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선진국 규제강화…ESG 금융제도 본격 검토”
김명환 기자(teroo@mk.co.kr)
입력 : 2023.02.17 18:11:25
입력 : 2023.02.17 18:11:25
ESG 금융 추진단 1차 회의
“ESG 잘하는 기업, 제대로 투자받게”
“ESG 잘하는 기업, 제대로 투자받게”
금융위원회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금융 추진단을 구성하고 ESG 공시·평가·투자 관련 제도 전반을 정비한다. 금융위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 2030년부터 전체 상장사를 대상으로 도입하기로 한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보다 세분화하고, ESG 평가기관들에 대한 규율 체계를 마련해 평가 투명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금융위는 17일 서울 여의도 자본시장연구원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ESG 금융 추진단’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ESG를 잘 실천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고 투자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2025년부터 적용될 ESG 공시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공시 의무 대상기업, 공시항목, 기준 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며, ESG 평가에 있어서도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선진국의 규제 강화로 국내 기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 금융제도 전반에 대해 본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SG 금융 추진단은 ESG와 관련한 금융 분야의 다양한 정책 과제들에 대해 기업과 투자자, 학계, 유관기관 등과 함께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회의체다. 정부는 ESG 금융 추진단을 통해 공시, 평가, 투자로 이어지는 ESG 금융제도 전반에 대해 본격적으로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회의는 두달에 한번씩 열린다.
이날 회의는 거래소와 금융감독원, 회계기준원, 대한상의 등의 관계자와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 등이 참석해 ESG 공시·평가, 민간 금융, 녹색·정책 금융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또 ESG 공시 제도 구체화, 국내 ESG 공시 기준 검토, ESG 평가 신뢰성 제고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으며, ESG 금융상품 활성화, ESG 책임투자 확산, 중소기업의 ESG 역량 지원, ESG 전문가 양성 등에 관해서도 토론했다.
회의에서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 일정을 보다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정책 금융 지원 확대와 금융권의 기후리스크 관리 필요성 등도 이날 회의에서 언급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