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동석·탕웨이 광고하며 잘 나갔는데…알리·테무 등 매출 ‘확’ 꺾였다, 왜?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ifyouare@mk.co.kr)
입력 : 2024.05.20 10:24:28
입력 : 2024.05.20 10:24:28
BC카드, 알리익스프레스·테무 결제데이터 분석보니

마동석·탕웨이 등 유명배우를 내세우며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쇼핑 플랫폼(C커머스) 매출이 지난달 급감,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BC카드가 C커머스의 지난달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월대비 매출액이 40.2% 줄었다.
C커머스의 매출액은 2023년 10월을 100으로 봤을 때 2023년 11월 116.8, 12월 119.8, 2024년 1월 153.7, 3월 238.8로 급성장 했으나 4월에는 142.9로 감소했다.
매출액 감소는 저가결제 금액대에서 뚜렷했다.
전월대비 5000원 미만의 금액대 결제액이 55.2% 급감했다.
5000원 이상 1만원 미만 금액대는 42.0%, 1만원 이상 3만원 미만 금액대는 35.2%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저가구매 기피현상이 두드러졌다.
C커머스 매출 급감은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구매한 제품에서 ‘발암물질’이 나온 영향이 커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앞서 인천본부세관은 4월 7일 알리와 테무에서 판매하는 장신구 성분을 분석한 결과 404개 품목 중 96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서울시도 4월 8일 알리 판매율 상위에 오른 어린이용품과 생활용품 31개를 조사한 결과 8개 제품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C커머스 매출 감소에도 K커머스의 매출 증가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K커머스의 매출액은 2023년 10월을 100으로 봤을 때 2023년 11월 99.7, 12월 101.1, 2024년 1월 99.0, 3월 97.5로 대부분 기간 내리막을 보이다가, 4월 매출액도 전월대비 4.9% 줄어든 92.6을 기록했다.
특히, K커머스에서도 저가 결제액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5000원 미만 금액대 결제액은 28.4% 급감한 반면 나머지 금액대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C커머스의 발암 물질 논란이 K커머스에도 불안감으로 작용해 저가품목 소비감소 현상이 일어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국민연금 이어서 KIC도, TPA 도입 준비 ··· 운용수익률 1%p 더 높인다
-
2
비트코인-알트코인, 올들어 시총 격차 더 벌어져
-
3
‘화학 소재’ 보원케미칼, 상장 주관사에 BNK증권
-
4
오후장★테마동향
-
5
韓개미의 테슬라 사랑···급락에도 레버리지 베팅
-
6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
7
S&P도 韓경제 걱정 한가득...“한국기업 등급전망 부정평가 2배로”
-
8
코웨이(021240) 소폭 상승세 +4.08%, 3거래일 연속 상승
-
9
바빌론 공동 창립자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할 것”
-
10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