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흐름에 재활용 수요늘고 투자회수 유리해 PEF 관심 쑥 "내년에도 폐기물 산업 주목"
폐기물 산업이 올해 인수·합병(M&A)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데다 향후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내년에도 폐기물 처리업 M&A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6일 IB업계에 따르면, 영남 지역 최대 규모의 폐기물 소각 업체인 코엔텍이 최근 매각 주관사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코스닥 상장사인 코엔텍은 대주주인 아이에스동서·E&F 컨소시엄이 최근 공개 매수를 통해 지분 82.5%를 확보했다. 컨소시엄은 향후 코엔텍을 상장폐지시킨 뒤 내년 중으로 매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폐기물 산업 M&A가 투자자들에게서 관심을 받고 있다.
IMM컨소시엄(IMM PE·IMM인베스트먼트)은 국내 폐기물 매립 시장 1위 업체인 에코비트를 지난 8월 2조700억원에 인수했다. 태영그룹 소유였던 에코비트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여파로 매물로 나왔다.
이 밖에 글로벌 사모펀드인 EQT파트너스가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1위 업체인 KJ환경을 지난 8월 1조원에 사들였다. 어펄마캐피탈은 충남 당진소재의 국내 최대 매립 용량을 가진 제이엔텍 지분 51%를 올해 초 2600억원에 인수했다. 글랜우드PE는 부방그룹 수처리 자회사 3곳을 지난 11월 2600억원에 인수했다.
폐기물 산업에 투자가 몰리는 것은 인허가 규제가 있어서 신규 사업자가 진입하기 어렵고, ESG경영(환경·책임·투명경영) 흐름으로 인해 꾸준히 폐기물 처리·재활용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폐기물 산업 가치사슬은 △수집과 운반 △재활용과 재처리 △소각 △매립으로 분류된다. 이 중 소각과 매립의 영업이익률이 10~30%대로 높은 편이다.
이 밖에도 기업가치를 제고시킬 여지가 아직 많다는 것이 장점이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폐기물 산업은 대표적으로 민원이 많이 제기되는 분야인데 소음·냄새가 핵심"이라며 "가건물을 세우는 등 추가 투자를 통해 이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수거·처리·재활용을 자동화하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인 사모펀드 입장에서는 향후 엑시트(투자 회수) 기회가 많다는 점도 장점이다. SK그룹(SK에코플랜트), GS그룹(GS이니마)이 그동안 폐기물 사업체 인수에 적극 나섰어서 향후 잠재적 인수자로 꼽힌다. 이외에 석유화학 업체들도 폐기물 처리·재활용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폐기물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보니 지금 폐기물 업체를 인수하는 입장에선 향후 기업공개(IPO) 혹은 전략적 투자자(SI)에게 매각하는 안을 검토할 수 있다"며 "투자 회수 계획을 짤 수 있다 보니 투자자들이 현재 적극적으로 폐기물 업체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