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강달러…외국인 ‘폭풍매수’ 멈췄다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김제관 기자(reteq@mk.co.kr)
입력 : 2023.02.19 14:55:37 I 수정 : 2023.02.19 15:47:34
입력 : 2023.02.19 14:55:37 I 수정 : 2023.02.19 15:47:34
美CPI 발표후 긴축우려 커져
달러당 원화값 1300원 눈앞
외국인, 성장·플랫폼株 매도
지난주 순매수 491억 불과
3월 中리오프닝이 고비될듯
달러당 원화값 1300원 눈앞
외국인, 성장·플랫폼株 매도
지난주 순매수 491억 불과
3월 中리오프닝이 고비될듯
![](https://wimg.mk.co.kr/news/cms/202302/19/news-p.v1.20230219.fd62b5d106af44e3adec5d9f37ab3122_P1.jpg)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13일주(2월13일~2월17일)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에서 49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코스피 순매수 규모를 1월5일주(1월5일~1월11일) 1조5003억원에서 1월19일주(1월19일~1월26일) 3조3474억원어치까지 꾸준히 늘려오다 최근 들어 매수 규모를 줄여오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연준의 긴축 우려가 커진 것이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잦아든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다. 고용, 소비 등 거시경제 지표가 긍정적으로 발표되고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더딘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준의 긴축 강도가 더 커지거나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동기 대비 6% 올라 시장 기대치(5.4%)를 웃돌았고, 앞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6.4%로 시장 전망(6.2%)를 웃돌자 연준에서는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들이 쏟아졌다. 당초 월가에서는 연말 기준금리가 5.2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으나 곳곳에서 5.5%까지 올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추가 긴축 우려가 확대되고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는 후퇴하면서 위험을 피하려는 기조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연준의 긴축 강도가 강해지면 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주가는 하락한다. 선진국 증시에는 특히 더 좋지 않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이율이 높아진 미국 채권을 사기 위해 달러 확보에 나서면서 화폐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화폐 가치의 추가 하락을 두려워한 투자자들은 신흥국 주식이나 채권을 매도한다.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한 자산 평가 가치가 떨어질 것을 우려해서다. 실제 강달러 현상도 한달여 만에 다시 찾아왔다. 지난 1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1299.5원에 거래를 마감해 지난해 12월19일 1302.9원 이후 종가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13일~17일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상위 종목에는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올해 들어 상승폭이 컸던 기업들과, 성장주들이 다수 분포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 기간 POSCO홀딩스를 1425억원어치 순매도했다. POSCO홀딩스는 중국 리오프닝 기대로 철강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과, 포스코케미칼·에너지 등 자회사 가치가 부각되면서 주가가 올해 들어 22% 상승했다. 면세점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컸던 신세계도 679억원 순매도해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상위 6위를 차지했다.
카카오·카카오뱅크·네이버 등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들도 순매도 규모가 컸다. 같은 기간 외국인 투자자들은 카카오를 613억원, 카카오뱅크를 596억원, 네이버를 562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이들은 각각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상위 종목 8위, 9위, 10위를 차지했다. 카카오는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주가가 34% 상승했다 일주일새 11% 하락했다. 네이버도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주가가 28% 상승했다가 다시 7% 떨어진 상태다.
향후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점치는 시각은 갈린다.
매도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논리는 환율이다. 달러당 원화 가치의 상승 요인보다는 하락 요인이 더 크기 때문이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가 동결될 전망이 우세해 미국과의 통화 정책 차별화 우려가 있다”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 선물 매도 우위가 이어지며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2월 1~20일 수출입동향 역시 두 자릿수 수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원화 가치에 부정적”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최근의 외국인 투자자 매도세는 일시적인 현상일뿐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가시화되면 매수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선진국(이머징) 증시를 대표하는 중국 경기가 호전되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선이 선진국으로 쏠릴 수도 있고, 실적 증대가 기대되는 국내 기업들에 대한 투자심리도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자금 흐름을 좌우할 결정적 변수는 결국 중국 리오프닝 효과의 가시화일 것”이라고 말했다. 3월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전후 리커창 중국 총리가 물러나고 리창이 이끄는 새 경제팀이 출범하면서 리오프닝 효과가 본격화되면 외국인 순매수세는 이어질 것이란 예측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원익머트리얼즈(104830) 소폭 상승세 +3.22%, 3거래일 연속 상승
-
2
DMS,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3
니케이지수(일본) : ▼198.51엔(-0.51%), 38,868.02엔 [오후장출발]
-
4
인기검색 20종목
-
5
아이스크림미디어(461300) 소폭 상승세 +3.90%, 4거래일 연속 상승
-
6
유니온머티리얼(047400) 소폭 상승세 +3.38%
-
7
라온텍(418420) 상승폭 확대 +11.70%
-
8
로보티즈,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상해종합지수(중국) : ▲43.63P(+1.33%), 3,314.29P [전장마감]
-
10
바텍,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