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02.28 17:12:14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450140) 6,060원 (+16.76%) |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바이낸스와 가상자산거래소 설립 추진설 속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이 최근 세계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와 손잡고 국내에 신규 가상자산거래소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짐. 다만, 코오롱그룹 관계자는 "(가상자산거래소 설립은) 바이낸스가 하는 것이지 이웅렬 명예회장이 하는 게 절대 아니다"고 밝혔으며, 바이낸스 관계자도 "지난해에 코오롱과 한국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과 자선 산업 실행을 두고 파트너십을 맺고 논의한 바 있다"면서도 "새로운 거래소 설립을 논의한 바는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급등세를 보였으며, 코오롱, 코오롱글로벌 등 코오롱 그룹주가 상승. | |
HL홀딩스 (060980) 34,450원 (+5.67%) | 텍사스 오스틴에 타이어 모듈 공장 설립 검토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HL그룹의 사업형 지주회사인 동사가 텍사스 오스틴에 전기차 모듈 생산 기지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현재 사업 타당성을 조사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나 시기는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음. ▷이번 투자는 현지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전기차 회사 테슬라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행보로 분석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HL그룹과 테슬라 간 협력 관계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는 HL그룹이 전동화 전환 추세와 맞물려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테슬라를 비롯한 전기차에 들어가는 부품의 비중을 높여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동사는 테슬라에 전기차용 타이어 모듈을 공급해온 것으로 전해짐. | |
무림페이퍼 (009200) 2,555원 (+5.58%)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9조원(전년대비 +32.58%), 영업이익 963.11억원(전년대비 +223.08%), 순이익 347.59억원(전년대비 +8,386.97%). ▷아울러 보통주 1주당 50원(시가배당율1.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상승세를 기록, 최대주주 무림SP도 소폭 상승. | |
쌍방울 (102280) 338원 (+2.74%) |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32.74억원(전년대비 +6.45%), 영업이익 6.4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951.7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국제약품 (002720) 4,685원 (+2.74%) | 보통주 1주당 0.0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소폭 상승 |
▷보통주 1주당 0.0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3-03-20, 상장예정:2023-04-17) 공시. | |
롯데정보통신 (286940) 29,350원 (+2.44%) | 본업 및 자회사 동반 성장 본격화 전망에 소폭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수년 전부터 기존의 SI 사업에서 확장해 신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왔으며, 그에 따른 성과가 올해 실적으로 확인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22년 초 인수한 자회사 중앙제어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충전기 시장 성장세에 따라 가파른 실적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올해 매출액은 1.12조원(YoY 7%), 영업이익은 470억원(YoY 3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동사의 현재 밸류에이션은 올해 예상실적 기준 PER 10.5배로, SI 기업들의 평균 PER 16배와 비교하면 저렴하며, 동사는 경기 침체 장기화와 IT투자 위축에도 불구하고 SI 업종 내 종목 중 투자 매력도가 가장 높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 |
토니모리 (214420) 4,300원 (+1.90%) | 화장품 표기 분쟁, 대법원서 LG생건에 최종 승소 소식 속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화장품 용기에 막대 그래프를 이용해 성분을 표기한 것을 두고 LG생활건강과 벌인 소송전에서 최종 승소한 것으로 전해짐. 대법원은 24일 LG생활건강이 동사를 상대로 한 부정경쟁행위 금지 소송에 대한 상고심에서 2심과 동일하게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는 최종 판결을 내렸음. 동사는 2022년10월경, 2심에서 승소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대법원 상고심까지 최종 승소함으로써, ‘닥터오킴스 수크라테놀 리커버 크림’ 제품은 모든 법률적 위험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난 셈"이라며, "고민을 거듭해 생산한 제품인 만큼 좋은 결과를 얻게 돼 기쁘게 생각하고, 앞으로 더욱 좋은 제품들을 소비자분들께 선보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힘. | |
KT (030200) 30,450원 (+1.67%) | MWC서 자율주행 배송로봇 공개 및 컨버지와 필리핀 DX 사업 개발 협력 MOU 체결 소식 속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MWC 2023에서 '로봇 메이커스'(Robot Makers) 플랫폼과 자율주행 배송로봇을 새롭게 선보인 것으로 전해짐. '로봇 메이커스' 플랫폼은 서로 다른 기종의 로봇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주문·결제 애플리케이션, 출입문, 인터폰, 콜드체인(저온 유통체계) 등 로봇 사용에 필요한 인프라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로봇 통합관제 플랫폼임. 특히, 이번 MWC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배송로봇은 동사가 축적한 로봇 서비스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 최초로 배송로봇에 온·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콜드체인 시스템 기능을 적용했음. ▷아울러 동사는 전일 필리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컨버지 ICT 솔루션즈’와 필리핀 DX 사업개발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VSaaS(Video Surveillance as a Service), MaaS(Mobility as a Service), IDC, e-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업개발 협력을 통해 필리핀 고객들에게 동사의 다양한 DX(Digital Transformation)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소폭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케이티알파, KTcs, KTis 등 KT 그룹주가 상승. | |
대덕전자 (353200) 21,000원 (+1.45%) | 서버 및 전장, AI 수요 확대에 따른 FC BGA 매출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서버 및 전장, AI 수요 증가는 FC BGA 매출 확대로 연결될 것이라며, 올해 대표적인 비메모리향 FC BGA 매출의 성장은 명확하고, 2023년 하반기의 수익성 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분석. 이에 2023년 전체 매출은 -12.9%(yoy)로 예상되나, FC BGA 매출은 3,841억원으로 +40.7%(yoy)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특히, 메모리보다 비베모리인 연산(CPU), 그래픽(GPU), 통합칩(AI, 전장)에서 수요가 높아 FC BGA에 매출 주력은 필연적으로 판단된다며, 동사의 FC BGA 매출 비중은 2022년 21%에서 2023년 34%, 2025년 45%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1,000원[유지]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9 15:30
KT | 46,350 | 1,100 | -2.32%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中, 美 104% 관세에 맞불…"모든 미국산에 추가관세 34→84%"
-
2
구글 클라우드, 추론용 TPU '아이언우드' 공개…엔비디아 맹추격
-
3
中, WTO에 "무모한 트럼프 관세에 심각한 우려"
-
4
계엄 혼란 틈타 무단으로 해외여행…시국 흔들리자 공직기강 무너졌다
-
5
中, 트럼프 104% 관세 맞불…"모든 美상품에 추가관세 84%"(종합)
-
6
[속보] EU, 15일부터 美수입품에 최고 25% 추가 관세
-
7
상호관세 부과한 트럼프 "기업들, 美로 옮길 적기…관세 제로"
-
8
中, 美관세에 3대전략으로 맞선다…맞불·경기부양·주변국 공조
-
9
EU, 15일부터 美상품 25% 보복관세…"협상타결시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