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경제가치 100조원 이상…세계화보다 산업화 필요 시점"
대한상의-외식산업정책학회 '한식의 산업화' 학술대회
김아람
입력 : 2022.12.23 14:00:02
입력 : 2022.12.23 14:00:02

[문화재청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K푸드'가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이 되려면 민간 중심으로 한식 산업화를 완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외식산업정책학회는 23일 서울 대한상의 중회의실에서 '한식의 산업화'를 주제로 하반기 학술대회를 열었다.
발제를 맡은 최규완 경희대 교수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열성적 한류 소비자의 한식 소비 비율이 2019년 24.3%에서 2021년 38.4%로 증가했다"며 "한식이 수요 측면에서 전보다 유리한 환경에 놓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 홍보를 통한 선언적 '세계화'보다는 한식을 둘러싼 전반적 이해관계자의 경쟁력을 높이고 하나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산업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 교수 연구팀이 산업 연관분석을 통해 추산한 한식의 국내 경제 파급효과는 약 23조원이다.
이는 2020년 기준 국내 외식업 총 매출 140조원의 16.4% 규모다.
또 한식당이 진출한 주요 국가의 한식 취식 인구가 연평균 지출하는 금액을 약 87조원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즉 정량적으로 측정한 한식의 경제적 가치는 100조원을 웃돈다.
최 교수는 "매출 효과를 합산하면 한식 산업의 전체 시장 규모는 국내 외식업 매출 규모를 초과할 것"이라며 "전후방 산업 효과를 고려하면 그 액수는 천문학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학술대회에서는 한식 산업화에 성공하려면 자국 음식 세계화에 성공한 일본 또는 베트남처럼 민간이 주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민간 주도로 한식 가치사슬(밸류체인) 협의체를 구축해 투자처를 발굴하고, 정부 협업을 통한 정책 수요 마련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한식 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부터 큰 발전"이라며 "한식이 미래 발전 가능성이 유망한 산업 영역에 진입한 만큼 업계 발전을 위해 대한상의도 열심히 뛰겠다"고 말했다.
ric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4분기 실적은 숨기고 싶다”…상장사 영업이익 전망치, 얼마나 줄었길래
-
2
"삼성전자, 유럽 냉난방기업 인수 추진" <블룸버그>
-
3
시진핑·룰라, 美 겨냥해 "다자주의 수호…관세전쟁에 승자없어"
-
4
美 4월 소비자물가 4년만에 최저…'관세' 5월부터 본격 반영예상(종합)
-
5
"中, 지난달 말 희토류자석 수출허가…수출통제 후 처음"
-
6
뉴욕증시, 4월 CPI 둔화에도 혼조 출발…다우 0.36%↓
-
7
中 "14일부터 對美 추가관세율 125→10%"…미중 무역합의 이행
-
8
트럼프 방문에...사우디 아람코 “美 정유공장 4.8조 투자”
-
9
中 "14일부터 對美 추가관세율 125→10%…비관세보복도 곧 중단"(종합)
-
10
美, 사우디와 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850조원 투자 유치"(종합)
05.14 00:2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