르다는 평가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SM 주가가 12만원을 넘었기 때문에 향후 투심에 영향은 있겠지만, 2주 뒤의 주가는 단정할 수 없다”며 “특히 이날 주가는 전일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된 각종 소문들로 인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공개매수의 경우 종료 시점이 임박해 며칠 동안에 성패가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또 다른 IB업계 관계자는 “12만원은 하이브가 최대주주인 이 전 프로듀서의 지분을 매수한 것과 같은 수준이라 응하는 주주들이 꽤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브가 목표한 공개매수 수량을 다 채운다면 SM 지분 43%를 확보하게 된다. 카카오가 상황을 반전시키려면 우선 SM 이사회가 카카오에게 지분을 나눠주는 데 사용했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대한 무효 가처분 소송에서 유리한 판단을 받아내야 한다. 이 전 프로듀서 측은 SM 현 경영진이 카카오에 9.05%의 제3자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의에 대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한 상태로 오는 22일 첫 심문기일로 잡힌 상태다.
증권가에서는 만약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면 카카오가 SM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은 매우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지분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SM 지분을 매입하려면 인수비용이 커지는 데다 동력도 상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SM의 주가도 급락할 수 있다.
만약 공개매수에 응한 주주가 적고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하이브와 카카오 간 지분 매수 경쟁에는 불이 붙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 10일 얼라인파트너스는 공개매수가 12만원이 ‘터무니 없는 가격’이라는 입장을 내놓으며 더 높은 가격에 매수를 제시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하이브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800원(2.38%) 하락한 19만7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소액주주 지분 인수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뉴욕증시-1보] 급반등 후 숨 고르기…혼조 마감
-
3
울산시, 전기차 1천750대 구매 보조…승용 최대 870만원 지원
-
4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6일) 주요공시]
-
5
서울시·서울노동청·청소년쉼터협의회, 청소년 자립지원 협약
-
6
2인 방통위 내주 첫 회의 열릴까…안건 놓고 속도 조절
-
7
"스크린골프 소비자만족도 5점 만점에 3.74점…실내위생 불만"
-
8
아마존 작년 4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
9
NAVER, 주당 1,130원 현금배당 결정
-
10
NAVER,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5,420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