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1년 훌쩍 넘긴 창원 액화수소플랜트…정상 가동까지는 요원

운영사에 설비 인계 마무리 안돼…저장탱크 확보·수요처 확보도 과제
김선경

입력 : 2025.01.25 07:25:00


창원 액화수소플랜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에 들어선 국내 첫 액화수소플랜트가 준공된 지 1년을 훌쩍 넘겼는데도 아직 정상 가동을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창원시와 시의회 등 설명을 종합하면 '창원 액화수소플랜트'는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 부지에 2023년 8월 준공됐다.

2021년 착공 이후 총사업비로 국비 170억원, 도비 40억원, 시비 60억, 민자 680억원 등 950억원이 투입됐다.

이 시설은 국내 첫 액화수소 생산·공급 시설로 소개됐다.

액화수소는 동일한 공간에 기체수소 대비 8배 더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다.

버스 등 대형 모빌리티, 반도체 제조공정의 불화수소 제조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대형 우주발사체 추진연료로도 사용돼 그동안 미국·러시아·프랑스 등 우주산업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만 액화수소가 생산돼 왔다.

창원 액화수소플랜트는 천연가스를 개질해 고순도의 기체수소를 생산한 뒤 핵심설비인 콜드박스를 통해 영하 253도로 냉각해 액화수소를 생산한다.

하루 5t, 연간 최대 1천825t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준공 1년을 훌쩍 넘긴 현재 액화수소플랜트는 아직 본격적으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액화수소플랜트가 생산·공급 등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사인 '하이창원'에 설비 인계작업이 우선돼야 하는데, 이 절차부터 마무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창원은 두산에너빌리티와 창원산업진흥원, 한국산업단지공단이 공동 출자한 특수목적법인이다.

설비 구축을 맡은 두산에너빌리티 측은 성능 검증을 마쳤다는 입장인 반면 이 사업에 대한 컨설팅을 실시한 창원시 감사관 측은 일부 성능 시험이 절차에 맞게끔 진행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이견이 해소돼 설비 인수인계가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액화수소플랜트를 당장 가동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 첫 액화수소플랜트 준공식
[연합뉴스 자료사진]

생산된 액화수소에 대한 저장·운반 문제, 수요처 확보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국내 최초로 액화수소플랜트 사업이 추진되면서 국내 민간기업도 액화수소 저장탱크에 대한 개발에 착수했는데 아직 실증까지 완료된 탱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액화수소 관련 사업자들이 거쳐야 하는 규제 샌드박스(신기술이나 신산업을 시도할 수 있게 일정 조건에서 규제를 면제·유예해주는 제도) 승인 과정에도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처(판매처) 확보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액화수소 구매 의향을 밝힌 기업 또는 연구소가 8곳 정도 있지만, 이들 모두 일회성으로 곳당 적게는 2.5t에서 14t 상당을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을 뿐이다.

창원산업진흥원은 액화수소충전소에 액화수소를 공급해 생산물량을 해소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한다고 하지만, 당장 이마저도 쉽지 않다.

경남지역 액화수소충전소는 이달 기준으로 전무하고, 이르면 오는 3월이 돼야 기존의 창원대원충전소가 액화수소충전소로 전환될 예정이다.

게다가 액화수소충전소가 생산물량을 소화하려면 해당 지역에 수소버스가 200∼300대 정도 보급돼야 하는데, 실제 보급된 수소버스는 창원지역 기준 100여대가량으로 이에 미치지 못한다.

일각에서 액화수소충전소가 추가로 설치되기까지 걸리는 1∼2년 내에는 사실상 액화수소플랜트의 정상 가동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국민의힘 창원시의원들은 단독으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를 꾸려 지난해 9월부터 액화수소플랜트 사업 검증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 측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장이 재임하던 민선 7기 때 추진된 이 사업을 두고 "수요도 없고 경제 타당성이 없는 사업을 시가 구매담보를 해서 사업을 이끌어왔다"며 맹공을 펼친다.

민주당 측은 액화수소플랜트 사업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만큼 섣부른 평가는 지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초기 단계에선 경제성 등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며 "수소 사업이 아직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한 것은 초기 시운전과 운영과정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지 사업의 궁극적인 성공 가능성을 부정할 이유는 되지 못한다"고 밝혔다.

ks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1.26 15:35 더보기 >