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4.12.16 08:37:02
제목 : 미국 테마시황
12/13(현지시간) 뉴욕증시가 FOMC 관망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은 하락이 우세. 금 가격 하락 속 뉴몬트(-3.22%) 등 금(金) 테마가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0.51%) 등 모바일, 알파벳A(-1.11%), 아마존(-0.66%), 메타(-1.66%) 등 인터넷, 넷플릭스(-0.72%) 등 미디어 등 일부 대형 기술주 관련 테마가 하락. 이 외 세일즈포스닷컴(-1.04%) 등 S/W 및 IT 서비스, 쿠팡(-1.77%) 등 전자상거래, 블록(-2.26%) 등 전자결제, 엘릭트로닉 아츠(-3.06%) 등 게임, 뱅크오브아메리카(-0.89%) 등 은행, 코카콜라(-1.13%) 등 음식료, 엑슨 모빌(-0.88%) 등 정유, 다우(-1.02%) 등 화학, US스틸(-2.23%) 등 철강, 발레(-2.22%) 등 광산 등의 테마가 하락.
반면, 엔비디아(-2.25%), AMD(-2.83%), 인텔(-2.12%) 하락에도 브로드컴(+24.43%)이 실적 호조 등에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4.34%), TSMC(+4.98%), ARM(+2.64%),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10.79%) 등도 상승하는 등 반도체 테마가 상승. 테슬라(+4.34%)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자율주행 규제 완화 등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하는 등 전기차 테마도 상승. 이 외 AT&T(+1.16%) 등 통신, GM(+0.44%) 등 자동차, 넥스트에라 에너지(+0.55%) 등 신재생에너지, 보잉(+1.13%) 등 산업재 등의 테마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
반면, 엔비디아(-2.25%), AMD(-2.83%), 인텔(-2.12%) 하락에도 브로드컴(+24.43%)이 실적 호조 등에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4.34%), TSMC(+4.98%), ARM(+2.64%),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10.79%) 등도 상승하는 등 반도체 테마가 상승. 테슬라(+4.34%)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자율주행 규제 완화 등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하는 등 전기차 테마도 상승. 이 외 AT&T(+1.16%) 등 통신, GM(+0.44%) 등 자동차, 넥스트에라 에너지(+0.55%) 등 신재생에너지, 보잉(+1.13%) 등 산업재 등의 테마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
관련 테마분석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4-12-11 테슬라(+2.87%)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에스코넥, 신성델타테크, 코이즈, 파워로직스) |
☞2024-12-10 美 전기차-리튬 업체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코이즈, 대한유화, 유일에너테크) |
☞2024-12-09 K배터리, 1~10월 시장 점유율 하락 소식 등에 하락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4-12-13 中, 반도체 부품 재고 확보 소식에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삼성전자) |
☞2024-12-12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2.72%) 등에 상승(주도주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
☞2024-12-11 12월 반도체 수출 호조 및 美 마이크론 보조급 지급 확정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SK하이닉스) |

시스템반도체
시스템반도체란 다양한 기능을 집약한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만든 반도체로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논리적인 정보처리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비메모리의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통상 비메모리반도체라고 불림.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 TV(3D TV 등), 자동차(전장화, 지능화) 등 IT융/복합 기기에 사용되며, 첨단 IT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활용범위가 크게 확대 됨. 이에 따라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군임. |
- 히스토리
☞2024-12-13 中, 반도체 부품 재고 확보 소식에 상승(주도주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에이직랜드, 에이디테크놀로지, 사피엔반도체) |
☞2024-12-12 美 필라델피아 반도 체지수 급등(+2.72%) 등에 상승(주도주 : 이미지스, 에이엘티, 두산테스나, 지니틱스) |
☞2024-12-11 12월 반도체 수출 호조 및 美 마이크론 보조급 지급 확정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아이씨티케이, 에이엘티, 이미지스, 한미반도체) |

자율주행차
자율주행차란 운전자가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함. 자동차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차업체 테슬라 뿐만 아니라 국내외 주요 자동차업체들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자율주행차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등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4-12-11 테슬라(+2.87%)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퀄리타스반도체, 아이에이, 파인디지털, 인포뱅크) |
☞2024-12-02 테슬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새 버전 배포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퓨런티어, 에스오에스랩,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넥스트칩, 라이콤) |
☞2024-11-19 美 트럼프 행정부 자율주행 규제 완화 추진 기대감 지속, 테슬라(+5.62%) 상승 등에 상승(주도주 : 인포뱅크, 포니링크, 엠씨넥스, 에스오에스랩, 드림텍) |

온디바이스 AI
온디바이스(On-device) AI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서버의 연산을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데이터와 연산을 지원받았던 기존의 클라우드 기반 AI에서 벗어나, 기기 자체에 탑재되어 직접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 통신 상태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보안성이 높고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 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한 기기의 경우 AP와 신경망처리장치(NPU) 고사양화에 따라 D램과 낸드 용량 증가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 |
- 히스토리
☞2024-12-13 中, 반도체 부품 재고 확보 소식에 상승(주도주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에이디테크놀로지, 대덕전자, 가온칩스) |
☞2024-11-22 엔비디아 호실적,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강세 및 바이든 정부, 반도체 보조금 지급 속도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태성, 유니퀘스트, 에이팩트) |
☞2024-11-13 美 칩스법 폐지 우려 지속 및 K칩스법 실망감 지속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