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업비트 12개 코인 대거 신규 상장, 쓸만한 코인 있나? [엠블록레터]
김용영 엠블록컴퍼니 기자(yykim@m-block.io), 전성아 엠블록컴퍼니 기자(jeon.seonga@m-block.io)
입력 : 2023.03.08 18:46:41
입력 : 2023.03.08 18:46:41
[엠블록레터] 빗썸과 업비트가 신규 코인 대거 상장에 나섰습니다.
빗썸에서는 지난주 BTC 마켓의 개편을 예고하면서 다수의 신규 코인들의 거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는데요. 7일 개편 시행과 함께 10개 코인의 BTC 마켓 추가를 공지했습니다. 업비트에서도 이날 원화 마켓에 1개, BTC 마켓에 1개 코인 추가를 함께 공지했습니다.
업비트가 추가한 코인은 마스크 네트워크(MASK)와 액세스 프로토콜(ACS)입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플러그인 형태로 트위터 등에서 암호화폐 시세 확인, 결제, 선물하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SNS와 코인의 결합을 가장 손쉬운 형태로 보여줬다는 평을 받기도 합니다.
액세스 프로토콜은 솔라나에 기반한 컨텐츠 수익화 프로토콜입니다. 코인 스테이킹으로 구독 권한을 획득하는 사업 모델로 디파이와 구독 모델을 결합한 방식입니다. 지난 2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바 있습니다.
빗썸이 추가한 코인들은 좀 복잡합니다. 총 10개인데 이 중 다수가 클레이튼 기반 코인
들입니다.
슈퍼워크(GRND), 클레이스왑(KSP), 클레이다이스(DICE)가 클레이튼 기반인 KIP-7 토큰이고 오브시티(ORB)는 클레이튼에서 폴리곤으로 이전한 코인입니다. 톡큰(TALK), 엔터버튼(ENTC), 펠라즈(FLZ), 퍼블리스(NEWS), 베리(BERRY)는 이더리움 기반인 ERC-20 토큰이고 로아코어(ROA)는 솔라나 기반인 SPL 토큰입니다.
클레이스왑은 디파이, 슈퍼워크는 M2E, 클레이다이스는 P2E, 오비스티는 메타버스, 톡큰은 커뮤니티 등 종류도 다양합니다. BTC 마켓에 추가되어서 거래가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이네요.
코인 목록만 보면 코인원에서 거래를 지원하는 코인들과 상당수 닮아 보입니다. 빗썸이 BTC 마켓을 통해 거래 지원을 보다 유연하게 제공하는 실험을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업비트의 원화 마켓에 추가된 코인은 그동안 상당한 거래량과 가격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두말하면 입아픈 앱토스(APT)가 있습니다. 그 이전에도 업비트의 거래 지원 효과는 높은 것으로 국내외에 정평이 나있었지요. 마스크 네트워크는 2021년 혜성같이 등장했을 당시에도 가격이 급등해 이목을 집중시킨 적이 있는 코인입니다. 업비트의 거래 지원 효과가 재현될지 여부도 관심거리겠습니다.
참고로 지난 1월에 추가했던 시바이누(SHIB)와 갤럭시(GAL)는 상장 효과가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어찌되었건 거래 지원 첫날은 미리 상장돼 있던 해외 거래소부터의 입금 물량 등으로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가격 급등락이 완화될 때까지는 관망할 필요가 있습니다.
빗썸에서는 지난주 BTC 마켓의 개편을 예고하면서 다수의 신규 코인들의 거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는데요. 7일 개편 시행과 함께 10개 코인의 BTC 마켓 추가를 공지했습니다. 업비트에서도 이날 원화 마켓에 1개, BTC 마켓에 1개 코인 추가를 함께 공지했습니다.
업비트가 추가한 코인은 마스크 네트워크(MASK)와 액세스 프로토콜(ACS)입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플러그인 형태로 트위터 등에서 암호화폐 시세 확인, 결제, 선물하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SNS와 코인의 결합을 가장 손쉬운 형태로 보여줬다는 평을 받기도 합니다.
액세스 프로토콜은 솔라나에 기반한 컨텐츠 수익화 프로토콜입니다. 코인 스테이킹으로 구독 권한을 획득하는 사업 모델로 디파이와 구독 모델을 결합한 방식입니다. 지난 2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바 있습니다.
빗썸이 추가한 코인들은 좀 복잡합니다. 총 10개인데 이 중 다수가 클레이튼 기반 코인
들입니다.
슈퍼워크(GRND), 클레이스왑(KSP), 클레이다이스(DICE)가 클레이튼 기반인 KIP-7 토큰이고 오브시티(ORB)는 클레이튼에서 폴리곤으로 이전한 코인입니다. 톡큰(TALK), 엔터버튼(ENTC), 펠라즈(FLZ), 퍼블리스(NEWS), 베리(BERRY)는 이더리움 기반인 ERC-20 토큰이고 로아코어(ROA)는 솔라나 기반인 SPL 토큰입니다.
클레이스왑은 디파이, 슈퍼워크는 M2E, 클레이다이스는 P2E, 오비스티는 메타버스, 톡큰은 커뮤니티 등 종류도 다양합니다. BTC 마켓에 추가되어서 거래가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이네요.
코인 목록만 보면 코인원에서 거래를 지원하는 코인들과 상당수 닮아 보입니다. 빗썸이 BTC 마켓을 통해 거래 지원을 보다 유연하게 제공하는 실험을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업비트의 원화 마켓에 추가된 코인은 그동안 상당한 거래량과 가격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두말하면 입아픈 앱토스(APT)가 있습니다. 그 이전에도 업비트의 거래 지원 효과는 높은 것으로 국내외에 정평이 나있었지요. 마스크 네트워크는 2021년 혜성같이 등장했을 당시에도 가격이 급등해 이목을 집중시킨 적이 있는 코인입니다. 업비트의 거래 지원 효과가 재현될지 여부도 관심거리겠습니다.
참고로 지난 1월에 추가했던 시바이누(SHIB)와 갤럭시(GAL)는 상장 효과가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어찌되었건 거래 지원 첫날은 미리 상장돼 있던 해외 거래소부터의 입금 물량 등으로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가격 급등락이 완화될 때까지는 관망할 필요가 있습니다.
<엠블록레터(Mblock)>
[엠블록레터]는 매일경제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엠블록컴퍼니(Mblock)'의 뉴스레터입니다. 엠블록컴퍼니가 만든 무료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디지털 자산 투자의 지침이 될 올바른 정보와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을 수 있는 심층분석을 수·금 아침 이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하시면 구독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https://bit.ly/mblockletter
[엠블록레터]는 매일경제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엠블록컴퍼니(Mblock)'의 뉴스레터입니다. 엠블록컴퍼니가 만든 무료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디지털 자산 투자의 지침이 될 올바른 정보와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을 수 있는 심층분석을 수·금 아침 이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하시면 구독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https://bit.ly/mblocklette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