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공정' 中게임사 신작, 석연찮은 '클립보드 정보 수집' 정황

"한복은 중국 옷" 게임 후속작 '인피니티 니키' 4년만에 한국 출시'천안문'·'곰돌이 푸'는 금지어로 '검열'
김주환

입력 : 2024.12.06 07:10:00


인피니티 니키
[게임 화면 캡처]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한복이 중국 전통 의상이라는 자국 네티즌 주장을 편들며 한국에서 '야반도주'했던 중국 게임사가 4년 만에 태연히 내놓은 후속작이 비밀번호, 인증번호 등이 담긴 클립보드 정보를 수집해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인폴드게임즈는 전날 출시한 PC·콘솔·모바일 오픈월드 어드벤처 게임 '인피니티 니키'를 출시하면서 홈페이지 개인정보 수집·처리 방침에 '클립보드에 포함된 텍스트 내용'을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으로 수집한다고 명시했다.

클립보드 텍스트 내용을 수집한다는 인폴드게임즈의 개인정보 수집 및 처리방침
[홈페이지 캡처]

클립보드는 PC나 모바일 기기에서 복사·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할 때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보안 업계에서는 앱이 가진 클립보드 접근 권한을 매우 민감하게 바라보고 있다.

클립보드는 특성상 복사·붙여넣기가 잦은 비밀번호·인증번호·가상화폐 지갑 주소 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 악성코드나 해킹 프로그램이 자주 노리는 목표물이기 때문이다.

중국산 동영상 앱 틱톡은 2020년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클립보드 정보에 접근한 사실이 iOS 업데이트를 계기로 알려져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일었다.

틱톡 측은 당시 iOS의 버그라고 해명했으나, 이후에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았다.

안랩[053800]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는 지난 3월 북한 해킹조직 '안다리엘'(Andariel)이 국내 기업을 표적으로 유포한 악성코드에 클립보드 입력 내용을 기록하는 '클립보드 로깅' 기능이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인폴드게임즈 측은 영어판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통해 클립보드 접근 권한에 대해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 정보만 수집하며,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런 해명이 사실이라도 지나치게 광범위한 정보 수집이라는 지적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북한 해킹조직이 배포한 클립보드 정보 탈취 악성코드 사례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국내외 다른 모바일 게임사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살펴봐도, 클립보드 정보 수집을 명시한 곳은 없기 때문이다.

인피니티 니키는 인폴드게임즈의 모회사인 페이퍼게임즈가 2020년 국내에 출시했던 옷 입히기 게임 '샤이닝니키'의 정식 후속작으로, 넓은 맵에 펼쳐진 퍼즐을 풀면서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수집하는 내용이다.

'인피니티 니키'의 전작인 '샤이닝니키'는 과거 국내에서 '한복공정' 논란을 일으키며 국내 게이머들의 지탄을 받은 게임이다.

페이퍼게임즈는 2020년 10월 '샤이닝니키' 한국 서버를 오픈하면서 이벤트로 한복 의상을 선보였다.

한복 의상은 중국 서버에도 함께 출시됐는데, 다수의 중국 네티즌이 돌연 "중국 명나라 의상이다", "한복은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인 조선족의 의상이니 중국옷이다" 등 한복이 중국 문화라는 식의 주장을 펼쳤다.



'인피니티 니키'의 단어 검열 사례
[게임 화면 캡처]

그러자 페이퍼게임즈는 중국 소셜미디어를 통해 "'하나의 중국' 기업으로서 페이퍼게임즈와 조국의 입장은 늘 일치한다"며 "국가 이익에 손해를 끼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하며, 적극적으로 중국 기업의 책임과 사명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 서버에서 조국을 모욕하거나 악의적 사실을 퍼트린 유저는 채팅 금지, 계정 정지 등 조처를 할 것"이라며 한국 고객을 비난하고, 서비스 일주일 만에 한국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종료했다.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여기는 각종 단어는 게임에서 모두 검열됐다.

'Taiwan'(대만), 'Uyghurs'(위구르) 등의 단어나 시진핑 중국 주석의 별명인 'winniethepooh'(곰돌이 푸) 등을 캐릭터 이름으로 사용하려고 하면 '입력한 텍스트를 수정해 주세요'라는 문구가 뜨면서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천안문'(톈안먼·天安門)이나 중국식 발음 'tiananmen', 톈안먼 사태가 일어난 날짜인 '19890604' 등의 단어도 입력이 금지된 것으로 확인됐다.

juju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1.17 19:4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