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룡산업(147830) 소폭 상승세 +3.02%, 6거래일만에 반등
입력 : 2024.07.23 13:27:54
제목 : 제룡산업(147830) 소폭 상승세 +3.02%, 6거래일만에 반등
기업개요
제룡전기에서 인적분할하여 설립된 업체로 금속 및 합성수지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송ㆍ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 가공 및 지중배전 수지제품 등. 주요 고객은 한국전력공사. 최대주주는 박종태 외(44.63%) Update : 2024.06.05 |
▶새로운 가능성을 만나다! 주식 투자 필수템.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7-22 | 8,260 ( -2.82 % ) | 844,486 | -121,381 | +123,468 | +1 | -2,088 |
07-19 | 8,500 ( -3.63 % ) | 1,309,864 | -21,199 | +29,017 | 0 | -7,818 |
07-18 | 8,820 ( -4.44 % ) | 1,979,040 | +210,949 | -204,612 | -1,524 | -4,813 |
07-17 | 9,230 ( -2.84 % ) | 2,181,445 | -31,858 | +21,410 | +3 | +10,445 |
07-16 | 9,500 ( -4.23 % ) | 1,770,655 | -22,776 | +31,254 | -2,072 | -6,406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7-22 | 0 | 0 | 0 | - | 0.00% |
07-19 | 0 | 0 | 0 | - | 0.00% |
07-18 | 0 | 0 | 0 | 107,024 | 0.00% |
07-17 | 0 | 0 | 0 | 23,222 | 0.00% |
07-16 | 0 | 0 | 0 | 19,722 | 0.00%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4-07-11 52주 신고가 - 국가 기간전력망 핵심 구축 HVDC 500kV 금구류 양산화 기대감 지속 ☞ 2024-07-09 국가 기간전력망 핵심 구축 HVDC 500kV 금구류 양산화 기대감에 상승 ☞ 2024-06-21 급등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급등 ☞ 2024-06-10 상한가 - 한국전력, 41조원 규모 인도네시아 송전망 구축 사업 소식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1일 연속 |
이슈&테마 스케줄
2024-07-23 HD현대일렉트릭 실적발표 2024-07-25 美) 유니언퍼시픽 실적발표(현지시간) 2024-07-25 LS ELECTRIC 실적발표 2024-07-29 산일전기 신규 상장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5 15:30
제룡산업 | 6,420 | 10 | +0.1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본전도 못 찾았다”…LG CNS 혹독한 신고식에 개미들 ‘울상’
-
2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3
[단독] 부동산 팔아 현금 확보하는 KT&G…서울 을지로 타워 매각 본격화
-
4
[2월 5일 공시] 신세계인터, 보통주 35.7만주 소각
-
5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6
“상장폐지 5곳 중 1곳은 결산 관련”…거래소, 유의사항 안내
-
7
신한운용, 1조원 규모 ‘과학기술혁신펀드’ 운용
-
8
KCGI·미래에셋운용, 글로벌 1위 권선업체 ‘에식스솔루션즈’ 2억弗 투자 마무리
-
9
산후조리원 286만원, 집에선 125만원…산모 희망정책 1순위는 산후조리원 비용 지원
-
10
전세계 ESG 채권 발행 늘었다는데…한국선 15%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